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상임위원회 常任委員會상임위원회는 일정한 소관 사항에 속하는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국회에 상설로 설치된 위원회이다. 국회가 결정해야 할 사안들이 갈수록 전문화·다양화되면서 본회의에서 모든 사안을 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효율성과 전문성을 제고하고자 전문 지식과 경력을 갖춘 국회의원들이 분야별로 위원회를 구성해 ...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最高人民會議 常任委員會국가주석이 가지고 있던 권한의 일부와 최고인민회의 상설회의가 가지고 있던 기능을 보유함으로써 그 역할이 확대되었다. 헌법에 명시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주요 권한은 다음과 같다. ① 최고인민회의 소집, ② 최고인민회의 휴회 중 제기된 안건 심의채택, ③ 최고인민회의 휴회중 제기되는 인민경제발전계획...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중국의 정치와 사회중국공산당은 주요 정치·경제·문화 기구를 장악하고 중국사회를 지배하고 있다. 이 나라의 의사결정권은 6명으로 구성된 정치국 상임위원회에 있다. 상임위원 6명은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210명의 위원과 138명의 후보위원으로 구성)에서 선출된다. 주요 당 간부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정부 고위직을 점하고 있다...
-
-
-
대한민국 국회 상임위원회상임위원회(常任委員會, llang)는 국회에서 국회의원을 구성원으로 하여 각 전문 분야 별로 만든 위원회 조직이다. 국회의원이나 정부가 제출한 법률안을 국회 본회의에 부의하기 전에 그 소관에 속하는 의안이나 청원을 심사하기 위하여 상설적으로 운영한다.홍정규·임형섭·홍지인. "법안·예산 출입문 누가 꿰찰거냐...도서 위키백과
-
국가재건최고회의 國家再建最高會議예비역 장교로 구성되었으며, 의장을 정점으로 상임위원회 · 분과위원회 · 특별위원회, 실무지원을 위한 총무처, 대외선전을 위한 공보실을 두었다. 상임위원회는 의장 · 부의장과 각 분과위원장으로 구성되어 위임사항에 대하여는 최고회의의 권한을 대행했다. 법제 · 사법내무 · 외무국방 · 재정경제 · 교통...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비상국민회의 非常國民會議2월 14일부터 17일에 걸쳐 제2차 전국대의원총회를 개최하고 의장에 조소앙, 부의장에 유림을 추대하는 동시에 회의명칭을 ‘국민회의’로 변경하였다. 같은 해 5월 29일 중앙상임위원회는 다시 대한국민회로 명칭을 변경하는 등, 대내적인 내분이 겹쳐 자체모순으로 인하여 더 이상의 발전을 보지 못하였다. 참고문헌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46년 2월 1일
- 성격 :
- 정치회의
- 유형 :
- 단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