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프로클로스

다른 표기 언어 Proclos
요약 테이블
출생 410경, 콘스탄티노플
사망 485, 아테네
국적 그리스

요약 그리스의 마지막 주요철학자.
(영). Proclus.

신플라톤주의 사상을 비잔틴·이슬람·로마 세계 구석구석까지 전파하는 데 이바지했다.

프로클로스는 러시아의 크산토스에서 자랐고 알렉산드리아에서 대(大)올림피오도로스 밑에서 철학을 공부했다. 아테네에서는 그리스의 철학자 플루타르코스와 시리아노스 밑에서 공부했으며 이들에 이어 '디아도코스'(diadochos : 그리스어로 '계승자'라는 뜻), 즉 플라톤이 BC 387년경 세운 아카데메이아의 원장이 되었다.

프로클로스는 죽을 때까지 아카데메이아에 남아서 3세기 그리스의 철학자 이암블리코스의 신플라톤주의 견해를 다듬고 체계화했다. 이암블리코스 학파는 정교한 형이상학적 사변을 강조했다. 이암블리코스와 마찬가지로 프로클로스도 그리스도교에 대항했고 이교 신앙을 열정적으로 옹호했다. 신플라톤주의 관념론자로서 사상이 실재를 포함하는 반면 구체적 '사물'은 현상에 지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궁극적 실재인 '일자'가 신이자 선이며 자기의 윤리적·신학적 체계를 통일한다고 주장했다.

위(僞)디오니시우스 아레오파기타가 각색한 프로클로스의 견해는 그뒤 동·서양을 막론하고 그리스도교 신학에 의미심장한 영향을 미쳤다. 위디오니시우스 아레오파기타는 5세기의 작가이며, 그의 위작은 사도 바울로에 귀의한 1세기의 디오니시우스 아레오파기타의 작품이라고 오랫동안 여겨졌다.

프로클로스의 생각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한 아랍의 철학서는 〈원인에 관한 책 Liber de causis〉인데, 이 책은 프로클로스가 직접 쓴 〈신학원리 Institutio theologica〉에 의존해 씌어진 것임에도 불구하고 중세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로 여겨졌다. 프로클로스의 가장 중요한 저서인 〈신학원리〉와 그리스어로 쓴 그밖의 많은 글은 13세기 스콜라 학자 뫼르베게의 윌리엄이 라틴어로 번역하여 중세시대에 플라톤 철학을 이해하는 주요원천이 되었다. 〈신학원리〉는 211개의 명제로 되어 있으며 신플라톤주의 형이상학을 간결하게 설명해놓았다.

프로클로스의 〈자연학의 원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핵심 견해를 뽑은 것이고, 〈플라톤의 신학 In Platonis theologiam〉은 플라톤의 형이상학을 해설한 것이다. 〈국가 The Republic〉·〈파르메니데스 Parmenides〉·〈티마이오스 Timaeus〉, 〈알키비아데스 1세 Alcibiades Ⅰ〉 등 플라톤의 저서에 관한 그의 주석서는 고스란히 남아 있다.

프로클로스는 비록 독창적인 사상가라기보다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학자이자 주석가로서 높이 평가되었지만 천문학·수학·문법학 저서를 비롯해 수많은 비철학적 글도 썼다. 7편의 찬가와 2편의 경구시도 썼는데, 경구시 중 하나는 자신과 스승 시리아노스의 공동 묘비명을 쓴 것이다. 그의 후계자인 아테네의 마리노스가 쓴 호의적 전기인 〈프로클로스의 생애 Life of Proclus〉가 로렌스 J. 로잔의 영어 번역본 〈프로클로스의 철학 The Philosophy of Proclus〉(1949)으로 다시 나왔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철학가

철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프로클로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