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한민국 임시정부 大韓民國 臨時政府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19년부터 1945년까지 27년간 중국에서 민주공화제의 독립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주권 자치를 실현하였던 임시정부이다.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수립된 이후 1945년 11월 김구 등이 환국할 때까지 민주공화제의 독립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주권 자치를 실현하였다. ...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역사/근대사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 (관련어 대한민국 임시정부) 大韓民國臨時政府 樹立記念..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역사적 의의를 기리기 위해 제정된 날. 정부는 1989년 임시정부 수립을 선포했다는 역사자료를 근거로 임시정부 수립일을 4월 13일로 정하고 해마다 국가보훈처에서 주관하여 기념식을 거행했다. 그러나 1919년 4월 11일 국호가 제정되고 임시헌장 반포와 국무원 선임이 이루어졌다는 반론이 제기되...
- 분류 :
- 법정기념일, 비공휴일
- 시행일 :
- 1989년 12월 30일
- 주관처 :
- 국가보훈처
- 날짜 :
- 4월 13일(2019년부터는 4월 11일)
-
-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 독립을 위해 애쓴 임시 공..1919년 3 · 1운동으로 온 민족의 지지를 받아 대한 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그 전까지 총 7개의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는데, 1919년 4월 상하이를 거점으로 통합해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출범했다. 그러나 임시 정부는 6년 넘게 이사를 전전하다가, 우여곡절 끝에 1926년 7월 지금의 자리에 둥지를 틀었다. 19...
- 위치 :
- 上海市 卢湾区 马当路 306弄 4号
- 요금 :
- ¥20
- 가는 법 :
- 지하철 10, 13호선 신톈디(新天地) 역 하차, 6번 출구로 나와서 왼쪽으로 도보 3분.
- 사이트 :
- dh.luwan.sh.cn
- 이용 시간 :
- 09:00~11:30(티켓 판매 11:00 종료), 13:30~16:30
-
대한민국임시정부1919년 광복을 위해 중국 상하이에 수립한 임시정부 우리나라 최초의민주 공화정체로서 1대 대통령은 이승만, 2대 대통령은 박은식이었다. 연통제 실시와 군자금 조달, 애국공채 발행, 독립신문 간행 등 독립운동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대표기관이었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자주독립의 역량을 결집하다배경 1919년 상해에서 최초의 민주공화제 정부인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다. 1920년 유관순이 아우내 장터에서 태극기를 나눠 주다 체포되어 옥사하다. 1923년 신숙, 신채호 등의 독립운동가들이 상해에서 국민대표회의를 열다. 설명 1919년 3~4월, 국내외에서는 5개의 임시정부가 생겨났다. 이 가운데 조직의 실체...
- 시대 :
- 1919년
-
대한민국임시정부 상해시대(1919~32)제도인 동시에 국내를 지휘·감독하기 위한 기본조직으로 기능했다. 연통제는 임정의 내무총장 안창호(安昌浩)가 상하이에 도착한 뒤 1919년 7월 10일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원령 제1호로 임시연통제령을 공포하면서부터 본격적인 업무가 개시되었다. 이에 의해 연통부를 나누어 각 도에 감독부, 각 군에 총감부, 각면에...
-
대한민국임시정부주파리대표부 大韓民國臨時政府駐駐─代表部개설 1919년 3월 13일 파리에 도착한 파리대표부 김규식 외 김탕 및 여운홍은 파리 제9구 샤또덩가 38번지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파리 대표부 청사를 세우고 독립을 위해 외교활동을 전개하였다. 이곳에서 1919년 3월 28일부터 1920년 4월까지 파리강화회의 의장에게 편지를 보내고 일제의 주권탄압과 폭력적 인권유린을...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설립 :
- 1919년 3월 28일
- 성격 :
- 대한민국 파리주재 임시정부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20년 4월
- 설립자 :
- 김규식
- 분야 :
- 정치·법제/외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대한민국임시정부 구성기사 원문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 축하문 금번 시위운동할 때에 반포된 것이라. 10년의 노예생활을 벗어나 금일에 다시 독립대한의 국민이 되었도다. 지금 이승만 박사 대통령으로 선거되고 국무총리 이동휘씨 이하 평소 국민이 숭앙하던 지도자로 통일내각이 성립되도다. 우리 국민은 다시 이민족의 노예가 아니요...
- 간행/발행 :
- 독립신문(1919년 11월 15일)매일신보(1925년 04월 09일)
-
대한민국임시정부헌법 大韓民國臨時政府憲法내용 대한민국임시정부와 그 헌법이 성립하게 된 사상적 배경은 1919년 3·1운동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운동은 일제강점기에 살던 국내외의 2000만 한민족(韓民族)이 다 함께 참여한 거족적인 민족운동이었다. 당시 민중시위에서 독립을 구가한 2000만 민중의 호소는 단순한 집단적 반항의 성격을 넘어 새로운 국가...
- 시대 :
- 근대
- 성격 :
- 헌법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19년 9월 11일(제1차 개헌) , 1925년 4월 7일(제2차 개헌) , 1927년 3월 15일(제3차 개헌) , 1940년 10월 9일(제4차 개헌) , 1944년 4월 22일(제5차개헌)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대한민국임시정부 충칭시대(1940~45)구미주 방면의 외교활동은 주미외교위원회가 맡았다. 임시정부는 1941년 11월 28일 조소앙의 삼균주의를 국정에 반영하는 등 건국강령을 발표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강력한 정치이념과 독립전쟁의 준비태세를 천명했고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자 미국·중국에 이어 12월 10일 공식적으로 '대일선전포고'를 발표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