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나당전쟁 (동의어 나당 전쟁) 羅唐戰爭
    나당전쟁은 백제와 고구려 멸망 후 신라와 당나라가 7년간 싸운 전쟁이다. 나당연합군이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후 당이 한반도의 영토를 독점하고 신라의 군령권을 침해하자 신라 군부가 크게 반발하였다. 670년 3월 신라의 오골성 선제 공격으로 시작되어 676년까지 7년간 이어졌다. 672년 8월 석문 전투에서 신라...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고대사
  • 나당전쟁 羅唐戰爭
    백제, 고구려 멸망 후 당나라는 신라를 영토에 편입시키려 하였으나 신라는 이에 정면 대응했다. 670년 3월 고구려 유민과 신라 군인 압록강 건너 당군을 공격함으로써 나당전쟁이 개시되었다. 신라는 백제지역에 주둔한 당군을 공격하여 승리했고 설인귀의 수군을 격파했다. 675년에 설인귀가 다시 쳐들어왔으나 거듭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통일신라
  • 나당전쟁
    신라가 당나라와 연합해 백제, 고구려를 차례로 멸망시켰을 때까지만 해도 삼국 통일은 쉽게 완성되는 듯했다. 하지만 당나라는 곧 백제의 옛 땅에 웅진도독부를 비롯한 5개의 도독부와 고구려의 옛 땅에 9개의 도독부를 설치하여 당의 행정구역에 편입시키고자 했다. 더 나아가 당나라는 663년(문무왕 3) 신라를 계림대...
  • 나당 전쟁 (관련어 나당전쟁) Silla–Tang War, 唐・新羅戦争
    대동강 이남의 한반도 중·남부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했다. 648년(진덕여왕 2년), 신라와 당나라는 양국이 연합하여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후에 대동강을 양국의 경계로 할 것을 합의하고 군사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당나라는 고구려를 멸망시킨 후에 신라와의 약속을 어기고, 신라의 내부 분열을 획책하면서 신라...
    도서 위키백과
  • 신라·당 전쟁과 삼국통일
    668년 고구려가 멸망함으로써 우리 겨레가 주인인 나라는 이제 신라만 남게 되었다. 신라는 당나라와 함께 고구려와 백제를 멸망시켰지만 당나라의 세력을 완전히 축출하지 못한 채 미완의 통일을 이룩하였다. 당나라는 백제의 옛 땅에 웅진도독부, 고구려 옛 땅에 안동도호부, 그리고 신라에는 계림도독부를 두어 삼국 ...
    시대 :
    668년~676년
  • 삼국통일 (관련어 나당전쟁) 三國統一
    신라는 고구려의 남진정책에 맞서 백제와 연합해 대항했다. 551년에 죽령 이북 고현 이남 고구려 땅을 점령했고, 백제는 고구려의 남평양을 점령했다. 이후 신라는 백제의 한강 하류 지역과 대가야를 정복했다. 643년 백제가 당항성을 점령하려 하자 신라는 당에 지원을 요청했다. 660년 당과 신라의 병력이 함께 백제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통일신라
  • 김춘추 (관련어 나당전쟁) 金春秋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재위 654~661년). 신라 제29대 왕으로 신라 최초의 진골 출신 왕이 되었다. 신라 왕권의 전제화를 확립했고, 당나라의 율령제를 모방하여 관료 체제를 정비했으며, 구서당을 설치하여 군사 조직을 강화하는 등 본격적인 국가 체제를 확립했다. 660년 당나라와 연합하여 백제를 멸망시키고 이듬해...
    출생 :
    604년
    사망 :
    661년
  • 통일신라 시대의 정치 전개와 쇠퇴
    나당 전쟁에서의 승리 신라는 문무왕 8년(668) 나당연합군이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고구려의 수도 평양에 안동도호부를 설치함으로써 삼국통일의 위업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전쟁이 여기서 끝난 것은 아니었다. 당의 힘을 빌려 삼국을 통일했기에, 평양 이남의 영토를 획득하고 손상된 자주성을 회복해야만 했다. 즉...
  • 매소성전투 買肖城戰鬪
    신라의 설오유(薛烏儒)가 고구려 유민인 고연무(高延武)와 함께 각각 군사 1만명을 거느리고 압록강을 넘어 당나라 군사와 싸운 것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나당전쟁이 전개되었다. 다시 당나라는 한병(漢兵)을 거느린 고간(高侃)과 말갈병을 거느린 이근행(李謹行)을 보내어 평양 · 황해도 방면에서 북상하는 신라군을...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고대사
  • 신라의 성장
    642~668) 24년(665)에 연개소문이 사망하자 지배층은 내분에 휩싸였다. 나당연합군은 이를 틈타 다시 고구려를 공격하였다. 고구려는 나당연합군을 맞아 1개월...이에 신라는 백제와 고구려의 유민과 협력하여 당나라와의 전쟁을 수행하였다. 고구려와 백제의 옛 땅을 차지하기 위한 신라와 당나라의 전쟁은 문무왕...
  • 당나라 ・ 신라 연합군과 발해 전쟁 발발
    대문예를 돌려보내라는 발해의 요구를 당나라가 거부하자, 발해 무왕은 장문휴 장군에게 당나라의 산동반도를 공격하도록 했다(9월). 장문휴는 수군을 이끌고 산동반도에 상륙하여 등주를 공격했다. 이 싸움에서 장문휴는 등주 자사(지방 장관) 위준을 죽이는 성과를 올렸다. 발해의 강경한 공세에 당황한 당 현종은...
    시대 :
    732년
    국가/대륙 :
    한국
  • 나당동맹 羅唐同盟
    멸망시키기 위한 군사적 결탁을 한층 더 공고히 하고, 두 나라를 멸망시킨 다음 패강(대동강)을 경계선으로 한반도를 당나라와 신라가 나누어 통치한다는 비밀협약을 맺기도 했다. 이러한 협약은 당나라가 고구려와 백제를 멸망시키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고, 신라가 이에 호응하면서 구체화되었다.→ 나당전쟁, 삼국통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나당전쟁
삼국통일과 나당전쟁
삼국통일과 나당전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