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
무령왕릉 송산리고분군 제7호분, 武寧王陵충청남도 공주시 송산리 고분군 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제25대 무령왕과 왕비의 능. 사적. 개설 무령왕릉은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산5-1번지에 위치하며 1963년 1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된 송산리고분군에 포함되어 있다. 송산리고분군은 백제의 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이 주종을 이루는데, 이 고분군에는 당시 중...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고대사
-
묘지 (관련어 무령왕릉) 墓誌묘지는 죽은 사람의 이름과 생몰년, 행적, 신분, 무덤의 방향 등을 기록한 묘문이다. 일반적으로는 돌 위에 새기지만 벽돌, 청자나 백자에 쓰여진 것이나 무덤의 벽면에 묵서(墨書)하거나 새긴 명문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묘지는 공주 무령왕릉에서 출토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오석(烏石)...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武寧王陵 靑銅거울 一括개설 1974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세 점의 동경으로, 왕의 머리 부분에서 의자손수대경(宜子孫獸帶鏡), 왕의 족좌 부근에서 방격규구신수경(方格規矩神獸鏡), 왕비의 머리 부분에서 수대경(獸帶鏡)이 각각 출토되었다. 구성 및 형식 의자손수대경은 지름이 23.2㎝로 가장 크다. 원형의 커다란 손잡이...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무령왕릉의 금제귀걸이왕의 귀걸이 국보(1974.07.09 지정). 1쌍. 길이 각 8.3㎝. 국립공주박물관 소장. 왕의 것으로 2줄의 호화로운 드리개[垂飾]를 단 형식이다. 주가 되는 드리개는 누금세공으로 장식한 속이 빈 원통형의 중간장식 끝에 금판으로 된 커다란 심엽형 드리개를 달았다. 이 심엽형 드리개는 아무 장식도 없고 단지 앞뒷면에 안...
- 문화재 지정 :
- 국보(1974.07.09 지정)
-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武寧王陵 銅鏡 一括개요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3개의 청동거울. 국보(1974.07.09 지정). 국립공주박물관 소장. 청동신수경(靑銅神獸鏡) 왕의 족좌 북쪽에서 발견된 거울. 지름 17.8㎝. 원래는 나무상자 안에 들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거울 뒷면에는 신선사상이 표현된 문양이 나타나 있다. 가운데 원형의 고리를 중심으로 방형의 구획...
- 문화재 지정 :
- 국보(1974.07.09 지정)
-
무령왕릉의 금제관장식왕의 관장식 국보(1974.07.09 지정). 1쌍. 높이 각각 30.7㎝, 29.2㎝. 국립공주박물관 소장. 금판 위에 초화형의 형태를 그려놓은 뒤에 예리한 조각도로 도려내어 만들었다. 관장식의 전반적인 형태는 비대칭의 인동당초무늬[忍冬唐草紋]이며 군데군데 구멍을 뚫고 얇은 금제 달개[瓔珞]를 금실로 꼬아 매달았다. 이러한...
- 문화재 지정 :
- 국보(1974.07.09 지정)
-
무령왕릉출토은천명 백제무령왕릉은천명(百濟武寧王陵銀釧銘), 武寧王陵出土銀釧銘내용 무령왕릉 현실(玄室) 내부의 왕비쪽 관식(冠飾)의 하단에서 북쪽으로 35㎝되는 위치에서 쌍방거리 5㎝를 두고 금천(金釧: 금팔찌)과 함께 출토되었다. 우완에 금천, 좌완에 유명은천 각 1쌍씩이 겹쳐 나왔다. 반월형인 은띠의 표면에 혀를 길게 내민 발톱 3개를 가진 반룡(蟠龍) 두 마리를 양각하고 팔목에 닿는...
- 성격 :
- 금석문
- 유형 :
- 유물
- 제작시기 :
- 520년
- 분야 :
- 역사/고대사
- 소장/전승 :
- 지번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 360번지 국립공주박물관, 도로명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