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복수투표제 複數投票制
    한 유권자에게 복수의 투표권을 주는 투표제. 1인1표주의가 평등선거의 원칙을 구현하는 장치인 데 비해 이 투표제는 신분, 재산, 연령 등에 따라 투표권을 복수로 주는 제도이다. 현대국가의 정치적 선거에서는 사라졌지만 국제기구 등에서는 ‘가중투표제’라는 개념으로 남아 있다.|한 유권자에게 조건에 따라 복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선거
  • 가중투표제 (관련어 복수투표제) 加重投票制, weighted voting system
    투표권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투표제. 투표자의 조건에 따라 가중치를 주는 제도이다. 복수투표제와 비슷한 개념이다. 통상적인 국제 조약이나 조직에서는 1국 1표제를 택하지만 국제부흥개발은행, 국제통화기금 등에서는 투표에 구속력을 주기 위해 출자금액에 따라 가중치를 준다. 유럽의회에서도 무역과 관련된 문제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제도
  • 등급선거 (관련어 복수투표제) 차등선거, 等級選擧
    유권자의 등급을 구분하여 선거권을 부여하는 제도. 평등선거에 위배되는 개념이지만 근대 초기 시민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드물지 않은 일이었다. 19세기 프로이센에서는 3등급으로 나누었고, 벨기에에서는 거주 기간, 연령, 학력에 따라 투표권에 차등을 두기도 했다.|선거인을 조건에 따라 몇 개의 등급으로 나누어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선거
  • 불평등선거 (관련어 복수투표제) 不平等選擧
    신분과 성별 등 투표자의 조건에 따라 투표권에 차등을 두는 제도. 신분에 따라 2표 이상의 투표권을 주는 '복수투표제', 재산에 따라 선거인의 수를 나누는 '등급별선거제' 등의 사례가 있다.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영국에서는 여성에게 선거권을 부여하지 않았으며, 벨기에에서는 연령, 해당지역 거주기간, 교육수준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선거
  • 투표 投票, ballot
    입각하여 1명에게 1표의 투표권만을 인정하는 투표제이다. 과거에는 선거인의 재산·교육·신분 및 그밖의 조건에 따라 1명에게 2표 이상을 인정한 복수투표제와 등급투표제가 있었다. 전자는 1893년 벨기에 선거법에 규정된 것으로 한 선거구에 2년 이상 거주자에 2표, 3년 이상 거주자에게는 3표를 부여하고, 또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의회/정당 , 선거
  • 선호투표제 選好投票制, preferential voting
    선호투표제란 선거인이 지지 후보 1명만 찍는 것이 아니라 출마한 후보 모두를 지지하는 순서대로 기표하는 방식으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실시되고 있는 제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새천년민주당 대선후보 예비경선에서 도입되었다. 투표 완료 후 1순위 개표에서 과반수 득표자가 나오면 간단하게 당선자가 확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단기비이양식투표제 단순단기명투표제도, 單記 非移讓式 投票制度
    감안하면 이와 같은 불비례성은 민의를 왜곡시키는 셈이다. 또 이 제도는 파벌정치를 양산한다. 정당에서는 지지세가 강한 지역일수록 다수의 후보를 복수공천하게 마련이므로 후보자들은 다른 당의 후보와는 물론이고 자기 당의 후보와도 경쟁을 해야 하는 처지에 몰리게 된다. 자연히 정당 내의 파벌 보스에 기대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선거
  • 누적투표제 집중투표제, cumulative voting
    유권자에게 복수의 투표권이 부여되고, 유권자는 그 투표권을 자신이 선호하는 특정후보에게 집중해서 투표할 수 있도록 한 투표제도. 집중투표제는 기본적으로...지방선거, 오스트레일리아의 일부 지역 등에서 채택되고 있다. 누적투표제의 방식은 기표방식과 숫자방식, 성명자서방식으로 구분된다. 기표방식용 투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선거
  • 선거 Election, 選挙
    투표 : 비교적 최근의 투표 방식으로, 전자 기기를 통하여 후보자를 선택하는 제도. (대한민국에서는 아직 전자투표가 보급되지 않았다.) 복수선택 여부에 따른 구분 단기투표제 : 투표자가 1명의 후보자를 선택하여 투표. 연기투표제 : 투표자가 2명 이상의 후보자를 선호순위에 따라 선택하여 투표. 투표장소에 따른...
    도서 위키백과
  • 1950년 영국 총선 1950 United Kingdom general election,..
    선거도표 1950년 영국 총선은 1948년 선거법 개정으로 복수투표제가 도입되고 선거구 개혁이 이뤄진 뒤 영국에서 치러진 총선으로, 83.9%의 투표율을 보이며 노동당이 재집권에 성공하였다. 정당별 의석수 정당별 당선자 수 (명) 정당 의석수 노동당 막대막대막대막대 315 보수당 막대막대막대 282 자유국민당 막대 16...
    도서 위키백과
  • 평등선거
    수가 정당 간에 균형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 불평등선거는 시민민주주의의 시대에 많이 볼 수 있었던 제도로, 신분에 따라 특권층에 2표의 투표권을 주는 '복수투표제(複數投票制)' 또는 재산의 다과(多寡)에 따라 선거인을 몇 등급으로 나누어 각각 같은 수의 의원을 선출하는 '등급별선거제(等級別選擧制)'를 채택...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