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통일기 신라의 정치와 사회통일신라시대의 정치와 사회를 보면, 통일 이전 시기의 연장이라고 할 수 있다. 골품제도는 전과 다름없이 정치와 사회를 규제하는 대본으로서 작용했다. 정치운영에 있어서도 진골귀족에 의한 합의제도의 전통이 뿌리깊게 남아 있었다. 그러나 행정 및 군사제도만은 통일에 수반하여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즉 중앙의...
-
통일기 신라의 예술통일신라시대에는 시가와 음악도 발달했다. 통일 이전에 발생한 향가는 통일기에 들어와 한층 더 발전하여 신라말에 〈삼대목 三代目〉이라는 가요집이 편찬되었다. 음악에 있어서는 고구려 유민들에 의해서 거문고가 전해져서 종래의 가야금과 함께 널리 보급되었다. 또한 춤은 중국을 통해서 서역계통의 가면무용이...
-
통일기 신라의 학문과 종교통일신라시대의 문화는 삼국시대 문화를 한 차원 높은 수준에서 종합하여 민족문화 발전의 기틀을 마련한 데 그 특색이 있다. 한문학 분야에서는 통일신라 초기에 강수와 설총이 활약했는데, 그뒤 김대문(金大問)·최치원(崔致遠)과 같은 대학자가 나타나 후세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한편 국학이 설치된 후 유학에 대한...
-
-
-
유교 유술, 儒敎山 · 西 皮田 · 北 金剛山), 임신서기석에 새겨진 하늘 앞에 맹세하는 신라 청년들의 생생한 모습 등은 삼국시대에 영산을 매개로 하늘과 소통하고자 했던...국가의 명운(命運)을 빌고 공동체의 기반을 다졌다. 삼국시대의 중기 이후 통일기에 가까워질수록 중국 유교식 제도가 유입되었지만, 삼국은 모두 국가의 기원...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삼국통일 이전의 신라개요 신라의 역사는 크게 삼국통일 이전과 이후로 구분된다. 〈삼국사기〉는 신라의 전(全)역사를 3시기로 구분하여 통일 이전을 상대(上代), 통일기는 중대(中代)와 하대(下代)로 나누었다. 반면 〈삼국유사〉는 통일 이전을 상고(上古)와 중고(中古)로 나누고 통일기를 하고(下古)로 잡았는데, 이는 왕실 혈통상의...
-
삼국통일 이전 신라의 문학과 예술풍요가 있다. 이같은 시가문학은 불교의 영향을 받아 향가로 발전했는데, 통일기에 들어가면 이는 크게 융성했다. 시가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음악은...대가야 출신의 우륵에 의해 가야금이 전래되면서 신라의 음악은 발전의 계기를 마련했다. 우륵은 신라에서 몇몇 제자를 양성했는데, 총 185개의 가야금 악곡이...
-
신라 사로(斯盧), 新羅관청의 장관직인 영이 대개 2명 이상의 복수로 되어 있는 점이라든지, 더욱이 이들 장관직이 겸직의 형태로 소수의 진골귀족에 의해 독점되어 있는 것은 통일기 신라의 정치가 기본적으로 합의에 의해 운영되고 있던 것을 암시한다고 보여진다. 지방행정제도 지방의 통치조직은 점령지역의 확보책으로서 설치되어 지방의...
- 유형 :
- 지명/지명
- 분야 :
- 역사/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