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술 武術, martial art
    무술은 무기를 사용하는 것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무기를 사용하는 것으로는 궁술·창술·검술이 있고, 중국에서 시작된 비무장무술은 발과 손으로 치거나 잡는 기술을 강조한다. 가장 다재다능한 기술을 요하는 무술은 둔갑술이다. 이것은 봉건시대 일본에서 군대 밀정들이 익힌 무예로 변장·탈출·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스포츠 일반
  • 무술 (간지) 戊戌, 戊戌
    무술(戊戌)은 '육십간지' 중 '35번째'에 속하고, 납음은 '평지목(平地木)'으로 분류한다. 무술년(戊戌年)은 육십간지의 35번째 해이고, '무'는 황이므로, 이는 '노란 개의 해'에 속한다. 서력 연도를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8인 해가 해당된다. 기원전 제1천년기 제1천년기 제2천년기 제3천년기 기원전 983년 기원전...
    도서 위키백과
  • 종합무술 綜合武術
    태권도, 합기도, 복싱, 검도, 유도의 장점만을 뽑아 만든 무술로서 개별적 무술에서 볼 수 없는 종합무술만의 독특한 특성이 나타난다. 각종 무술의 장점을 취합하였으므로 부드러우면서도 강인한 무술로 거듭났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제한 없이 언제, 어디서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방어와 공격 기술을 연마한다. 이...
  • 무예 (관련어 무술) Martial arts, 格闘技
    다른 뜻 넘어옴 무예(武藝, 심신(心身)의 단련을 위한 체계적인 수련 방법을 말한다. 무술(武術), 무도(武道), 격투기(格鬪技)으로 부르기도 한다.이학래, 《한국 체육사 연구》, 국학 자료원, 2006, 113쪽.박석, 대교약졸, 들녘, 2006. 엄격히 정의하자면, 무예는 싸움의 기술을 뜻하는 격투기나 무기(武技), 무술(武術...
    도서 위키백과
  • 견자단 甄子丹, Donnie Yen
    생애와 이력 홍콩의 배우 겸 무술감독. 견자단은 1963년 중국 광저우의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견운룡(甄云龙)은 신문사 편집장을 역임했던 유명 언론인이며 어머니 맥보선(麥寶嬋)은 세계적인 태극권 무술가였다. 견자단의 가족은 그가 7세가 되던 해에 중국 본토를 떠나 홍콩으로 이주하였다가, 그가 11세가 되던 해에...
    출생 :
    1963년 7월 27일 중국 광저우
    본명 :
    견자단(甄子丹)
    수상 :
    금마장영화제 무술감독상(<트윈 이펙트>(千機變, 2003), <살파랑>(殺破狼, 2005), <도화선>(導火綫, 2007), <무협>(武術, 2011), <일개인적무림>(一个人的武林, 2014)), 아시안필름어워드 남우주연상(<엽문3: 최후의 대결>(3D叶问, 2015))
    데뷔 :
    <소태극>(笑太極, 1984)
  • 충주세계무술축제 세계무술축제, 忠州世界舞術祝祭
    개설 ‘세계무술과 문화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한국의 전통무예인 ‘택견’의 세계화를 위해 1998년부터 시작되었다. 세계무술연무대회, 박진감 넘치는 무술대회, 다채로운 문화공연 등 무술과 문화가 만나는 국내 유일의 UNESCO 후원축제이다. 또한 세계 38개국 44개 무술단체로 구성된 UNESCO 산하 무형문화유산 정부...
    시대 :
    현대
    성격 :
    문화축제, 축제
    유형 :
    의식행사
    행사시기 :
    매년 가을
    장소 :
    충청북도 충주시 세계무술공원
    주관처 :
    충주시, 재)중원문화체육관광진흥재단, 사)세계무술연맹
    분야 :
    예술·체육/체육
  • 택견 태껸
    택견의 역사 택견이 문헌상 처음 나타난 시기는 18세기 초반이다. 택견과 유사 용어인 ‘탁견’이 등장하는데 영조 4년(1728)에 김민순(金敏淳)에 의해 저술된 『청구영언 』에서의 사설시조에서 처음 보이게 된다. 이후 정조 22년(1798)에 이만영이 편찬한 『재물보(才物譜)』와 최영년이 1921년에 저술한 『해동죽지...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체육
  • 경호무술 警護武術
    경호무술은 경호대상을 보호하는 데 필요한 실전무술이다. 경호 상황에서는 외부의 공격에 대해 개인별·조별·팀별 등으로 조직적으로 대처해야 하며 특수한 상황에서도 자유롭고 민첩하게 대응해야 한다. 또한 총기, 자동차 등과 같이 각종 장비를 이용한 공격 형태도 많이 나타나므로 이에 대처하기 위한 특수한 경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스포츠 일반
  • 왕우 王羽, Wang Yu
    생애와 이력 홍콩의 영화배우이자 영화감독, 무술감독, 각본가, 영화 기획자. 1944년 중국 장쑤성에서 태어났다. 이후 가족을 따라 상하이로 이주하였으며 그곳에서 학교에 입학하였다. 아홉 살 때부터 무술을 연마하기 시작한 그는 모든 체육 과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받았고 특히 수영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17...
    출생 :
    1944년 3월 28일 중국 장쑤성
    본명 :
    왕우(王羽)
    데뷔 :
    <호협섬구>(虎俠殲仇, 1966)
  • 무술명종 戊戌銘鐘
    그 사이에는 연점각(連點刻)으로 ‘戊戌正月初五日 □主前副戶 長公必棟梁 □人元明大匠信 仇十周愿入重五十斤 印造成也 三寶 戊戌正月初五日沙於鄕前副(무술정월초5일 □주전부호 장공필동량 □인원명대장신 구십주원입중50근 인조성야 삼보 무술정월초5일사어향전부)’라는 명문을 새겼는데 무술년은 1298년인 고려...
    시대 :
    고려 후기
    성격 :
    불구, 범종
    유형 :
    유물
    크기 :
    높이 45.3㎝
    재질 :
    구리
    제작시기 :
    1298년(충렬왕 24)
    분야 :
    예술·체육/공예
    소장/전승 :
    국립부여박물관
  • 우슈 wushu
    우슈는 중국 고유 전통 무술의 하나로 도수(徒手)와 병기술로 기술적 내용을 갖추고 있다. 우슈는 ‘무술(武術)’의 중국어 발음으로서, 6세기 중국 선종의 시조인 달마(達磨) 선사가 고대 인도의 무술을 응용해 소림사(少林寺)에서 오랜 기간 참선하며 계승, 발전시켜 불가(佛家)에서 내공을 쌓고 체력을 다지는 민간...
  • 국궁 國弓
    내용 우리의 역사를 보면 활쏘기[弓術]는 선사시대부터 행하여졌으며, 이는 함경도·충청도·경상도 등 전국 각지에서 출토된 타제석촉이 이를 증명해 준다. 중국의 ≪사기 史記≫와 ≪진서 晋書≫·≪삼국지 三國志≫ 등에는 우리 나라의 숙신(肅愼)·읍루(挹婁)·말갈(靺鞨)·예(濊)·부여·고구려 때부터 우수한 활...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체육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무술(武術)
종합무술
종합무술 동작
월사집 / 무술변무록
태극권. 중국 전통 무술의 하나이다.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무술일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