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강동6주

다른 표기 언어 江東六州

요약 고려 성종 때 지금의 평안북도 서북 해안지대에 설치한 6주.

흥화진(興化鎭:義州 동쪽)·용주(龍州:龍川)·통주(通州:宣川 서북쪽)·철주(鐵州:鐵山)·구주(龜州:龜城)·곽주(곽산)를 말한다. 고려시대 서북면(西北面) 해안지대에 여진족이 살고 있었기 때문에 태조 이래 추진해온 북진정책에 큰 장애가 되었다. 그런데 993년(성종 12) 거란(契丹)의 제1차 침입 때 서희(徐熙)가 거란 장군 소손녕(簫遜寧)과 담판함으로써 이 지역을 고려의 영토로 편입했다.

강동6주

강동6주와 천리장성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당시 소손녕은 고려 침입의 이유를 첫째로 고려는 신라 땅에서 일어났고 고구려 땅은 자기네의 소유인데 고려가 침식했으며, 둘째로는 자기 나라와 접경하고 있으면서도 바다를 건너 송(宋)을 섬긴다는 점을 들었다.

이에 대해 서희는 첫째 고려는 고구려를 옛 터전으로 하였으므로 고려라 이름짓고 평양에 도읍했으며, 둘째 고려가 거란과 국교를 맺지 못한 것은 압록강 안팎에 도거하고 있으면서 완악하고 간사한 짓을 하는 여진 때문이니 이들을 쫓아내고 우리의 옛 땅을 되찾는다면 거란과 국교를 맺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소손녕은 군사를 돌이켰으며, 고려가 압록강 동쪽 280리의 땅을 장악하는 데 동의하는 글을 보내왔다. 이에 고려는 강동의 여진족을 몰아내고 994년(성종 13) 장흥진(長興鎭:泰川)·귀화진(歸化鎭:위치 미상)·구주·곽주에 성을 쌓았고, 995년 다시 안의진(安義鎭:安州)·흥화진에, 996년에는 선주(宣州:宣川)·맹주(孟州:孟山)에 성을 쌓음으로써 서여진(西女眞)을 복속시키고 동시에 강동6주를 확보하는 실리를 얻었다. 그런데 그 이후에도 고려가 송과 비공식적인 교류를 계속하자 거란은 큰 불만을 가졌다.

뿐만 아니라 동여진(東女眞) 경략상 고려에 넘겨준 강동6주가 전략적으로 중요하다고 깨달으면서 여러 번 고려에 사신을 파견하여 송과의 국교단절과 국왕의 친조(親朝), 강동6주의 반환을 요구했다.

고려가 이에 응하지 않자 거란은 1010년(현종 1)과 1018년 2차례에 걸쳐 고려를 침입했다. 1010년에는 거란의 성종(聖宗)이 직접 40만 군을 이끌고 강조의 죄를 묻는다는 구실로 침입했으나, 고려와 거란 양측에 큰 피해만 입힌 채 끝났다. 1018년 침입 때는 소배압(蕭排押)이 10만 군을 거느리고 강동6주의 반환을 요구하면서 공격해왔으나, 구주에서 강감찬(姜邯贊)의 반격을 받아 수천 명만이 겨우 살아서 돌아가는 참패를 당했다.

이것을 구주대첩(龜州大捷)이라 한다.

이후 두 나라는 오랜 전란에 지쳐 화의를 도모하며 고려는 거란의 연호를 쓰기로 하고, 거란은 보주(保州:義州)와 선주를 차지하되 강동6주 반환의 요구를 철회함으로써 강동은 계속해서 고려의 영토로 남게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고려

고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강동6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