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문무왕 문무(文武), 文武王문무왕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0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661~681년이며 태종무열왕의 원자이자 김유신의 누이인 문명왕후의 아들이다. 즉위 전부터 외교활동과 백제와의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웠다. 즉위 초에는 백제 부흥세력 소탕에 주력했고 666년에는 당과 연합해 고구려를 멸망시켰다. 이후 삼국 전체를 자국 영...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대사
-
신라 30대 왕, 문무왕 신라 제 30대 왕, 文武王신라 제 30대 왕이자 무열왕의 장자로 이름은 법민. 왕위에 오른 후 재위 기간 동안 백제 저항군을 진압하고 고구려 정벌했으며, 당나라 군대를 축출하는 등 삼국통일의 위업을 달성했으며 귀족들에 대한 강력한 통제력을 발휘했다. 외관을 감찰하기 위한 외사정을 두고 궁궐을 웅장하게 수리하는 등 국왕의 권위를 높이...
- 출생 :
- 미상
- 사망 :
- 681(문무왕 21)
- 국적 :
- 신라, 한국
- 종교 :
- 불교
- 재위 :
- 661년∼681년
- 능묘 :
- 경주 문무대왕릉(慶州 文武大王陵)
-
문무왕 (기자조선) Munmu of Gojoseon, 文武王 (..인물 정보 문무왕이다. 공정왕의 아들이며 휘는 춘(椿)이다. 그의 왕위는 태원왕(예(禮))이 승계받았다. 안정복의 《동사강목》(東史綱目) 이덕무의 《앙엽기》(盎葉記) - 국가지식포털 한국고전번역원 - 기자조선 계보 이만운의 《기년아람》(紀年兒覽) - 권5 기자조선도서 위키백과
-
-
문무왕 설화내용 인물전설로, 문무왕이 죽어서 호국룡(護國龍)이 되고자 하였으므로 ‘호국룡설화’라고도 한다. 문무왕의 수중릉(水中陵)으로 알려진 대왕암(大王巖)과 신문왕이 선왕(先王)의 유언이 성취되길 기원한 감은사(感恩寺), 그리고 선왕의 득천(得天)을 지켜본 이견대(利見臺)가 있는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봉길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Munmu of Silla 문무왕, 文武王Munmu of Silla (occasionally spelled: Moonmu) (626–681) (reigned 661–681) was the thirtieth king of the Korean kingdom of Silla. He is usually considered to have been the first ruler of the Unified Silla period. Munmu was the son of King Muyeol and Munmyeong, who was the younger sister of Kim Y...출처 영어 위키백과
-
신문왕 일초(日招), 神文王개설 재위 681∼692. 성은 김씨, 이름은 정명(政明) 혹은 명지(明之), 자는 일초(日招). 문무왕의 장자이며 664년(문무왕 4)에 태자로 책봉되었다. 어머니는 자의왕후(慈儀王后)이고 왕비는 김씨로 소판(蘇判) 흠돌(欽突)의 딸이다. 왕이 태자일 때 비로 맞아들였으나 아들을 못 낳은 데다 아버지의 반란에 연좌되어...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대사
-
안승, 문무왕의 사위가 되다고구려 부흥 운동을 이끌던 고구려 왕족 안승이 문무왕의 조카를 아내로 맞아들였다. 안승은 보장왕의 서자 또는 외손자라는 기록이 있는 고구려 왕족으로, 검모잠에 의해 왕으로 추대됐으나 내부 갈등이 생기면서 검모잠을 죽이고 신라에 망명했다(고구려 부흥 운동 참조). 신라는 안승과 그의 추종 세력을 금마저(지금...
- 시대 :
- 680년
- 국가/대륙 :
- 한국
-
신라 30대 문무왕 즉위6월, 태종무열왕이 죽고 맏아들 김법민이 왕위에 오르니, 30대 문무왕(재위 661년~681년)이다. 참조
- 시대 :
- 661년
- 재위 :
- 661년~681년
- 국가/대륙 :
- 한국
-
안압지 雁鴨池내용 《삼국사기》 문무왕 14년 2월조에 의하면 “궁 안에 연못을 파고 산을 만들어 화초를 심고 진기한 새와 짐승을 길렀다.”고 하여 삼국통일을 전후로 조성하기 시작하여 674년(문무왕 14)에 완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안압지라는 명칭이 기록에 나타나기는 《동국여지승람》·《동경잡기 東京雜記》 등...
- 시대 :
- 고대/남북국
- 성격 :
- 연못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 분야 :
- 예술·체육/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