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문무왕 설화신라 제30대 왕인 문무왕에 관한 설화. 내용 인물전설로, 문무왕이 죽어서 호국룡(護國龍)이 되고자 하였으므로 ‘호국룡설화’라고도 한다. 문무왕의 수중릉(水中陵)으로 알려진 대왕암(大王巖)과 신문왕이 선왕(先王)의 유언이 성취되길 기원한 감은사(感恩寺), 그리고 선왕의 득천(得天)을 지켜본 이견대(利見臺)가...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선덕왕지기삼사 설화 善德王知幾三事說話뒤에 문무왕이 왕의 무덤 아래 사천왕사(四天王寺)를 지어 그를 장사 지낸 곳이 도리천이 되었다. 불경에 사천왕 하늘 위에 도리천이 있다고 했기 때문이다. 왕은 결국 자신이 예언한 날에 죽었는데 스스로 죽을 날을 알고 후에 사천왕사가 세워질 것도 예견한 것이니 신령스러운 능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일연...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김부대왕설화 짐부대왕설화, 金傅大王說話통해, 왕의 내력이 오래되었고 경상도 경주라는 특정 지역을 통치한 인물로 무속에서 섬기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설화에서도 거의 동일한 양상을 보인다. 김부대왕에 관한 문헌 기록은 이규경(李圭景, 1788∼?)의 『오주연문장전산고』 〈김부대왕변증설(金傅大王辨證說)〉이 대표적이다. 이 변증에서는 강원도 인제...
- 성격 :
- 설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미추왕 죽엽군 설화 未鄒王 竹葉軍 說話서열을 오릉(五陵)의 위에 두고 대묘(大廟)라 불렀다고 한다. 현황 이 설화는 『삼국사기』의 김유신조에도 나오나 이처럼 자세하지는 않다. 신라에서는 많은...김유신이 찾아가 읍소할 상대 왕릉으로 미추왕은 아무래도 부자연스럽다고 말하며(태종무열왕이나 문무왕이면 이해가 가지만) 모태(募泰) 원종(原宗)이라...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신라 27대 왕, 선덕여왕 덕만, 善德女王지귀설화로 재구성되어 선덕여왕의 자비와 신령함을 전하는 이야기로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는 것이다. 반란의 와중에 세상을 떠나다 647년(인평 14년) 1월, 선덕여왕이 병석에 누웠는데 갑자기 상세가 위독해지자 성골인 사촌동생 진덕여왕에게 왕위를 물려주려 했다. 그러자 상대등 비담이 “여자 군주는 나라를 잘...시리즈 한국사 인물 열전
-
만파식적설화 萬波息笛說話개설 신이담(神異譚)에 속한다. 『삼국유사』 권2 기이(紀異) 만파식적조와 『삼국사기』 권32 잡지 제1 악조(樂條)에 실려 있다. 내용 신문왕이 아버지 문무왕을 위하여 동해가에 감은사(感恩寺)를 지었다. 682년(신문왕 2)에 해관(海官)이 동해안에 작은 산이 감은사로 향하여 온다고 하여 일관으로 하여금 점을 쳐...
- 시대 :
- 고대/삼국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설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김유신 설화 金庾信 說話예언하였다. 문무왕 13년에 79세로 세상을 떠났다. 김유신의 묘에 회오리바람이 일어나 시조대왕릉(始祖大王陵)에 이르고 티끌이 일어나며 울며 한탄하는 소리가...신화로부터 이어져 오는 ‘영웅의 일생’을 수용하여 일대기 형식을 갖추었다. 또, 김유신의 영웅적 면모를 부각시키기 위하여 역사적 사실과 아울러 설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용신창사설화 龍神創寺說話창건하는 계기를 부여한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었다. 감은사(感恩寺)의 유래담(由來談)도 용신창사설화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감은사를 짓게 된 내력은, 문무왕(文武王)이 죽어서 왜적을 막는 호국룡이 되기 위해 바다에 무덤을 쓰고 절을 짓게 했다고 하는 것이 요점이다. 문무대왕의 호국룡이 감은사의 금당 계단...
- 시대 :
- 고대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