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역사용어 바
로쓰기

신사유람단을 1881년 일본시찰단으로

1881년 조선의 관리들이 일본의 문물제도를 시찰한 일을 두고 우리 역사에서는 그동안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이라 불러왔다. 근래 이 역사용어가 적합한지를 두고 논란이 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신사유람단 파견의 시대 배경, 시찰의 목적과 구성, 시찰의 대상 등을 분석해 그 본질에 접근해보기로 한다.

시대 배경

1876년 이른바 개항 이래 한동안 중단되었던 일본과 공식적 교류가 시작되었다. 첫 공식 접촉은 두 차례에 걸친 수신사의 파견으로 이루어졌다. 곧 1876년 김기수(金綺秀), 1880년 김홍집(金弘集)을 수신사(修信使)라는 이름으로 일본에 보냈던 것이다. 이는 일본의 줄기찬 권고에 따른 것이다.

이들 수신사 일행은 일본 당국의 안내를 받아 일본의 근대 문물제도를 시찰했다. 특히 김홍집은 일본 주재 청국 공사관의 참사관인 황준헌(黃遵憲)이 지은 『조선책략(朝鮮策略)』을 가져와 조선 정부에 소개했다. 그 중심 내용에는 조선의 외교노선, 특히 러시아의 남진을 저지하는 방안으로 중국과 친하고 일본과 맺고 미국과 연합해야 한다는 논조가 깔려 있었다.

황준헌(黃遵憲)

중국 청나라의 외교관 겸 정치가.

ⓒ 近代中國走向世界第一人/wikipedia | Public Domain

고종과 민씨 정권은 개화파의 주장을 받아들여 1880년 12월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을 설치하고 근대적 제도개혁을 서둘렀다. 이 과정에서 개화승 이동인(李東仁)과 일본공사 하나부사 요시모토(花房義質)의 조언을 받기도 했고 황준헌의 방략을 참고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척사 계열은 강력한 반발을 보였다. 전통 유림 중심의 척사 계열은 ‘신사유람단’을 은밀하게 파견하는 시기에 영남 유림 중심의 만인소(萬人疏)를 올리는 등 저항운동을 크게 벌였다. 또 민중은 수신사 일행이 가는 연로에 돌과 기왓장을 던지는 따위로 반감을 보이기도 했다.

시찰단의 구성과 성격

1881년 2월에 들어 통리기무아문에서는 근대식 신무기의 시찰과 학습을 위해 청국과 일본에 시찰단을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그리하여 먼저 청국에 영선사(領選使)라는 이름으로 시찰단 파견을 결정했고 이어 하나부사의 제의를 받아들여 일본에도 시찰단 파견을 결정했다. 시찰단 파견은 정부의 자의와 타의가 결합되어 추진되었으며, 그 막후에는 개화승 이동인의 주선이 있었다.

일본시찰단은 승지인 이원회(李元會)를 참획관, 이동인을 참모관으로 임명하여 진행시켰다. 정부는 이 시찰단을 비밀로 진행시켰는데, 시찰요원에게 ‘동래부 암행어사’라는 직책을 주고 연로의 관아에서 관례와는 달리 민폐를 끼치지 않는다는 명분에 따라 경비 지급도 일절 하지 못하게 하는 조치를 내렸다.각주1)

시찰단은 12개조로 나뉘어 구성되었는데 1개조마다 조장을 포함해 수행원, 통사(通事, 통역관), 하인 등 3명에서 5명으로 짜여졌다. 통사가 누락된 경우도 있었는데, 이는 수행원 중에서 일본어를 할 수 있는 자가 들어 있는 조에 해당된 듯하다. 총 인원 61명이었다.

조장은 이원회(승지), 홍영식(洪英植, 참의), 어윤중(魚允中, 교리), 이헌영(李瀗永, 승지), 심상학(沈相學, 참의), 엄세영(嚴世永, 승지), 강문형(姜文馨, 승지), 조병직(趙秉稷, 직함 없음), 박정양(朴定陽, 참판), 조준영(趙準永, 참판), 민종묵(閔鍾默, 승지), 김용원(金鏞元, 우후) 등이며 수행원은 유길준(兪吉濬), 윤치호(尹致昊), 이상재(李商在), 민건호(閔建鎬) 등이다. 조장은 국왕의 측근인 승지가 5명이며 나머지 인사는 중간급 관리들이었다. 수행원은 벼슬을 받지 않은 사인(士人) 신분이거나 낮은 벼슬아치로, 개혁 성향을 지닌 청년층이었다.각주2)

윤치호(尹致昊)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다.

ⓒ Tarantius/wikipedia | GFDL

따라서 그 성격은 어디까지나 정부를 대표하는 공식 사절이 아니었고 민간인이 포함된 순수한 시찰단이었다. 또 시찰단의 요원들은 30, 40대의 청장년으로 국왕의 친위세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

시찰의 과정과 대상

시찰단은 암행어사를 가장하여 조별로 은밀하게 움직였다. 수장 격인 이원회 일행의 경우를 보면, 동대문을 통해 동래로 내려가서 범어사에 숙소를 정하면서 형체를 드러내지 않았다. 이들은 부산에 집결하여 일본 측에서 내준 상선 안네이마루(安寧丸)를 타고 도일했다.

