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익생양술대전

인동

다른 표기 언어 忍冬 동의어 겨우살이덩굴, 눙박나무, 금은화, 金銀花, 인동초, 忍冬草
요약 테이블
분류 반상록 덩굴성 활엽 관목
학명 Lonicera japonica
분포지역 전국 각지
자생지역 산과 들의 양지바른 곳
번식
약효 부위 잎·줄기·꽃
생약명 금은화(金銀花)
길이 5m 정도
인동과
채취기간 여름(잎), 가을∼이듬해 봄(줄기)
취급요령 그늘에 말려 쓴다.
특징 차며, 달다.
독성여부 없다
1회 사용량 잎·줄기 10∼15g
주의사항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마주나는데 길이 3~8cm, 나비 1~3cm의 넓은 댓잎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예리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뿌리 쪽의 잎은 패여 들어간 자리가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어린 줄기에 달린 잎은 깃처럼 갈라진다. 잎자루는 길이 약 5mm이고 털이 나 있다. 잎몸의 표면에 털이 없어지거나 뒷면 일부에만 남는다. 일부는 월동도 한다.

5∼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쌍생화(雙生花)로 2개씩 달려 피는데 향기가 난다. 빛깔은 연한 홍색을 띤 흰색이지만 나중에 노랗게 변한다. 꽃 밑에는 잎처럼 생긴 꽃턱잎이 마주난다. 꽃턱잎은 길이 1~2cm의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다. 꽃부리는 길이 3~4cm이며 입술 모양을 하고 있는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그중 1개가 길게 늘어져 뒤로 말린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9∼10월에 둥근 장과가 달려 검은색으로 익는다.

특징 및 사용 방법

인동초·인동덩굴·겨우살이덩굴·눙박나무·인한초(忍寒草)·천금등·첨등(甛藤)·금은화등·금은등(金銀藤)·금은목·금차고·노사등·노옹수·밀보등· 밀통등·수양등(水楊藤)·원앙등(鴛鴦藤)·좌전등(左纏藤)·통영초(通靈草) 등의 많은 별칭이 있다. 꽃의 색이 흰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금은화라고 한다. 전체에 갈색의 잔털이 붙어 있다. 적갈색의 줄기가 오른쪽으로 길게 뻗어 다른 물체를 감아 오른다. 줄기에는 세로무늬가 있고 마디에는 잎이 붙었던 자국이 있다. 어린가지는 황갈색의 털이 많고 속이 비어 있다. 중부 지방에서는 잎이 떨어지지만 남부 지방에서는 잎이 떨어지지 않고 그대로 겨울을 나므로 인동이라고 한다. 밀원·약용으로 이용된다. 말린 꽃을 금은화(金銀花), 말린 잎과 줄기와 잎을 인동이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잎을 따서 차로 달여 마신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효능

주로 비뇨기·운동계·소화기 질환에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각기, 간염, 감기, 개창, 결막염, 관절염, 관절통, 괴저, 구토, 근골동통, 농혈리, 당뇨병, 대상포진, 대장염, 매독, 발열, 방광습열, 방광염, 배뇨통, 변혈증, 부종, 비열, 산욕열, 살갗이 튼 데, 설사, 소변불통, 소염제, 숙취, 습진, 신부전, 실음, 심번, 아구창, 악창, 암(위암), 연주창, 열광, 열독증, 열성하리, 열병, 외상소독, 요독증, 요통, 위궤양, 위열, 음부소양증, 음창, 이뇨, 이하선염, 인두염, 임질, 자궁내막염, 장염, 장풍, 젖몸살, 종기, 종독, 중독, 지방간, 진통, 창종, 청혈, 초조감, 출혈, 충수염, 치은염, 치조농루, 치질, 타박상, 탈항, 탕화창(화상), 통경, 통풍, 편도선염, 풍, 피부미용(거칠어진 피부-고운 살결을 원할 때), 피부염, 한열왕래, 항바이러스제, 해열, 혈리, 화농, 황달
소아질환: 탈항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권혁세 집필자 소개

출처

익생양술대전
익생양술대전 | 저자권혁세 | cp명학술편수관 전체항목 도서 소개

1000여 종에 이르는 약초의 약리학적 지식정보를 명쾌하게 소개하는 본초학 도감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인동


[Daum백과] 인동익생양술대전, 권혁세, 학술편수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