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단모음과 장모음
    모음은 발음이 지속되는 시간에 따라 단모음과 장모음으로 나누어진다. 장모음은 모음 뒤에 장음 기호( : )를 달거나 모음 위에 선을 그어 나타낸다. '밤낮'의 '밤'과 먹는 '밤'은 모음 '아'가 단모음인가 장모음인가에 따라 구별된다. 오늘날 젊은 세대에서는 단모음과 장모음의 구별이 없어져가고 있다. 모음을 단모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단모음 單母音, monophthong
    모음은 발음이 지속되는 시간에 따라 단모음과 장모음으로 나누어지며, 장모음은 모음 뒤에 장음 기호( : )를 달거나 모음 위에 선을 그어 나타낸다(아 : ). '밤낮'의 '밤'과 먹는 '밤'은 모음 '아'가 단모음인가 장모음인가에 따라 구별된다. 오늘날 젊은 세대에서는 단모음과 장모음의 구별이 없어져가고 있다. 모음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모음의 길이 Vowel length, 長母音
    장음, 초장음과 같이 3단계로 의미를 구별하는 언어도 있지만, 매우 드물고 우랄어족에서만 볼 수 있다. 한국어는 장모음, 단모음, 이중모음, 반모음이 있으며, 장모음은 다음과 같다.표준어에서 단모음(單母音) 음소는 아래 열 가지가 있다. 음소 대표적인 음성 예 /a ㅏ/ IPA /ai/ 아이 IPA /ɔ ㅓ/ IPA /ɔdi/ 어디 IPA...
    도서 위키백과
  • 모음 홀소리, 母音
    조음할 때보다는 낮고 저모음을 조음할 때보다는 높은상태에서 조음되는 모음이다. 국어의 ‘ㅔ[e], ㅗ[o]’, ㅚ([ɸ] 또는 [ö], 장모음 ‘ㅓ:[əː]’, 그리고 단모음 ‘ㅓ[ʌ]’가 이 모음에 속한다. 저모음은 혀가 구개에서 가장 멀어진 상태에서 조음되는 모음으로서 개모음(開母音, open vowels)이라고도 한다...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조선어음만국음성기호표기법 조선어음의국제음성부호표기법, 朝鮮語音萬國音聲記號表記法
    세칙’과 참고가 될 만한 네 가지 사항을 ‘비고’로 적어 놓았다. 대조표에서는 자음을 첫소리와 끝소리의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으며, 모음은 단모음과 장모음으로 나누어 배치하였다. 자음 중에서 폐쇄음은 평음과 경음의 경우에 광의적 표기법과 협의적 표기법 모두에서 유성음 /g/, /b/, /d/로 쓰고 있으나...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뤄바어 珞巴語, Lhoba language
    4개의 비음, 4개의 구개음, 그리고 각각 1개씩의 설측음과 전동음으로 나눌 수 있으며, 2개의 반모음이 포함된다. 모두 16개로 이루어진 단모음 체계는 8개의 단모음과 8개의 장모음으로 나뉘어지며, 7개의 복모음과 33개의 자음꼬리가 붙은 모음이 있다. 조사를 통해 문장의 성분이 표시되며, 동사나 형용사가 서술어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단모음
    단모음은 다음 뜻으로 쓰인다. 단모음 단모음(短母音)은 모음 소리의 지속 시간이 짧은 모음이다. 장모음의 반대. 모음의 길이 참고.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음성 音聲
    길고 짧게 남에 따라 낱말의 뜻을 달리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우리말에서는 모음의 길이를 중요한 음운론적 요소로서 설정한다. 긴 모음(장모음)과 짧은 모음(단모음)의 두 가지로 모음의 길이를 구별할 수 있는데, 환경에 따라 다르나 긴모음은 짧은 모음보다 두 배 가량 길게 난다. 긴모음은 / ː /로 나타낸다...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에벤크어 Evenki language
    있는데, 파열음 5개, 파찰음 1개, 마찰음 2개, 비음 3개, 설측음 1개, 전동음 1개, 반모음 2개가 있으며, 그밖에 장자음이 있다. 모음에는 8개의 단모음과 10개의 장모음이 있으며 모음조화현상이 있다. 어 법에서 어간 뒤에 붙는 각종 부가성분은 어법의 뜻을 표시한다. 명사에는 수, 격 및 종속 범주가 있다. 제3인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한국어 모음의 음가
    로 발음되고 '닫'과 같은 말에서 중설모음으로 발음되는데 흔히 전설모음 기호 [a]로 중설모음 '아'를 적는다. '어'는 단모음일 때와 장모음일 때의 음가가 다르다. 단모음일 때는 후설모음 [∧]이지만 장모음일 때는 기본모음에 들지 않는 중설반고모음 [ə]로 발음된다. 우리말의 모음의 위치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사모아어 Samoan language, サモア語
    구분하며 모음 글자에 매크론(¯)을 붙여 장모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tama는 ‘아이’라는 뜻이지만 tamā는 ‘아버지’라는 뜻이다. 단순모음 단모음 장모음 전설 후설 전설 후설 고모음 IPA IPA IPA IPA 중모음 IPA IPA IPA IPA 저모음 IPA IPA 이중모음은 IPA가 있다. 몇몇 단어에서 vave '빠르다' 등의 단어가...
    도서 위키백과
  • 파이칭어 Paicî language
    선비음화된 파열음은 서로 이음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경우 파이칭어 자음 음소의 개수는 13개가 된다. 파이칭어는 열 개의 구강 모음에 각각 단모음과 장모음이 존재하며, 장단의 구별이 일부 있는 일곱 개의 비모음이 있다. 두 단모음이 연달아 오면 각각 성조를 가질 수 있지만 장모음은 하나의 성조만 가질...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