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당서 新唐書, Hsin T'ang shu
    중국 기전체 사서인 24사(二十四史) 가운데 하나. (병). Xin Tang shu. (웨). Hsin T'ang shu. (영). New History of the T'ang Dynasty.|당(唐)의 건국(618)부터 멸망(907)까지의 사실을 기록했다. 225권으로 송대 구양수(歐陽修)·송기(宋祁) 등이 편찬했다. 1044년(慶歷 4)에 초고를 완성했고 1060년(嘉祐 5)에 책...
    도서 다음백과
  • 신당서 New Book of Tang, 新唐書
    이십사사 《신당서》(新唐書)는 북송 인종이 《구당서》(舊唐書)의 내용이 왜곡된 것이 많고 너무 부실하다고 하여 구양수 등에 명하여 1044년 ~ 1060년에 걸쳐 완성한 당나라의 역사를 서술한 책이다. 이십사사 중 하나에 속한다. 송나라 시대에 당시에 얻을 수 있는 자료를 구당서의 누락된 부분을 보충하고, 체계를 ...
    도서 위키백과
  • 봉사고려기 고려기(高麗記), 奉使高麗記
    않지만 『한원(翰苑)』 「번이부(蕃夷部)」와 『태평환우기(太平寰宇記)』 등에 그 일부가 인용되어 있다. 그리고 『구당서』 「경적지(經籍志)」와 『신당서』 「예문지(藝文志)」에 서명(書名)이 확인된다. 『구당서』 「경적지」와 『신당서』 「예문지」에는 고구려와 관련한 2편의 저술이 나오는데, 하나는 배구...
    시대 :
    고대/삼국/고구려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고대사
  • 장건장 묘지 張建章 墓誌
    관전(官殿), 관품(官品) 등의 기록을 남겨 당대(當代)에 전하게 된다. 장건장의 『발해기』는 문헌기록에는 책명이 『발해국기(渤海國記)』로 나오며, 『신당서(新唐書)』, 『송사(宋史)』, 『옥해(玉海)』, 『남부신서(南部新書)』, 『동도사략(東都事略)』, 『숭문총목(崇文總目)』, 『통지(通志)』, 『국사경적지...
    유형 :
    유물
    분야 :
    역사/고대사
  • 고선지 高仙芝
    말하기도 하는데, 그 근거는 고구려 유민이 사막곡(沙漠曲)으로 많이 유입된 사실이 있기 때문이다. 그를 고구려인으로 보는 자료로는 ≪구당서≫·≪신당서≫와 ≪자치통감≫ 등이 있다. ≪구당서≫와 ≪신당서≫ 고선지전에는 그를 명확히 고구려인이라 하였고, ≪구당서≫와 ≪자치통감≫에는 선임 안서절도사...
    시대 :
    고대/삼국
    출생 :
    미상
    사망 :
    755년
    유형 :
    인물
    직업 :
    장수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걸걸중상 대걸걸중상(大乞乞仲象), 乞乞仲象
    내용 『신당서(新唐書)』발해전에 의하면 걸걸중상(乞乞仲象)은 고구려에 복속되었던 속말말갈족(粟末靺鞨族 )출신으로 당나라의 영주(榮州) 지방에 옮겨가 살고 있었다. 696년 거란족의 반란을 틈타 함께 억류생활을 하던 말갈 추장 걸사비우(乞四比羽) 및 고구려 유민들과 함께 당나라의 지배에서 벗어나 동으로 이동...
    시대 :
    고대/남북국/발해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진국공(震國公)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696년 영주반란사건
    직업 :
    왕족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선명력 宣明曆
    내용이 있다. 이는 이미 『선명력』에 많은 수정이 가해져 「역지」가 편찬될 무렵의 『선명력』은 애초에 사용하던 원본과는 달랐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신당서(新唐書)』에 전하는 『선명력』은 『고려사』에서 소개하고 있는 『선명력』과 달리 계산에 필요한 간단한 천문 상수(天文常數)와 계산 표만 전할 뿐...
    시대 :
    고려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현주 顯州
    내용 『신당서(新唐書)』에 기재되어 있는 62주(州) 중의 하나로서 중경현덕부(中京顯德府)에 속하였다. 한편, 『신당서(新唐書)』 지리지에 실려 있는 가탐(賈耽)의 『도리기(道里記)』에는 천보(天寶, 742∼755)중에 이곳으로 도읍을 삼았다고 기록되어 있어서, 다음의 두가지 문제가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첫째...
    시대 :
    고대/남북국
    성격 :
    지방행정구역
    유형 :
    제도
    시행처 :
    중경현덕부(中京顯德府)
    분야 :
    역사/고대사
  • 고구려비기 高句麗秘記
    내용 현전하는 자료 중에는 ≪당회요 唐會要≫에 가장 먼저 나타나 있으며, 그 기사를 약간 개서한 정도의 것이 ≪신당서 新唐書≫와 ≪삼국사기≫에 전해지고 있다. 이 비기의 내용이 어떤 것들인지는 알 수 없으며, 단지 고구려의 운수가 다하여 늙은 장군에게 망하게 되리라는 예언적 내용만이 전해진다. 668년(보장...
    시대 :
    고대/삼국
    창작/발표시기 :
    고구려 말
    성격 :
    도참서, 참위서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고대사
  • 삼국시대 한국 주택
    곳에서 발굴된 건축지, 출토유물, 관계문헌 등을 통해 건축도 상당히 발전했음을 알 수 있다. 고구려의 주택건축은 현존하는 유구는 없으나 〈구당서〉·〈신당서〉 등의 문헌과, 고분벽화 및 출토된 와당과 가형토기 등으로 미루어 상류주택은 기와집이었고, 서민주택은 초가로 그 구조는 기둥과 도리·보를 쓴 목조...
  • 압록강 鴨綠江, Yalu river
    동천·남천·영주천·구곡천·합수천·당목천·삼교천을 차례로 합한 뒤 평안북도 용천군 진흥노동자구 남쪽에서 서해로 흘러든다. 압록강의 명칭은 〈신당서 新唐書〉에 "물빛이 오리 머리색과 같다 해 압록수(鴨綠水)로 불린다"는 기록에서 유래하며, 〈삼국사기〉에는 압록수(鴨淥水)로, 〈삼국유사〉에는 압록(鴨綠...
    위치 :
    한반도, 중국 동북 지방의 국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 화백 和白
    우리나라 역사책에는 화백에 대한 기록이 보이지 않으나, 중국의 〈신당서 新唐書〉 동이전 신라조에서는 "국가가 일이 있으면 반드시 여러 사람과 의논해 결정한다. 이를 화백이라 했으니 한 사람이라도 이의가 있으면 그만두었다"라고 했다. 이로써 미루어본다면 화백은 만장일치로 의결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던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구양수(Ouyang Hsiu)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