일행의 접대는 일본의 외무성 관리들이 맡았으며 하나부사도 뒤따라와 여러 편의를 제공했다. 일행은 일본 기관의 책임자와 황족, 그리고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등 요인을 수시로 만나 대화를 나누었으며, 도쿄 주재 외교관들과도 접촉했다.

조별로 분담한 시찰 대상을 보면 박정양은 내무성과 농상무성, 민종묵은 외무성, 어윤중은 대장성(大藏省, 일본에서 재정, 통화, 금융 관련 업무를 관장하는 행정기관), 조준영은 문부성, 엄세영은 사법성, 강문형은 공부성(工部省, 지금의 건설부에 해당), 홍영식은 육군, 이헌영은 세관 등이었다. 하지만 이원회 일행의 시찰 대상을 보면 사범학교, 박물관, 포대, 항만, 병원, 조폐소(造幣所), 무기공장, 여학교, 맹아원, 제선소, 사관학교, 군의본부, 방적소, 제사소, 조지소, 전신국 등이 망라되어 있다.

그러니 일행의 시찰 대상은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시설만이 아니었다. 즉, 군사 관련 시설만이 아니라 일본의 모든 신문물제도를 견문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본 측에서는 일본의 요인을 만나 대조선정책의 기조를 인식케 하기도 하고 외교관들과 접촉하여 세계정세를 알려주기도 했다.

이들 일행은 두 달 보름 정도의 일본 국내 시찰을 마치고 윤7월 2일 부산 모두관에 도착했다. 서울로 귀환할 때에도 위장하기 위해 통도사와 경주 등지를 돌아보면서 우회의 길을 택했다.

조장 또는 수행원들에게는 전담했던 시찰 과정을 모두 보고서의 형식으로 작성하여 국왕에게 올리게 했다. 그 분량이 방대하여 100여 책에 이르렀으나 당시에는 철저하게 비밀에 붙였다. 그 내용은 시찰기류(視察記類)와 견문사건류(見聞事件類)로 나뉘는데, 시찰기와 견문문만이 아니라 염초제조법, 성냥제조법, 병기제조법 따위를 병기했다. 이로 보아도 이들의 왕성한 신문물 탐구욕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시찰단의 성격과 용어의 정의

이들 시찰단의 형식과 임무에 따라 성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은 공식 사절단이 아니었다. 어디까지나 중견 관리로 구성된 비공식 시찰단이었다. 그런 탓으로 일반 관례와는 달리 수행원인 사인에게도 특별한 직함을 주지 않았다. 둘째, 일본의 권고에 따라 시찰단을 파견했고 일본의 편의 제공을 받았으나 자의의 성격도 있었다. 시찰단 일행이었던 어윤중, 김용원이 일본 시찰 도중 청국으로 파견된 것으로 보아도 이를 증명할 수 있다. 셋째, 이들의 보고서는 통리기무아문의 개편에 주요한 참고 자료가 되었다. 또, 군사제도의 개혁에도 많은 도움을 주었다. 다시 말해 정부에서 본격적으로 개화정책을 펴려는 의지의 발로였던 셈이다.

그러므로 이런 성격과 의도로 보아 ‘유람단’이라 명명함은 적합지 않다. 당시 ‘신사’는 오늘날의 용어 개념과는 달리 ‘진신(縉紳, 벼슬아치의 별칭)’을 달리 부른 호칭이었다. 곧 관리라는 뜻이다. 오늘날 ‘신사’의 의미는 ‘예절이 바른 점잖은 사람’으로 정의한다. 곧 벼슬아치의 뜻은 사어(死語)가 된 것이다. 그래서 ‘신사유람단’이란 용어를 쓰게 되면 ‘예절이 바른 점잖은 사람들이 어슬렁거리면서 산천 구경을 한 모임’이라는 의미로 받아들이기 쉽다. 하지만 그 성격을 다시 짚어보면 조선의 장래를 짊어질 벼슬아치들을 일본에 파견하여 신문물을 시찰케 하여 국가정책에 반영하는 임무를 부여한 것이 된다. 그러니 당시 시찰단의 목적은 1881년 조선의 관리(민간인 포함)를 일본에 파견하여 신문물을 시찰하고 견문을 넓히려는 목적이었다고 정의할 수 있다.

‘신사유람단’이란 용어를 처음 조선에서 사용했는지 일본에서 사용했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어쨌든 그런 역사적 의미에 따라 ‘신사유람단’을 ‘1881년 일본시찰단’으로 명명함이 합리적이지 않을까? 역사용어도 새로운 역사인식과 가치관에 따라 일반인이 널리 쓰는 보편적 용어를 선택해야 바른 역사인식을 보여주게 될 것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이화 집필자 소개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와 서울대 규장각 등에서 우리 고전을 번역하고 편찬하는 일을 했으며, 서원대, 성심여대 등에서 역사학을 강의했다. 역사문제연구소 소장, 역사잡지 <역사비평&..펼쳐보기

출처

역사용어 바로쓰기
역사용어 바로쓰기 | 저자강정숙 외 | cp명역사비평사 도서 소개

우리 주변에는 관용적으로 써온 잘못된 용어 혹은 의미가 탈색되었거나 제대로 알지 못하고 쓰는 역사용어가 많다. 그러한 역사용어를 엄선해 그 대안은 무엇인지, 우리가 꼭..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한국사

한국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신사유람단을 1881년 일본시찰단으로역사용어 바로쓰기, 강정숙 외, 역사비평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