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사유람단을 1881년 일본시찰단으로
    1881년 조선의 관리들이 일본의 문물제도를 시찰한 일을 두고 우리 역사에서는 그동안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이라 불러왔다. 근래 이 역사용어가 적합한지를 두고 논란이 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신사유람단 파견의 시대 배경, 시찰의 목적과 구성, 시찰의 대상 등을 분석해 그 본질에 접근해보기로 한다. 시대 배경...
  • 신사유람단 紳士遊覽團
    統理機務衙門)을 설치한 후 서구문물의 조사를 위해 신사유람단을 파견했다. 1881년 2월 통리기무아문은 조준영(趙準永)·박정양(朴定陽)·엄세영(嚴世永...元) 등 12명을 민정시찰을 위한 동래부 암행어사로 임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서 일본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이후의 국정을 살피도록 했다. 이 시찰단은 모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개화정책 開化政策
    국정시찰단의 파견 정부는 청나라에 영선사 일행의 파견을 준비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일본의 개화상태를 정확히 알고자 이른바 ‘신사유람단’의 파견을 준비하였다. 그리하여 1881년일본국정시찰단이 구성되었다. 그런데 이는 일본측의 권고나 주도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조선측이 독자적으로 준비하여...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근대사
  • 조사 시찰단 朝士视察团
    朝士視察團)은 1881년(고종 18년) 5월 7일(음력 4월 10일)부터 8월 26일(음력 윤7월 2일)까지 김홍집의 주장에 따라 수신사에 이어 일본 제국에 파견되었던 집단이다. 과거에는 신사 유람단(紳士遊覽團)이라고 지칭하였으나 한국사 용어 수정안에 따라 조사 시찰단으로 바꾸어 부른다. 조사(朝士)는 조선의 조정에서...
    도서 위키백과
  • 조사 시찰단 朝士視察團
    1881년(고종 18) 4월~7월까지 약 4개월에 걸쳐 일본에 파견되었다. 개화에 반감을 가진 세력을 무마하고 목적을 숨기기 위해 신사 유람단이라고 불렀다. 나중에 한국사 용어 수정안에 따라 조사 시찰단으로 바꿔 부르게 되었다. 시찰단은 동래부 암행어사로 임명되어 메이지 유신 뒤 일본에 나타난 개혁의 실태와 국정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신사척사론 辛巳斥邪論
    渡日), 1881년 박정양(朴定陽) 등 62명으로 구성된 신사유람단일본시찰, 김옥균(金玉均)의 도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일본과의 접촉으로 정부 내부에는 점차 개화사상이 침투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박정양 · 김옥균 등의 일본시찰 결과 개화의식은 더욱 높아져서 친일적인 개화파라는 정치집단이 형성되기에...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근대사
  • 이상재 타협을 거부한 민족독립운동가
    이런 현실을 목도하면서 나름대로 바쁜 나날을 보냈다. 그의 능력을 보여 줄 기회는 왔다. 신사유람단 단원으로 일본 시찰 1881년 조정에서는 일본의 개화문물을 익히기 위해 청년들을 신사유람단이라는 이름으로 일본에 파견했다. 이 시찰단은 12개조로 구성되었는데 개별 조마다 조장 1명과 수행원 · 하인 · 통역 등...
    출생 :
    1850년
    사망 :
    1927년
  • 안종수 安宗洙
    생애 및 활동사항 1881년 2월 일본시찰단신사유람단의 수원으로 임명되어 조사(朝士) 조병직(趙秉稷)을 수행하였다. 이 유람단은 귀국하면서 각 방면에 걸친 상세한 문견사건(聞見事件), 즉 보고서를 제출하여 개화정책에 도움을 주었는데, 안종수는 일본의 농학자 쓰다[津田仙]와 접촉하는 한편, 농서를 구입해와서...
    시대 :
    근대
    출생 :
    1849년(헌종 15)
    사망 :
    1896년(고종 33)
    경력 :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주사, 나주부 참서관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농학자
    대표작 :
    농정신편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어윤중 성집(聖執), 魚允中
    이 무렵에 국내에서는 수신사 김홍집(金弘集)이 가져온, 황준헌(黃遵憲)의 『조선책략(朝鮮策略)』을 둘러싸고 유생들의 위정척사론이 비등하였다. 때문에 신사유람단의 파견은 극비리에 진행되었으며, 시찰단원의 조사들은 동래암행어사로 발령을 받아 일본으로 출국하였다. 어윤중은 1881년 1월 동래암행어사의 발령을...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이동인 李東仁
    1월 김윤식(金允植)이 청나라에 가서 이홍장과 조약 내용을 검토할 때 기준이 되었다. 1881년 2월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 참모관에 임명되어 신사유람단이라는 일본시찰단을 파견하는 일을 추진하였다. 이 때 유길준(兪吉濬)·윤치호(尹致昊)와 같은 유학생을 보낸 것은 전적으로 이동인이 계획한 일이다. 이 해...
    시대 :
    근대
    출생 :
    미상
    사망 :
    1881년(고종 18) 3월
    유형 :
    인물
    직업 :
    승려, 개화승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유길준 兪吉濬
    와 같은 서적을 통해 해외 문물을 습득하였다. 1881년 박규수의 권유로 어윤중(魚允中)의 수행원으로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 이칭별칭: 신사유람단)에 참가, 우리나라 최초의 일본 유학생이 되었다. 이 때 일본의 문명개화론자인 후쿠자와[福澤諭吉]가 경영하는 게이오의숙[慶應義塾]에서 유정수(柳定秀)와 함께 수학...
    시대 :
    근대
    출생 :
    1856년(철종 7)
    사망 :
    1914년
    경력 :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주사, 내무협판, 한성부민회 회장
    유형 :
    인물
    직업 :
    개화사상가, 정치인
    대표작 :
    서유견문, 구당시초, 대한문전, 노동야학독본, 유길준전서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기계(杞溪: 지금의 경상북도 포항)
  • 김용원 미사(薇史), 金鏞元
    그를 “개화(開化)의 효시라 말해지는 사람”이라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또한 1881년에 박정양, 조준영, 어윤중, 홍영식 등으로 구성된 조사시찰단(일명 신사유람단)이 일본에 파견되었을 때도 참여했다. 본래 참모관으로 파견될 예정이었던 승려 이동인(李東仁)이 갑자기 실종되어 그를 대신해서 김용원이 가게 된 것...
    시대 :
    근대/개항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회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