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상해시대(1919~32)

다른 표기 언어

요약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상하이에 거점을 두고 활동하던 시기. 이 시기 임시 정부는 안정적이지 않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내정, 교통, 군사 등 전반적인 분야에서 광복정책을 펼치며 입지를 굳건히 했다. 교통국을 세워 자본과 정보 등의 유통을 원활하게 했고, 연통제를 실시하여 국내의 각 지점들을 관리 감독했다. 동시에 외교 활동을 전개하여 중국을 비롯해 미국, 영국 등 여러 나라에 한국의 독립에 대한 의지를 보였으며, 제2차 인터내셔널 회의인 만국사회당대회에 참석하여 한국독립승인결의안을 통과시키는 큰 성과를 내기도 했다. 이밖에 무장독립론을 기본으로 상하이에 육군무관학교를 설치하여 군사 배출도 놓치지 않았다. 이후 이봉창의 일왕폭살의거가 미수로 그치고, 윤봉길의 투탄의거로 일본의 주력 인사들이 사망하자 일본의 보복을 피해 상하이를 떠나게 되었다.

개요

임시정부는 이 기간 동안 7번이나 청사를 옮기면서도 내정·교통·군사·외교·교육·문화·재정·사법 등 모든 분야에 걸친 광복정책을 전개하며 뿌리를 내렸다. 이 시기는 3단계 임시정부 중에서 가장 업적이 많았던 반면 지도체제상에도 시련과 역경이 겹쳤다. 쑨원(孫文)의 심복인 두웨성(杜月笙)의 주선으로 상하이 프랑스 조계 김신부로 22호에 청사를 정한 뒤 1919년 4월 11일 임시정부를 선포하고 나서 우선 내정과 교통면에서 광복정책을 펴나갔다. 특히 1919~22년 전후까지 국내외를 연결하는 비밀조직으로 교통국과 연통제의 상설기구를 설치했다. 교통국은 교통부 소관의 통신기관으로 정보의 수집·검토·교환·연락 등 통신업무에 치중하는 한편 비밀독립운동 자금의 수집업무도 겸했다.

주요 조직

교통국

교통국은 1919년 5월 12일 국무위원 조완구(趙琬九)의 시정방침 연설에서 처음 발표된 이래 같은 해 5월 국내로 진입하는 요로인 평안북도 신의주 건너편 동삼성의 안동현 단동시에 교통부 안동지부를 설치했다. 위치는 안동현 단동시 옛 흥륭가의 이륭양행 2층이었다. 이곳은 일본 영사관의 경찰권이 미치지 못했으므로 교통부 안동지부는 임시정부 초기부터 국내외 정보를 수집·검토하여 통신하고 교환하면서 독립운동을 위한 연락로서의 임무를 수행했다.

교통국은 1군에 1국, 교통소는 1면에 1개소를 원칙으로 설치하여 자금조달과 독립운동에 헌신할 의식있는 인물의 발굴을 주요임무로 했다. 교통국은 첫째, 상해임시정부의 활동을 위하여 군자금을 모집했으며, 둘째, 국내의 정보를 수집·검토·교환·비교하여 정부에 보고했고, 셋째, 정부의 지령·각종 기밀문서·기관지 〈독립신문〉 등 서류를 국내에 전달했고, 넷째, 교통국의 조직 및 독립운동을 위한 인물소개와 무기의 수송전달을 담당했다.

교통국은 안동교통사무국을 위시하여 평안북도와 함경남도 등지로 전파되었다. 그중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곳은 안동교통사무국으로, 영국인 G. L. 쇼의 비호하에 상해임시정부와 국내를 연락하는 일에 종사하며 기밀문서 및 위험물 수송을 처리하는 등 다양한 활약을 했다. 그리고 각 교통국의 본 업무에 대한 통신연락은 일찍부터 암호를 사용하여 교신했다.

