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시아 연대론 범아시아주의
    일본의 아시아 대륙 침략사상.|아시아주의, 아시아연대주의, 범아시아주의라고도 한다. 아시아 연대론은 '19세기이래 계속된 구미 열강의 압력으로부터 아시아를 해방하고, 나아가서 동양의 평화와 질서를 아시아인 스스로가 확립하며, 동아시아 민족들이 누릴 수 있는 공영의 생활권을 설정하고 운영하기 위해 동아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동양삼국연대론 동양삼국제휴론, 東洋三國連帶論
    지리적 공간 등에서 공동운명체라는 인식을 공유하였다. 19세기 후반 삼국의 연대에 대한 지식층의 논의는 일본이 주장하고 있던 이른바 ‘아시아주의’나 ‘아시아연대론’ 등에 일정한 영향을 받았다. 그것은 문화적 동질성과 ‘인종주의’에 입각하여 동양 삼국이 통합된 주체로서 서양 제국주의를 물리칠 수 있다는...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근대사
  • 대동아공영권 大東亞共榮圈
    해방을 위한다는 명목하에 대동아공영권 결성을 주장하면서 침략정책과 전쟁을 정당화했다. 이것은 메이지[明治] 이래 일제의 대외침략이론인 아시아 주의, 아시아 연대론을 계승하면서, 독일 지정학의 생활권(Lebensraum) 이론으로 분식된 침략주의 사상이었다. 대동아공영권의 경제적 본질은 전시국가독점자본의 폭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갑진개화운동 갑진혁신운동, 甲辰開化運動
    재편성한 민간 정치단체인 민회의 설립을 추진했다. 동학교단은 근대화개혁의 연대세력으로서 일본을 상정했는데, 이는 손병희를 비롯한 지도부의 아시아 연대론에 따른 것으로, 일본과의 동맹체결 후 외교활동을 통해 조선의 근대화와 자주권회복을 성취하려 한 것이다. 그나마 이들의 일본공동출병론·동맹국론은 근본...
  • 박석우 朴錫祐
    은 1930년대 후반 일본에서 제기된 종전논리로, 소련의 극동진출과 세계의 공산화를 막기 위해 아시아 여러 민족과 국가가 연합해 대응해야 한다는 일종의 아시아연대론으로 일부 한국인 민족주의자들에게 국권회복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42년 일본 경찰에 의해 대대적인 한국인 유학생 탄압으로...
    출생 :
    1914년 9월 3일, 전남 담양(潭陽)
    사망 :
    1947년 10월 3일
    관련 사건 :
    우리들그룹
    주요활동 :
    1942년 일본 도쿄에서 비밀결사 우리들그룹을 조직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관련 인물/단체 :
    우리들그룹
  • 소년한반도 少年韓半島
    평가받는 이인직의 '사회학' 논문이 게재되었다. 다만 이인직의 사회학 논문에서는 그의 논설 「삼진연방」이나 신소설 『혈의누』에서 균열을 드러냈던 아시아 연대론에 대한 그의 입장이 다시 제시된다는 점에서 다층적 평가를 요한다. 또한 『소년한반도』가 애국계몽운동을 견인하고 있었던 것만은 분명하지만...
    성격 :
    문학잡지
    간행/발행 :
    소년한반도사
    창간일-종간일 :
    1906. 11. 1 ~ 1907. 4. 1
    소장/전승 :
    서울대 중앙도서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