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단리/복리 simple interest/compound interest
    단리(simple interest)는 원금에 대해서만 약정된 이율과 기간을 곱하여 이자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1억원을 만기 2년, 연 3%에 단리로 정기예금을 하는 경우 2년후 원리금은 106백만원[100백만원(1+3%x2)]이다. 이때 실효수익률은 연 3%(6%/2)로 표면금리와 동일하다. 반면 복리(compound interest)는 일정 ...
  • 복리 중리, 複利
    이자 계산 방법의 하나로 일정기간 이자를 축적하여 원금에 가산시킨 후 이것을 새로운 원금으로 계산하는 방법.|단리의 반대 개념이다. 이율이 같다면 기간이 길수록 복리가 단리보다 유리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금융
  • 금리의 종류 (관련어 복리) 금리 이름 쏙쏙
    여신금리 여신 : 금융기관에서 고객을 믿고 돈을 빌려주는 것. 여신금리 : 금융기관에서 고객에게 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금리. 대출금리라고 생각하면 돼. 여신기관 : 돈을 빌려주는 기관, 주로 은행. 수신금리 수신 : 은행이 고객으로부터 예금 등을 받는 것. 수신금리 : 예금금리는 수신금리야. 우리 입장에서는 돈...
  • 복리 (금융) Compound interest, 複利
    복리(複利, Compound interest)란 대출이나 예금의 원금에 이자를 더하는 것, 즉 원금에 이자를 더한 것을 말한다. 이자를 상환하거나 차용자에게 지불을 요구하는 대신 이자를 재투자하거나 대출 자본에 추가하여 원금에 이전에 누적된 이자를 더한 금액에 대해 다음 기간의 이자를 얻게 되는 결과이다. 복리는 금융과...
    도서 위키백과
  • 복리 (전한)
    복리(伏理, ? ~ ?)는 전한 말기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유군(斿君)이며 낭야군 동무현(東武縣) 사람이다. 전한 초기의 학자 복승의 후손이다. 사단·만창과 함께 광형을 사사하였고, 성제에게 《시경》을 가르치고 관직이 고밀태부에 이르렀다. 아들 복담은 후한 때 대사도를, 복암은 광록훈을 지냈다. 반고, 《한서...
    도서 위키백과
  • 복리
    복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복리(福里)는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의 리이다. 복리(複利)는 시간에 따라 늘어난 이자를 원금과 함께 더해 이자를 주는 융자방식의 하나이다.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이자와 복리, 가난한 채무국의 이중부담
    전체 국가 예산 지출 항목 중 외채 상환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개발도상국이 많다. 아르헨티나는 예산의 1/4 이상을 외국 채권자에 이자로 지출해야 하며, 자메이카와 레바논은 이자액으로만 전체 지출 예산의 절반을 쏟아부어야 한다. 인도 역시 이자 납부액이 교육 지출 예산의 3배에 이르며, 필리핀은 전체 의료...
  • 복리전서 福利全書
    비판하고 있음을 볼 때 조선 후기로 추측된다. 내용 인·의·예·지의 사단(四端)과 군신·부자·부부간의 삼강(三綱)을 독특하게 재구성하여 일반 서민에게 복리 추구의 방법을 제시하고, 하늘[天]과 사람[人]과 귀신[鬼]의 상호 통일성을 통하여 유교 이외의 사상을 비판한 책이다. ‘복리(福利)’라는 책명은 “사람...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심대윤
    창작/발표시기 :
    조선 후기
    성격 :
    유교서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도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복리전서 福利全書
    1책. 필사본. 저자는 밝혀져 있지 않다. 기독교서적을 비판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씌어진 시기는 조선 후기로 보인다. 〈복리전서〉라는 책 이름은 "이(利)를 행하면 복(福)을 받고 해(害)를 행하면 화(禍)를 입게 되니…… 열심히 읽고 행하면 복을 얻을 것이다"라는 뜻에서 붙인 것이다. 체재는 〈천지인물귀신지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재산권행사공공복리적합의의무 財産權行使公共福利適合─義務
    내용 <헌법> 제23조 2항에는 “재산권의 행사는 공공 복리에 적합하도록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였다. 여기에는 두 가지 점을 생각할 수 있다. 첫째는 재산권의 내용과 한계를 법률로 정하는 데 있어서 가급적이면 공공 복리에 적합하도록 규정하여야 하는 것과, 둘째는 개인이 재산권을 행사함에 있어서는 자기 자신...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공공복리 公共福利, public welfare
    위한 공존공영의 이익을 말한다. 현대국가의 이념적 지표, 다의적 개념이다. 우리나라 헌법 제23조 제2항과 제37조 제2항에는 헌법 규범의 근거로서 ‘공공복리’를 직접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서 공공복리는 모든 국민이 존엄과 자유를 누리면서 생존할 수 있기 위한 필요조건을 유지하거나 창출하는 데 기여하는 모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복지 , 사회
  • 복리이자 複利利子
    복리이자는 원금에 대한 이자뿐만 아니라 이자에 대한 이자도 함께 계산하는 방식이다. 원금이 A, 이율이 r, 기간이 n일 경우 복리법에 의한 원리합계는 A(1+r)^n이다. 예를 들면, 10%의 이자율로 100원이 저금되면, 다음해는 110원을 받을 수 있고, 그 다음해에는 121원을 받을 수 있다. 이때 1원은 이전에 이자로 지급...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금융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4건

복리
복리전서
복리전서
복리후생비 품의서
복리후생비 품의서
복리후생설문지
복리후생규정
복리후생규정
복리후생실시 보고서
복리후생비 지급서
복리후생비 지급서
복리후생관리규정
복리후생관리규정
유복리와 매산리 고분군 전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