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문화재 지정 | 국보(1974.07.09 지정) |
---|
요약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3개의 청동거울. 청동신수경, 의자손수대경, 수대경을 일컫는다.
개요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3개의 청동거울. 국보(1974.07.09 지정). 국립공주박물관 소장.
청동신수경(靑銅神獸鏡)
왕의 족좌 북쪽에서 발견된 거울. 지름 17.8㎝. 원래는 나무상자 안에 들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거울 뒷면에는 신선사상이 표현된 문양이 나타나 있다. 가운데 원형의 고리를 중심으로 방형의 구획을 만들고 그 안에는 12개의 돌기가 돌아가며 돌기와 돌기 사이에는 12지의 글자가 씌어 있다. 방형 구획 밖에는 1명의 신선과 4마리의 짐승이 표현되어 있다. 신선은 상의를 벗고 하의만 입은 채 긴 창을 들고 짐승들을 사냥하고 있는 듯하다. 신선과 짐승의 주위로는 신선사상이 내포된 명문이 돌아가고 있다.
의자손수대경(宜子孫獸帶鏡)
왕의 머리쪽에서 발견된 거울. 지름 23.2㎝. 둥근 고리의 주위에 9개의 돌기를 돌리고 그 사이에는 작은 짐승을 표현하고 '宜子孫' 3자를 넣었다. 그 외곽에는 7개의 돌기를 꽃잎무늬 위에 배치하고 그 사이에 7마리의 신수(神獸)를 조각했다.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거울 중에 가장 크며 가운데 고리구멍에는 직물의 조각을 접어서 만든 끈이 부식된 채 붙어 있다.
수대경(獸帶鏡)
왕비의 관장식 아래에서 발견된 거울. 지름 18.1㎝. 둥근 고리 둘레에 9개의 작은 돌기를 배치하고 그 주위에는 빗금무늬대와 소문대(素紋帶)를 계속해서 돌렸다. 외곽에는 7개의 돌기를 두고 그 사이에 4명의 신선과 3마리의 짐승을 하나씩 새겼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백제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