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문화재 지정 | 국보(1974.07.09 지정) |
---|
왕의 관장식
국보(1974.07.09 지정). 1쌍. 높이 각각 30.7㎝, 29.2㎝. 국립공주박물관 소장. 금판 위에 초화형의 형태를 그려놓은 뒤에 예리한 조각도로 도려내어 만들었다.
관장식의 전반적인 형태는 비대칭의 인동당초무늬[忍冬唐草紋]이며 군데군데 구멍을 뚫고 얇은 금제 달개[瓔珞]를 금실로 꼬아 매달았다. 이러한 형태의 관장식은 출자형솟은장식[出字形立飾]으로 특징지어지는 신라의 관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며 고구려의 유물인 평양 청암리토성 출토 초화형 금동관과 통하고 있다.
이 관장식이 2점 출토된 것으로 보아 비단으로 된 모자의 앞뒤에 꽂은 장식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실제로 자루에는 구멍이 뚫려 있어서 모자와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다.
왕비의 관장식
국보(1974.07.09 지정). 1쌍. 높이 각각 22.6㎝, 22.8㎝. 국립공주박물관 소장. 얇은 금판 위에 형태를 그린 뒤 날카로운 조각도로 도려내고 뚫어 만들었다.
본체는 금제이나 자루 아래쪽에는 청동으로 만든 긴 자루를 잇대어 붙였다. 전반적인 형태를 살펴보면 인동당초무늬를 표현한 것으로서 왕의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정확히 대칭을 이루며 달개가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착용방법은 왕의 것과 동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백제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무령왕릉의 금제관장식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