연통제

한편 상하이에 본부를 둔 연통제는 임시정부가 국민국가로서의 고유한 업무수행을 위해 국내외를 연결해 시행한 지방 행정제도인 동시에 국내를 지휘·감독하기 위한 기본조직으로 기능했다. 연통제는 임정의 내무총장 안창호(安昌浩)가 상하이에 도착한 뒤 1919년 7월 10일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원령 제1호로 임시연통제령을 공포하면서부터 본격적인 업무가 개시되었다. 이에 의해 연통부를 나누어 각 도에 감독부, 각 군에 총감부, 각면에 사감부를 각각 설치했다. 그리고 같은 해 10월 17일 그 관제를 발표했고, 11월 30일 서울에 임시총판부를 설치하여 국내까지 그 조직과 기능을 확대·보급했다.

임시지방연통제는 경기도를 비롯한 13도에 각기 도를 두고, 도에는 독판, 부에는 부장, 군에는 군감, 면에는 면감을 조직하여 각 관내의 행정사무를 관리하고 지휘·감독하게 했다. 또한 연통제는 해외 한인사회에 거류민단제를 실시하고자 했으며, 이에 따라 1920년 3월 시베리아 한인사회에 연통제 실시를 추진하여 총판에 최재형(崔在亨), 부총판에 김치보(金致甫)를 선정했으나 최재형이 피살됨으로써 실시가 중단되고 말았다. 실제로 연통제는 국내의 9개도, 1부, 45개군에 조직이 이루어져 독립활동을 전개했으며, 만주에도 3개 총판부가 설치되어 국내외와 연락할 수 있었다. 연통제의 업무는 법령 및 공문의 전포, 군인·군속의 징모, 군수품의 조사·수령, 시위운동의 계획, 애국성금의 갹출운동, 통신연락·정보수집 등 다양했다.

외교

외교면에서는 한국의 독립을 국제여론에 호소하고, 중국·미국·영국·소련·프랑스·폴란드·몽골 등과 국교를 수립하고, 임시정부를 승인받기 위해 노력했으며, 파리 강화회의 및 국제연맹, 유럽과 세계 열국을 상대로 한 국제적 독립호소가 외교활동의 중심을 이루었다. 3·1운동 이후 표방된 외교자주주의는 임시정부의 결의안이나 장정 등에서도 피력되어 각종 국제회의에 대표단을 구성하여 보내는 등 다각적인 외교활동을 벌였다. 외교정책을 전개하기 위한 기구로 1919년 4월 김규식(金奎植)을 외무총장으로 임명하는 동시에 파리 주재위원으로 임명하여 주 파리 위원부를 설치하였다. 파리 강화회의에 걸었던 기대가 무산된 뒤에도 한국문제는 주 파리 위원부의 활동으로 국제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큰 성과를 거둔 것은 제2차 인터내셔널 회의인 만국사회당대회에 참석 활동한 것으로 이관용(李灌鎔)·조소앙(趙素昻)이 대표로 참석하여 한국독립승인결의안을 통과시키는 데 성공했다. 주 파리 위원부는 선전활동에도 주력하여 〈한국의 독립과 평화〉·〈자유한국〉 등의 책자를 영어나 프랑스어로 인쇄하여 각지에 배부했고, 각종 국제적 모임에 대표를 파견하여 한국의 입장을 밝히려고 노력했다. 주 파리 위원부는 1919년 9월 미국 필라델피아의 외교통신부와 함께 구미(歐美)위원부에 흡수되었다. 구미위원부이승만(李承晩)이 한성정부의 집정관 총재 자격으로 설치한 한국위원회를 개편한 것이었다.

이는 구미 각지에서 시행할 정부행정을 대행하는 기관으로서 이승만이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외교통신부와 주 파리 위원부를 흡수하여 유럽과 미주에서의 외교업무를 장악했다. 이승만·김규식 등은 미국무부 당국자들과의 개별 접촉을 통하여 한국의 입장을 설명하고 한국에 대한 후원을 요청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이들은 각지를 순회하며 강연회를 개최하는 등 당시 미국정부 당국자들의 그릇된 한국인식을 전환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결과 한국문제를 미국 국회에 상정시킬 수 있었다.

