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성무일도서 聖務日禱書, breviary
    로마 가톨릭 교회의 전례서(典禮書). (라틴어로 '압축'이라는 뜻의 breviarium에서 유래).|매일 정해진 시간에 시편·성서본문·찬송을 낭송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매일 예배와 교회의 공식 기도를 싣고 있다. 성무일도서가 간추린 책으로 나타난 것은 성무일도 자체가 확정되어 널리 쓰이기 시작한 뒤와, 성무일도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성무일도서 聖務日禱書, book of hours
    중세 말기에 널리 유행했던 기도서.|13세기에 나타나기 시작했고, 성무일도 시간에 성모 마리아를 예배하면서 드리는 기도문들이 실려 있다. 가정에서, 또한 개인들이 사용하기 편한 소책자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어나면서 이러한 형태의 기도서가 등장했고 이것은 부자들 사이에서 크게 유행했다. 이 책의 수요가 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성무일도서 聖務日禱書, Breviary
    공식 「성무일도서」이며 교회가 연중 매일 매시간 하느님을 찬양하는 기도를 담고 있다. 11세기까지 「성무일도서」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요소가 개별 책, 곧 시편집, 미사 전례 성서(독서 모음집), 성인 축일표, 강론집(교부들의 설교 모음집), 따름노래집, 찬미가집(성무일도 때 음정을 붙여 부르는 찬미가 모음집)...
  • 성무일도서 Breviary
    성무일도서(聖務日禱書)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라틴 전례에 사용되는 기독교 전례서이며, 매일 정해진 시간에 하느님을 찬미하는 교회의 공적(公的)이고 공통적인 기도, 곧 찬미가와 시편, 전례 독서, 교부들의 설교, 기도 등을 담고 있다. 특별히 성직자들과 수도자들의 매일 기도 의무를 채우기 위해 간략하면서도 휴대...
    도서 위키백과
  • 수도원 성무일도서 修道院 聖務日禱書, Monastic Breviary
    「로마 성무일도서」의 변형본으로서 베네딕도 수도회와 다른 수도자와 수녀들이 사용한다. 「성 베네딕토 규칙서」의 지침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성 비오 5세와 우르바노 8세의 개혁에서 제외된 이 성무일도서는 시편 배열과 특히 독서의 수에서 「로마 성무일도서」와 다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시간전례」를...
  • 성무일도 聖務日禱, divine office
    하루의 성무일도를 완전히 드리지만 많은 본당 교회에서도 조과와 만과는 드린다. 동방정교회에서는 성무일도를 집단 활동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에 성무일도를 혼자서 암송하는 일은 거의 없다. 영국 성공회에는 중세 교회에서 하던 조과·찬과·일시과 등의 형식을 내포하는 아침 기도와 만과나 종과와 비슷한 저녁기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성무일도 聖務日禱, Divine Office
    점차 일정한 시간의 주기로서 좀 더 확실한 형태를 취해 시간경 혹은 성무일도가 되었다. 시간경을 바치는 방법에 있어, 여러 시대에서 중대한 변경이 이루어졌는데 그 중에는 개인으로 바치는 관례를 들 수 있다. 교황 성 비오(St. Pius) 5세가 1568년 공포한 ≪로마 성무일도서≫(Breviarium Romanum)는 라틴 교회의...
  • 성모 소성무일도 Little Office of the Blessed Virg..
    성모 소성무일도(聖母 小聖務日禱)는 성모 마리아를 기리기 위해 성무일도를 본떠 간략하게 만든 기독교의 기도서이다. 라틴어로는 'Officium Parvum Beatae Mariae Virginis'이라고 한다. 먼 곳을 여행하여, '(대)성무일도서(書)'를 휴대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많이 쓰이고 있다. 성모 소성무일도라고도 한다. 성무일도...
    도서 위키백과
  • 시간 전례 Liturgy of the Hours, 聖務日課
    전에는 성무일도서에 수록된 대로 간략한 초대의 말로써 시작할 수도 있다. 주님의 기도를 마친 다음에 아침 기도와 저녁 기도에서는 “기도합시다.”를 생략하고, 낮기도에서는 “기도합시다.”로 시작하며 마침 기도를 바친다. 만약 사제나 부제가 있는 경우에는 마침 기도에 파견 인사가 뒤따른다. 사제나 부제가...
    도서 위키백과
  • 가톨릭 교회의 전례 로마 가톨릭교의 전례
    11세기에 전례는 고전적인 형식을 갖추게 되어 제2차 바티칸 공의회까지 유지되었다. 완전한 전례는 매일 거행하는 장엄(엄숙) 대미사와 성가대가 바치는 성무일도의 낭송을 포함했다. 장엄 대미사는 최소한 3명의 성직자(주례자, 부제, 차부제)가 집전하였고, 이들은 많은 시종과 복사(服事)의 시중을 받았다. 대림시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이년 주기 독서, 성무일도 聖務日禱~ 二年 週期 讀書, Two-Year C..
    1) 성무일도서에서 성서 독서는 미사에 나오는 독서를 보충하여 독서를 봉독하는 사람이 구원 역사의 요체를 볼 수 있게 한다. 네 권으로 된 시간전례(1년 주기)에 나오는 독서 계열과 「시간전례서」 총지침 145항에 언급되었고 노띠시에 119 -123항(1976년 6-10월)에 열거된, 자유 선택으로 사용되는 이년 주기 독서...
  • 법정 시간경 Canonical hours, 時課
    시기 제18주간부터 제34주간. 8월 4일부터 그리스도 왕 대축일 후 연중 제34주간 토요일까지의 전례 시기와 기념일 기도문이 수록되어 있다. 성무일도서에는 하루 일곱 번(소성무일도에서는 네 번)의 기도 시간이 제시되어 있다. 각각의 기도 시간을 시간경이라고 한다. 독서기도(말씀 기도), 아침 기도, 낮 기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성무일도서(breviary)
성 제롬의 성무일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