항목
-
동양삼국연대론 동양삼국제휴론, 東洋三國連帶論지리적 공간 등에서 공동운명체라는 인식을 공유하였다. 19세기 후반 삼국의 연대에 대한 지식층의 논의는 일본이 주장하고 있던 이른바 ‘아시아주의’나 ‘아시아연대론’ 등에 일정한 영향을 받았다. 그것은 문화적 동질성과 ‘인종주의’에 입각하여 동양 삼국이 통합된 주체로서 서양 제국주의를 물리칠 수 있다는...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근대사
-
박석우 朴錫祐은 1930년대 후반 일본에서 제기된 종전논리로, 소련의 극동진출과 세계의 공산화를 막기 위해 아시아 여러 민족과 국가가 연합해 대응해야 한다는 일종의 아시아연대론으로 일부 한국인 민족주의자들에게 국권회복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42년 일본 경찰에 의해 대대적인 한국인 유학생 탄압으로...
- 출생 :
- 1914년 9월 3일, 전남 담양(潭陽)
- 사망 :
- 1947년 10월 3일
- 관련 사건 :
- 우리들그룹
- 주요활동 :
- 1942년 일본 도쿄에서 비밀결사 우리들그룹을 조직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관련 인물/단체 :
- 우리들그룹
-
소년한반도 少年韓半島평가받는 이인직의 '사회학' 논문이 게재되었다. 다만 이인직의 사회학 논문에서는 그의 논설 「삼진연방」이나 신소설 『혈의누』에서 균열을 드러냈던 아시아 연대론에 대한 그의 입장이 다시 제시된다는 점에서 다층적 평가를 요한다. 또한 『소년한반도』가 애국계몽운동을 견인하고 있었던 것만은 분명하지만...
- 성격 :
- 문학잡지
- 간행/발행 :
- 소년한반도사
- 창간일-종간일 :
- 1906. 11. 1 ~ 1907. 4. 1
- 소장/전승 :
- 서울대 중앙도서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