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사보임

다른 표기 언어 辭補任

요약 국회 위원회 위원의 사임과 보임을 묶어 말하는 용어. 국회의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에는 국회의원들이 배치되어 분야별로 국정에 관련된 법안이나 사안을 논의한다. 각 위원회에 대한 국회의원의 배치는 각 교섭단체 정당의 원내대표에 의해 이루어진다. 위원회에 의원을 배치한 후 사임과 보임에 대해서 해당 정당의 원내대표가 국회의장에게 신청한 후 국회의장이 이를 승인하면 위원의 사임과 보임이 완료된다.

개요

국회 위원회에 소속된 위원을 소속 정당에서 사임하거나 보임하는 일. <국회법> 제48조 '위원의 선임 및 개선' 조항에 근거해서 시행된다. 국회의원은 <국회법> 제35조에 따라 개설되는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에 소속되어, 소관에 속하는 의안과 청원 등을 심사하거나 관련된 직무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위원회 소속 의원의 사임과 보임을 함께 부르는 용어를 '사보임'이라고 한다.

위원회

국회에 있는 위원회는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로 구분된다. 상임위원회는 국회운영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정무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교육위원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 국방위원회, 행정안전위원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정보위원회, 여성가족위원회 등이 있다(국회법 제37조).

만일 어느 상임위원회에도 속하지 않는 사항이 발생할 때에는 국회의장이 국회운영위원회와 협의하여 소관 상임위원회를 정하도록 되어 있다(동법 제37조). 특별위원회는 둘 이상의 상임위원회와 관련된 안건이거나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한 안건을 효율적으로 심사하기 위하여 본회의의 의결로 만들어진다.

위원의 임기와 개선

상임위원은 교섭단체 소속 의원 수의 비율에 따라 각 교섭단체 대표의원의 요청으로 의장이 선임하거나 개선한다. 이 경우 각 교섭단체 대표의원은 국회의원 총선거 후 첫 임시회의 집회일부터 2일 이내에 의장에게 상임위원 선임을 요청하여야 하고, 처음 선임된 상임위원의 임기가 만료되는 경우에는 그 임기만료일 3일 전까지 의장에게 상임위원 선임을 요청하여야 하며, 이 기한까지 요청이 없을 때에는 의장이 상임위원을 선임할 수 있다.

상임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보임되거나 개선된 상임위원의 임기는 전임자 임기의 남은 기간으로 하게 되어 있다. 상임위원은 교섭단체 소속 의원 수의 비율에 따라 각 교섭단체 대표의원의 요청으로 의장이 선임하거나 개선한다. 위원을 선임한 후 교섭단체 소속 의원 수가 변동되었을 때에는 의장은 위원회의 교섭단체별 할당 수를 변경하여 위원을 개선할 수 있다(동법 제48조 1항).

위원을 개선할 때 임시회의 경우에는 회기 중에 개선될 수 없고, 정기회의 경우에는 선임 또는 개선 후 30일 이내에는 개선될 수 없다. 다만, 위원이 질병 등 부득이한 사유로 의장의 허가를 받은 경우를 제외한다. 의장과 교섭단체 대표의원은 의원을 상임위원회의 위원으로 선임하는 것이 공정을 기할 수 없는 뚜렷한 사유가 있다고 인정할 때에는 해당 상임위원회의 위원으로 선임하거나 선임을 요청할 수 없다(동법 제48조5~7항).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사보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