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덩굴식물 vine
    줄기로 다른 식물을 감싸거나 달라붙어 자라는 속씨식물. 덩굴을 만드는 방법에 따라 덩굴손을 만드는 종류, 줄기로 감싸며 자라는 종류, 다른 식물에 달라붙어 자라는 종류 등으로 구분한다. 줄기로 다른 식물을 감쌀 때는 지지대가 되는 식물을 기준으로 방향을 따져 왼손 방향 식물, 오른손 방향 식물로 나눈다.|개...
    분류 :
    속씨식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속씨식물
  • 덩굴식물 climbing plant
    자신의 줄기로 직립하지 않고 타물체에 부착하거나 감겨서 생장하는 식물의 총칭. 1991년 A.Gentry는 덩굴식물을 목본성 덩굴식물(liana), 초본성 덩굴식물(vine), 목본성 반착생식물(woody hemiepiphyte), 초본성 반착생식물(herbaceous hemiepihyte)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 덩굴식물 volubile plant
    회선운동과 측면 중력굴성에 의하여 줄기가 지주(支柱)에 각도를 이루며 나선상으로 감기면서 자라나는 식물. 식물 종류에 따라 감기는 방향이 정해져 있어서 우권성과 좌권성으로 나눌 수 있다.
  • 덩굴식물 (관련어 덩굴 식물) Vine, つる植物
    덩굴식물 또는 기어오름식물은 땅바닥으로 벋거나 다른 것을 감아 오르는 줄기를 지닌 식물을 가리킨다. 더 좁은 의미는 포도속이다. 줄기 자체는 간단히 덩굴 또는 넝쿨이라고 부르며, 덩쿨은 덩굴의 잘못된 표현이다. 담쟁이덩굴 인동덩굴 포도 장미 오이 호박 핑크 재스민 콩 리아네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한국의 식물
    조건을 갖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식물들 가운데 관다발식물인 고사리식물·겉씨식물·속씨식물은 3,500~4,000종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이중 고사리식물...식물과 속씨식물의 후박나무·녹나무·동백나무·사스레피나무·모새나무 등 90여 종이 있으며, 상록다년생초에는 호자덩굴·노루발풀·매화노루발 등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한국
  • 인동덩굴 겨우살이덩굴, Japanese Honeysuckle
    花(금은화), 과실은 銀花子(은화자), 꽃봉오리의 수증기증류액은 金銀花露(금은화로)라 하며 약용한다. ⑴忍冬藤(인동등) - ①가을과 겨울에 엽(葉)이 달린 덩굴을 채취하여 작은 다발로 묶어서 또는 잘게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잎에는 lonicerin, 즉 luteolin-7-rhamno-glucoside와 luteolin 등의 flavonoid...
    분류 :
    산토끼꽃목 > 인동과 > 인동속
    꽃색 :
    노란색, 백색
    학명 :
    Lonicera japonica Thunb.
    개화기 :
    7월, 6월
  • 인동 겨우살이덩굴, 忍冬
    길이 3-4cm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은 1개다. 열매는 장과이며, 둥글고, 지름 7-8mm, 9-10월에 검게 익는다. 생태 꽃은 5-8월에 핀다. 낙엽 목본성 덩굴 식물로 북부지방을 제외한 전국의 산과 들의 햇볕이 잘 드는 곳에 흔하게 자란다. 이용 관상용으로 심으며, 줄기와 꽃을 약용한다. 해설 다른 식물이나 울타리 등을...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산토끼목 > 인동과 > 인동속
    서식지 :
    햇볕이 잘 드는 들녘, 숲 가장자리
    학명 :
    Lonicera japonica Thunb.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중국, 일본
  • 인동 겨우살이덩굴, 忍冬
    개요 인동과에 속하는 반상록 덩굴식물. 학명은 Lonicera japonica Thunb.이다. 인동과 겨우살이덩굴이란 이름은 겨울에도 줄기가 마르지 않고 겨울을 견디어내 봄에 다시 새순을 내기 때문에 붙여졌으며, 금은화란 이름은 흰꽃과 노란꽃이 한꺼번에 달리기 때문에 붙여졌다. 흔히 인동초(忍冬草)라고 불리는 것도 인동...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꼭두서니목 > 인동과 > 인동속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산, 들
    크기 :
    약 5m
    학명 :
    Lonicera japonica Thunb.
    꽃말 :
    사랑의 굴레, 우애, 헌신적 사랑
  • 노박덩굴 Celastrales
    많이 있다. 유럽사철나무의 품종들은 키가 6m에 달하며 종의는 오렌지색에서 연보라빛을 내는 분홍색을 띤다. 이카시나과는 열대에서 자라는 교목과 덩굴식물로 이루어졌는데 남반구에 주로 퍼져 있다. 58속 400종의 식물 중 펜난티아속(Pennantia)과 빌라르시아속(Villarsia)의 몇몇 종은 지역에 따라 관상용으로 재배...
  • 인동 겨우살이덩굴, 忍冬
    길게 늘어져 뒤로 말린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9∼10월에 둥근 장과가 달려 검은색으로 익는다. 특징 및 사용 방법 인동초·인동덩굴·겨우살이덩굴·눙박나무·인한초(忍寒草)·천금등·첨등(甛藤)·금은화등·금은등(金銀藤)·금은목·금차고·노사등·노옹수·밀보등· 밀통등·수양등(水楊藤...
    분류 :
    반상록 덩굴성 활엽 관목
    학명 :
    Lonicera japonica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산과 들의 양지바른 곳
    번식 :
    약효 부위 :
    잎·줄기·꽃
    생약명 :
    금은화(金銀花)
    키 :
    길이 5m 정도
    과 :
    인동과
    채취기간 :
    여름(잎), 가을∼이듬해 봄(줄기)
    취급요령 :
    그늘에 말려 쓴다.
    특징 :
    차며, 달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잎·줄기 10∼15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환삼덩굴 범삼덩굴
    내용 범삼덩굴·깔깔이풀이라고도 하며 학명은 Humulus japonicus S. et Z.이다. 환삼덩굴은 원줄기와 잎자루에 밑을 향한 잔가시가 있어 까칠까칠하다. 잎은 마주나고 긴 자루 끝에 손바닥모양으로 5∼7개의 소엽(小葉)으로 갈라진 잎이 붙고 길이와 너비가 각각 5∼12㎝로서 밑부분은 심장형이며 열편(裂片)은 끝이...
    분류 :
    삼과
    성격 :
    식물, 풀
    유형 :
    동식물
    학명 :
    Humulus japonicus S. et Z.
    분야 :
    과학/식물
    개화기 :
    7∼8월
  • 으름덩굴 Five-leaved akebia, <일>あけびつる
    분포지역 중국, 일본; 황해도 이남 분포(강원 제외). 형태 낙엽 활엽 덩굴식물. 크기 덩굴 줄기는 5m 정도 자란다. 잎 잎은 새 가지에서는 어긋나기이며, 오래된 가지에서 모여나기하며 손모양겹잎이다. 소엽은 5(간혹 6)개이며 넓은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잎끝은 오목하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와 폭 3...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으름덩굴과 > 으름덩굴속
    꽃색 :
    자주색
    학명 :
    Akebia quinata (Houtt.) Decne.
    개화기 :
    4월, 5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1건

덩굴식물
덩굴식물
덩굴식물
덩굴식물
덩굴식물
덩굴식물
덩굴식물
덩굴식물
덩굴식물
덩굴식물
덩굴식물
덩굴식물
덩굴식물
덩굴식물
덩굴식물
덩굴식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