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제가 아시아 대륙 침략을 합리화하기 위해 내세운 정치 슬로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제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구미의 식민지 지배를 타파하고 아시아 제민족의 해방을 위한다는 명목하에 대동아공영권 결성을 주장하면서 침략정책과 전쟁을 정당화했다. 이것은 메이지[明治] 이래 일제의 대외침략이론인 아시아 주의, 아시아 연대론을 계승하면서, 독일 지정학의 생활권(Lebensraum) 이론으로 분식된 침략주의 사상이었다.
대동아공영권의 경제적 본질은 전시국가독점자본의 폭력적인 블럭 경제체제였다. 중일전쟁이 장기화되자 일제는 전쟁의 난국을 타개하기 위해 1938년 11월 3일 일만지(日滿支) 3국의 '선린우호·공동방공·경제제휴'를 표방한 〈동아신질서건설성명〉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 성명의 실체는 제국주의 침략전쟁을 목적으로 하는 일만지 경제 블럭 결성이었다.
한편 1940년 1월 미·일 통상조약이 실효되고 일제의 남진정책이 구체화되자, 미국은 대일금수를 강화하고 장제스[蔣介石] 정권에 대한 군사·경제적 원조를 증가시켰다. 특히 1941년 7월 독·소 개전 후 일본군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진주에 대해 미국·영국·네덜란드는 대일자산동결과 대일석유수출 금지를 단행하고, 일본과의 전면 대결을 표방했다.
이에 일제의 일만지 블럭 결성은 1940년 7월 〈기본국책강요〉에서 '동아신질서는 일만지를 근간으로 하고 그것에 남양을 추가해 황국의 자급자족경제를 확립한다'는 대동아공영권으로 확대되었다.
일만지를 중·경공업지역으로 하고, 여기에 원료공급지·공업제품의 시장으로서 동남아시아를 결합하는 광역경제권을 구상했던 것이다.
1941년 11월 '자위자존'을 목적으로 미국·영국·네덜란드와의 전쟁도 불사한다는 〈제국국책수행요령〉을 결정하고, 점령지의 치안유지, 군사전략 물자의 신속한 확보, 일본군의 현지에서의 물자조달을 규정한 〈남방점령지행정실시요령〉을 발표했다. 그리고 12월 〈남방경제대책요강〉이 결정되었으며 자원을 획득하고 당면한 침략전쟁을 완수한다는 〈대동아공영권자급자족체〉 건설을 제기했다.
결국 일제는 대동아공영권을 태평양전쟁의 궁극적 목적으로 선전하였으며, 이 전쟁을 '서양제국주의 침략에 대항하여 동아시아 보위를 위한 자위전쟁'·'미국과 영국 세력으로부터 동아시아 민족을 이탈시키려는 해방전쟁'·'새로운 세계질서를 구현하기 위한 전쟁'이라고 주장했다.
즉 대동아공영권의 구현이야말로 구미제국주의 침략에 대해 동아 각 민족의 생존권과 번영을 보장하는 유일한 길이라고 정당화하면서, 한편으로 식민지 혹은 점령지의 민족독립운동을 철저하게 탄압해갔다.
또한 조선·만주·화베이[華北]·화중(華中)에서 일제에 의해 전개된 노동력의 강제징용은 남방으로까지 확대되고, 남방작전지역에 조선인·중국인을 군부·군속으로 강제 파견했다. 그러나 대동아공영권은 점령지와 식민지 민중의 저항운동, 연합군의 총반격에 의해 붕괴되고 말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