한편 파리 강화회의에서 성과를 거두지 못한 임시정부와 구미위원부는 1921년 11월 11일부터 워싱턴에서 개막되는 태평양회의에 기대를 걸고 이승만·서재필 등 5명의 한국 대표단을 워싱턴에 파견해 외교활동을 전개했다. 임시정부는 태평양회의에 파견할 한국외교후원회를 조직하고 동시에 대(對) 태평양회의 선언서와 결의문을 발표했다(→ 태평양회의외교후원회). 이 회의에서도 한국독립문제가 승인되지는 못했으나 개인적인 접촉으로 일제의 탄압과 식민정책의 포학성을 폭로하여 한국국민의 상황을 세계 여론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구미위원부는 외교사무뿐만 아니라 구미 각지에서 임시정부의 행정을 대행하고 특히 미주지역에서 출납되는 정부재정을 관리했으므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분견소와도 같아 임시정부의 외교정책의 중추가 되었으며, 이는 1928년까지 유지되었다.

군사

군사면에서는 처음부터 무장독립전쟁론을 광복정책으로 채택했다(무장독립운동). 상하이에 신흥무관학교의 인재육성 정신을 살린 육군무관학교를 설치하여 청년장교를 100여 명 배출하고 동삼성 지역에 파견, 일제 군경과 대결하게 했다. 그리고 여러 지역에서 조직된 무장독립군을 임시정부 직할부대로 편입하여 활용하고자 김좌진(金佐鎭)·김동삼(金東三) 등 장군들을 임시정부의 국무위원으로 임명하기도 했으며, 육군주만참의부·서로군정서 등을 직할부대로 편입했다. 특히 군무부의 지부를 하얼빈이나 하바로프스크에 설치·운영하기도 했다.

교육·문화

교육·문화면에서는 일찍이 상하이의 박달학원 이래 인성학교, 3·1중학, 남화학원 등 여러 학교를 세워 의무교육제로 우리 동포들의 자제를 교육했다. 또 대학까지 의무교육제를 확대 실시할 계획을 세웠으나 직접 실시하지는 못하고, 중국의 각 대학에 진학시켰다. 한편 1919년 7월 2일 안창호·이광수(李光洙)·조동호(趙東祜) 등 20여 명은 임시정부 내에 사료조사편찬부를 설치하여 〈한일관계사료집〉 4권 등 50~70여 종의 각종 단행본을 찍어 국내외에 배포, 민족의식을 고취했다. 그리고 임시정부의 기관신문으로 이동녕의 지휘하에 조동호·이광수 등이 〈독립신문〉을 창간하여 연통제를 통해 국내외에 배포하면서 국민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불러일으켰다. 또한 1925년까지 재정난과 상하이 일본영사관의 폐간압력에도 불구하고 200여 호의 신문을 간행·배부했다.

또한 〈신한청년〉 등 월간지와 〈선전〉 등 주간지를 10여 종이나 간행, 독립정신을 홍보하고 소식을 국내외 각지에 유기적으로 전달했다. 임시정부의 재정은 초기에는 인구세·자진헌금·지원금 등으로 충당되었으나 계속되는 재정적 압박을 해소하기 위해 독립공채, 군자금 모집원의 활용, 파견원·조사원의 지원금 조달 등 활발한 대외적 활동을 했다. 초기에는 하와이·미주 동포의 성금이 활용되었으며 뒤에는 장제스[蔣介石] 총통의 원조금으로 임시정부의 활성화를 기할 수 있었다.

결과

임시정부가 남의 나라, 그것도 조계 내에 위치했기 때문에 정상적이고 독립된 사법업무의 수행에는 많은 제약과 한계가 따랐다. 그러나 1920년부터 장기적인 구국운동을 전개해야 된다고 판단해 각종 법원의 설치를 구상해 보통·고등 법원과 중앙심판처를 구상·계획·실천했다. 임시정부는 1932년 1월 8일 김구가 직접 조직하고 주도해온 한인애국단의 이봉창(李奉昌)에 의한 도쿄[東京]에서의 일왕폭살의거가 미수로 끝나자, 4월 29일 윤봉길로 하여금 상하이의 홍구 공원에서 열린 일왕의 생일축하와 1·28상해사변전승축하식장에서 투탄의거를 일으키게 했다. 이에 일본군 사령관 시라카와요시노리[白川義則] 등 20여 명이 살상되자 극악해진 일제의 보복을 피하여 상하이를 떠난 임시정부는 제2기인 이동시대를 맞게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독립신문


[Daum백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상해시대(1919~32)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