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전 丁田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토지제도.|개설 722년(성덕왕 21) 백성 가운데 정(丁)의 연령층에게 주어졌던 토지이다. 연원 및 변천 정전으로 지급된 토지의 성격과, 이와 같은 조처가 나오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문들이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명하는 일은 당시 농민들의 토지에 대한 지배관계, 나아가 국...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성격 :
    토지제도
    유형 :
    제도
    시행일 :
    722년(성덕왕 21)
    분야 :
    역사/고대사
  • 정전 正田
    정전(正田)은 조선시대에 양안에 등록된 토지 가운데 휴한(休閑) 혹은 진황(陳荒)시키지 않고 해마다 경작하는 토지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이는 휴한 농법이 극복되고 상경전이 크게 확대된 조선시대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으며, 경작하거나 묵히기도 하는 속전(續田)과 대비되어 사용되었다.|내용 조...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정전 正田
    속전이 경작할 때만 세를 거둘 수 있는 대상이었던 반면, 상경전으로 파악된 정전은 면세가 되지 않는 토지였다. 정전이 본격적으로 활용된 것은 1444년에 제정된 공법수세제에서였다. 공법수세제에 의하면 진황된 정전이라도 세를 거두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정전이더라도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전품의 변동이 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정전 丁田
    통일신라시대 토지제도의 지목(地目) 가운데 하나.|〈삼국사기〉에 따르면 722년(성덕왕 21) 8월에 처음 백성에게 정전을 지급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외의 다른 자료가 거의 없어 이것이 중국 당나라의 균전제(均田制)와 같은 것인지 확실하지 않아 여러 가지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다만 신라촌락문서에서 '연수유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정전 성임(聖任), 鄭篆
    조선후기 『송창집』을 저술한 학자.|개설 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성임(聖任), 호는 송창(松滄). 아버지는 정형보(鄭亨輔)이며, 어머니는 광주김씨(廣州金氏)로 김정구(金鼎九)의 딸이다. 큰아버지 정인보(鄭仁輔)에게 입양되었으며, 계덕해(桂德海)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76년(영조 52) 증광...
    시대 :
    조선
    출생 :
    1729년(영조 5)
    사망 :
    1790년(정조 14)
    경력 :
    사헌부장령, 청암찰방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대표작 :
    송창집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하동(河東)
  • 정전 수보(壽甫), 鄭佺
    조선시대 『송오문집』을 저술한 학자.|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수보(壽甫), 호는 송오(松塢). 양구현감 정사성(鄭士誠)의 아들이다. 아버지를 통하여 이황(李滉)의 학문을 이어받았으며, 김성일(金誠一)·유성룡(柳成龍)·구봉령(具鳳齡)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01년(선조 34) 생원시에 합...
    시대 :
    조선
    출생 :
    1569년(선조 2)
    사망 :
    1639년(인조 17)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대표작 :
    송오문집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청주(淸州)
  • 정전 자원(子遠), 鄭荃
    조선 전기에, 승문원정자, 예문관검열, 대교 등을 역임한 문신.|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자원(子遠). 아버지는 사직 정원운(鄭元耘)이며, 어머니는 최계림(崔繼林)의 딸이다. 형운(亨耘)에게 입양되었다. 1498년(연산군 4) 사마시에 합격하고, 1509년(중종 4)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정자...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한국군사정전에 관한 협정 정전협정
    1953년 7월 27일 조인된 6·25전쟁의 휴전협정. 이 협정으로 1950년부터 3년여간 지속된 한반도 내 전쟁이 중단되었다. UN군측 수석대표, 공산군측 대표, UN군 총사령관, 조선인민군 총사령관, 중국인민지원군 총사령관이 각각 서명했으며, 한국에서의 모든 무력행동을 종결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다.|한국전쟁을 중단...
    날짜 :
    1953년 7월 27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정전 interruption
    ① 산업용 및 상용 전력계통의 신뢰할 수 있는 계획과 설계 용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의 상실 ② 전력 계통 용어. 한 사람 또는 다수의 소비자 시스템의 배치에 의하여 다르지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스템 구성 설비의 고장 결과에 의한 공급 불능 〈참조어〉 사고, 공전(atmospherics)
  • 정전 停戰, cease-fire
    전투행위를 완전히 멈추는 것.|휴전과 똑같은 일반원칙의 규제를 받는다. 오늘날의 외교 용어에서 정전이라는 말은 교전국이 협상에 임하는 입장이 너무 달라서 정식으로 휴전협정을 맺을 수 없다는 의미를 함축한다. → 휴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반상식
  • 정전 interruption to service
    전력용 개폐장치 용어. 계통의 이상으로 기인되어 전기부하가 그 부하 공급계통에서 분리 되는 것
  • 종묘 (동의어 정전) 宗廟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 시대 역대 왕과 왕비, 그리고 추존왕과 왕비의 신주를 봉안한 사당. 정전·태묘.|내용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종묘는 원래 정전(正殿)을 말하며, 태묘(太廟)라고도 한다. 태묘는 태조의 묘(廟)가 있기 때문이다. 역대 왕과 왕후는 사후에 그 신주를 일단 종묘에 봉안하였다. 공덕...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유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16건

송창집(권8) / 제영산강신문
송창집
송오집
송오집
종묘 정전
종묘 정전
종묘 정전
종묘 정전
종묘 정전
종묘 정전
종묘 정전
종묘 정전
유의정전
종묘정전
종묘정전
종묘정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