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단리/복리 simple interest/compound interest단리(simple interest)는 원금에 대해서만 약정된 이율과 기간을 곱하여 이자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1억원을 만기 2년, 연 3%에 단리로 정기예금을 하는 경우 2년후 원리금은 106백만원[100백만원(1+3%x2)]이다. 이때 실효수익률은 연 3%(6%/2)로 표면금리와 동일하다. 반면 복리(compound interest)는 일정 ...
-
-
-
이자와 복리, 가난한 채무국의 이중부담전체 국가 예산 지출 항목 중 외채 상환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개발도상국이 많다. 아르헨티나는 예산의 1/4 이상을 외국 채권자에 이자로 지출해야 하며, 자메이카와 레바논은 이자액으로만 전체 지출 예산의 절반을 쏟아부어야 한다. 인도 역시 이자 납부액이 교육 지출 예산의 3배에 이르며, 필리핀은 전체 의료...
-
복리전서 福利全書비판하고 있음을 볼 때 조선 후기로 추측된다. 내용 인·의·예·지의 사단(四端)과 군신·부자·부부간의 삼강(三綱)을 독특하게 재구성하여 일반 서민에게 복리 추구의 방법을 제시하고, 하늘[天]과 사람[人]과 귀신[鬼]의 상호 통일성을 통하여 유교 이외의 사상을 비판한 책이다. ‘복리(福利)’라는 책명은 “사람...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미상, 심대윤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후기
- 성격 :
- 유교서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도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재산권행사공공복리적합의의무 財産權行使公共福利適合─義務내용 <헌법> 제23조 2항에는 “재산권의 행사는 공공 복리에 적합하도록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였다. 여기에는 두 가지 점을 생각할 수 있다. 첫째는 재산권의 내용과 한계를 법률로 정하는 데 있어서 가급적이면 공공 복리에 적합하도록 규정하여야 하는 것과, 둘째는 개인이 재산권을 행사함에 있어서는 자기 자신...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