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서희의 담판 서희가 거란의 침입을 말로써 종식시키다고려사》는 기록하고 있다. 서희로서는 그만큼 비감한 심정으로 회담을 맞고 있었다. 처음 서희가 국서(國書)를 가지고 거란 진영에 도착하자 소손녕(蕭遜寧)은 ‘대조(大朝)의 귀인’을 자칭하며 서희에게 뜰에서 절을 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서희는 ‘두 나라 대신이 보는 자리’라며 이를 거절했다. 소손녕이 세...
- 시대 :
- 993년
-
서희 徐熙책임지는 병관어사가 된 데 이어 내사시랑평장사를 거쳐 태보, 내사령의 최고직에까지 올랐다. 993년 거란의 침입으로 조정이 시끄러워졌다. 거란의 적장은 소손녕(蕭遜寧)이었다. 거란은 고려가 북진 정책을 포기하지 않는 데에다 친송 외교 정책에 불만을 품은 상태였다. 소손녕이 이끄는 거란 군은 봉산군(蓬山郡...
- 출생 :
- 942년
- 사망 :
- 998년
-
강시중전 강감찬실기, 姜侍中傳수습하고 무관을 등용하였으며, 모든 백성들이 강한 군사가 되도록 만들었다. 한편 적국의 왕은 일단 군사를 물렸으나 침략할 기회만 노리고 있다가, 마침내 소손녕(蕭遜寧)에게 군사 100만을 주어 현종 9년에 또다시 고려 땅을 침범하게 하였다. 이때 상원수(上元帥)가 된 강감찬은 전국에 비상령을 내려 군사를 동원한...
- 시대 :
- 근대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고전산문
-
-
-
이몽전 李蒙戩, Yi Mongjeon및 활동사항 가계와 출신지는 자세하지 않다. 이몽전(李蒙戩)은 993년(성종 12) 윤10월 거란의 제1차 침입 때 사신으로서 활약하였다. 이 해에 거란 장수 소손녕(蕭遜寧)이 고려를 침략하여 항복을 요구하자, 서희(徐熙)가 소손녕의 글을 보고 국왕 성종에게 화친할 수 있겠다는 판단을 알렸다. 이때 감찰사헌(監察司憲...
- 시대 :
- 고려전기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감찰사헌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거란 제1차 침입
- 직업 :
- 관리,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
서희 장위(章威), 徐熙송(宋)나라와의 외교를 직접 사신으로 가 큰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가장 큰 외교적 활약은 993년(성종 12)에 대군을 이끌고 침략해 온 거란(契丹)의 장수 소손녕(蕭遜寧)과 담판해 이를 물리친 일이었다. 고려의 일방적인 북진정책(北進政策)과 친송외교(親宋外交)에 불안을 느낀 거란이 동경유수(東京留守) 소손녕...
- 시대 :
- 고려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
거란 1차 침략 발생거란이 쳐들어왔다. 거란은 송나라와 다투고 있었는데, 고려가 송나라와 교류하며 거란을 멀리했기 때문이다. 거란 성종(聖宗)은 소손녕에게 80만 대군을 주어 남하하도록 했다. 거란이 지금의 황해북도 봉산군을 빼앗자 고려 조정에서는 항복하든지 서경 이북을 떼어 주자는 논의가 일어났다. 그러나 중군사 서희가 끝...
- 시대 :
- 993년
- 국가/대륙 :
-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