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명성황후 조선 고종의 비
    흥선대원군에 맞서 개화정책을 펼친 조선의 제26대 왕 고종의 왕비. 쇄국정책을 펼쳤던 흥선대원군의 실각 후 정권을 장악하여 개화정책을 펼쳤으며, 여성부원군 치록의 외동딸로 16세에 왕비가 된 후 대원군과의 불화가 지속되자 반대원군 세력을 규합하여 탄핵하고 정권을 장악했다. 1876년 강화도조약, 1882년 임오군...
    출생 :
    1851년 11월 17일(철종 2), 조선 경기도 여주목 근동면 섬락리
    사망 :
    1895(고종 32)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성리학)
    본관 :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시)
  • 명성황후 명성태황후 민씨, 明成皇后
    조선 제26대 국왕 고종의 비. 구한말 국내외적 혼란기에 흥선대원군을 비롯한 외세와의 대립 속에서 정치적 영역을 확대했다. 개국 정책으로 일본과 수호조약을 체결했고,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때에는 청군의 개입으로 정권을 잡았다. 1895년 을미사변으로 일본 낭인들에 의해 살해되었다.|풍전등화의 조선에서 치열하...
    출생 :
    1851년
    사망 :
    1895년
  • 명성황후 明成皇后
    명성황후는 조선후기 제26대 고종의 왕비이다. 1851년(철종 2)에 태어나 1895년(고종 32)에 사망했다.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와 서울에서 생활하다 왕비로 간택되었다. 1873년 성인이 된 고종이 친정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척족세력을 규합하여 정치적 협력자로 나서서 시아버지 대원군과 대립했다. 임오군란과...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조선 왕실을 굳건히 할 수만 있다면, 흥선대원군 vs 명성황후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는 시아버지와 며느리 사이예요. 아들인 명복이 임금 자리에 오르자, 대원군이 직접 골라 며느리로 삼은 여자가 민자영, 곧 명성황후였어요. 그런데요, 아이러니하게도 두 사람은 날이 갈수록 사이가 벌어져 종국에는 흥선대원군의 관여 속에 명성황후가 일본 사람들 칼에 맞아 죽고 말았어요. 아...
  • 명성황후 (관련어 명성 황후) Empress Myeongseong, 閔妃
    1851년 11월 17일 (양력 9월 25일) ~ 1895년 10월 8일 (음력 8월 20일))는 조선의 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인 고종(高宗)의 왕비이자 책봉 황후이다. 인현왕후의 생부인 민유중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사도시 첨정으로 사후 증 의정부영의정, 여성부원군에 추봉된 민치록(閔致祿)이고, 어머니는 감고당 아산 이씨...
    도서 위키백과
  • 명성황후 (드라마) Empress Myeongseong (TV ..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정보 《명성황후》(明成皇后)는 2001년 5월 9일부터 2002년 7월 18일까지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특별기획 드라마이다.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KBS 2TV 2001년 5월 9일 ~ 2002년 1월 10일 매주 수요일 ~ 목요일 밤 9시 50분 ~ 10시 50분 (1시간) 1월 16일 ~ 7월 18일 매주 월요일...
    도서 위키백과
  • 명성황후 (뮤지컬) The Last Empress (musical)
    명성황후》는 1995년에 초연된 대한민국의 뮤지컬로 명성황후의 생애를 소재로 한다. 1990년대 초반에 발표된 소설가 이문열의 《여우사냥》이라는 소설을 원작으로 하여 극작가 김광림이 각색을 한 작품으로 극작가 겸 작사가 양인자, 작곡가 김희갑 부부가 작사, 작곡을 맡아서 그 부부가 처음으로 쓴 뮤지컬 작품...
    도서 위키백과
  • 경복궁 건청궁 고종의 꿈, 명성황후의 마지막 숨결
    만에 복원된 건청궁(乾淸宮)은 푸른 하늘처럼 맑다. 손때 묻지 않은 한옥은 마치 막 지어진 1873년인 양하다. 건청궁의 곤녕합(坤寧閤)은 12년 뒤에 있을 명성황후의 죽음을 상상이나 했을까. 자취 없이 사라졌던 비운의 궁과 황후. 110여 년이 지나서야 비로소 낭인의 걸음을 쫓는다. 교태전과 자경전 굴뚝 그리고 꽃담...
    소재지 :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
    휴관일 :
    매주 화요일 휴관
    가는 법 :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5번 출구 또는 고궁박물관 연결. 간선버스 171, 272, 601, 606, 607, 708번, 지선버스 0212, 1020, 1711, 7016, 7018, 7022, 7025번, 마을버스 종로09번 경복궁역 하차
    사이트 :
    http://www.royalpalace.go.kr
    이용 시간 :
    오전 9시~오후 6시(3~10월)오전 9시~오후 7시(5~8월, 주말·공휴일)오전 9시~오후 5시(11~2월)
  • 명성황후 생가 明成皇后 生家
    건립 경위 명성황후(明成皇后, 1851~1895) 생가(生家)는 1687년(숙종 13)에 처음 지어졌다. 본래, 이 집은 숙종(肅宗)의 비(妃)였던 인현왕후(仁顯王后, 1667~1701)의 부친이자 명성황후의 6대 조부인 민유중(閔維重, 1630~1687)의 묘를 관리하는 묘막(墓幕)으로 사용되었다. 묘를 관리하던 직계 후손 민치록(閔致祿)이...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적/건물
    분야 :
    생활/주생활
  • 을미사변 명성황후시해사건, 乙未事變
    10월 8일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시를 받은 일본군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와 일본 낭인들이 경복궁을 침입하여 명성황후(明成皇后)를 시해한 사건. 이 사건 이후 친일 내각에 의해 단발령과 건양 연호의 사용, 군제 개편, 소학교령 공포, 태양력 사용 등의 개혁정책이 시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분쟁
  • 명성황후와 을미사변
    승리한 일본은 박영효를 중심으로 한 친일내각을 구성해 조선에서의 세력을 확장시키고 있었다. 하지만 프랑스·러시아·독일 3국은 청일전쟁의 대가로 일본이 획득한 요동반도를 청에게 돌려줄 것을 요구하는 ‘삼국간섭’으로 일본의 세력 확장에 제동을 걸었다. 이를 지켜본 고종과 명성황후는 러시아를 새로운...
    시대 :
    1895년
  • 명성황후언간 명성황후의 한글편지, 明成皇后諺簡
    개설 명성황후가 보낸 한글 편지는 민영소(閔泳昭)에게 보낸 144통, 민응식(閔應植)·민병승(閔丙承) 부자에게 보낸 10통, 이모 한산이씨(韓山李氏)에게 보낸 20통, 윤용구(尹用求) 집안에 보낸 8통 등 총 182통이 있다. 민영소에게 보낸 것 중 134통과 민응식·민병승 부자에게 보낸 10통은 친필이고, 나머지 38...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명성황후
    성격 :
    문서, 한글편지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82통
    분야 :
    언어/언어·문자
    소장/전승 :
    국립고궁박물관, 명성황후생가, 여주박물관, 개인소장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32건

명성황후
명성황후
명성황후
명성황후
명성황후
명성황후
명성황후
명성황후
명성황후 어필
명성황후 조난지 / 표석
여주 명성황후 생가 정면
여주 명성황후 탄강구리비
명성황후(明成皇后.1851-1895)의 51일간의 피난일기
을미사변을 일으킨 일본 낭인들
영친왕비의 적의
홍릉(洪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