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3·1운동 三一運動
    3·1운동은 1919년 31일을 기해 일어난 거족적인 독립만세운동이다. 전국적인 범위에서 각계각층을 망라하여 전개된 3·1운동은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켜 한국민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였고, 중국 상하이에서의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으로 이어졌다. 이민족에 대한 끈질기고 강렬한 독립투쟁정신을 고취하였을 뿐 아...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 3·1운동 3·1 만세 운동, 三一運動
    1919년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항거하여 전국적으로 일어난 민족해방운동. 기미독립운동이라고도 한다. 1919년 31일, 서울의 태화관에서 민족 대표들의 독립 선언 시작을 필두로, 학생들과 시민들이 탑골 공원에 모여 독립 만세 시위를 했다. 이 운동은 전국적으로 퍼져나가 일제의 무단통치를 종결시켰고, 나아가 대...
  • 3 · 1운동 일제 탄압에 대항한 한민족의 독립운동
    1919년 3월, 일제의 폭압적인 무단 통치에 항거해 전국에서 태극기를 앞세우고 만세 시위를 벌였다. 만세 시위는 만주와 연해주, 미주 등지로 급속히 확산돼 해외 한인들도 이에 동참했다. 그야말로 범민족 항일 독립운동이었다. 일제는 무자비한 탄압으로 3·1운동을 진압했으나, 이로써 표출된 다양한 계층의 독립 의...
    시대 :
    1919년
  • 3·1운동
    기사 원문 각지 소요(騷擾) 사건 경성을 위시하여 각 지방 소동 황평양서에는 폭행이 심하다 지난 31일 오후부터 경성을 위시하여 서북 각 지방의 도회에서 조선 독립의 선언서를 발포하고 시위운동을 개시한 소요 사건에 대하여 당국에 도달한 정보가 대개 아래와 같은데 그 선언서에 이름을 기록한 자는 33명으로, ...
    간행/발행 :
    매일신보(1919년 03월 07일, 1919년 04월 01일)
  • 3·1 운동 기미독립운동, 三一運動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저항해 1919년 31일을 기점으로 전국에서 일어난 항일독립운동.|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1일 독립선언문을 읽어 독립을 선언하고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다. 기미년의 일로 기미독립운동 또는 3·1 인민봉기라고도 부른다. 31일 서울을 시작으...
  • 3·1 운동 기미독립운동, 三一運動
    1919년 31일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항거하여 거족적으로 일으킨 민족 해방 운동.|일제는 한국사회를 식민지 지배구조로 재편하기 위하여 통치기구인 조선총독부를 설치하고, 폭압적인 무단통치를 실시했다. 정치·사회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일제의 수탈이 극에 달해, 극소수의 친일파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국...
  • 3·1운동 기미독립운동
    1919년 일제 식민 지배에 저항하며 일어난 대규모 민족 만세운동 •배경: 도쿄 유학생들의 2·8 독립선언 발표, 미국 윌슨 대통령의 민족자결주의 제창 •과정 : 1919년 31일 탑골공원에서 민족대표 33인의 이름으로 독립선언서를 발표하고 전국과 외국으로 독립만세운동이 퍼져나감 •결과 : 일본의 통치방식을 문화...
  • 3·1 민족독립항쟁 3·1운동
    1918년(무오년) 11월, 만주지역의 독립군들은 ‘일제 침략자를 무력으로 몰아내고,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국임’을 선포하는 〈대한독립선언서〉를 발표하였다. 이는 일제에 항거한 최초의 독립선언으로 강력한 무장투쟁을 선언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무오년 독립선언을 이어 1919년 2월 8일에는 최팔용을 중...
    시대 :
    1919년
  • 3·1 운동 (관련어 3·1운동) March First M..
    줄여서 기미운동(己未運動)이라고도 부른다. 고종이 독살되었다는 소문이 퍼진 것을 계기로 고종의 장례가 있던 1919년 31일에 맞추어 조선 전역에서 봉기하였다. 만세 운동을 주도한 인물들을 민족대표 33인이라고 부르며, 이외에 만세 성명서에 직접 서명하지는 않았으나 직접적, 간접적으로 만세 운동의 개최를 위...
    도서 위키백과
  • 6 · 10만세운동 (관련어 3·1운동) 이념과 종교를 넘어 연대를 모색한 독립운동..
    1926년 6월 10일 조선의 마지막 국왕인 순종의 인산일을 기해 학생들이 서울 도심의 연도에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치고 태극기를 살포하며 시위를 일으켰다. 삼엄한 경계를 펼치던 일제는 학생들이 주도한 만세운동에 허를 찔린 채 현장에서 수많은 학생들을 체포하고 시위를 탄압했다. 6·10만세운동3·1운동 당시 전...
    시대 :
    1926년
  • 3·1 운동 三·一 運動
    1919년 3월 11일부터 4월 하순까지 부산 일대에서 일어난 독립 만세 운동.|[개설] 부산 3·1 운동은 전국으로 퍼져나가던 3·1 운동의 소식을 접하고, 부산 시민들과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3월 11일부터 4월 하순까지 부산 각지에서 일어난 항일 독립 운동이다. [역사적 배경] 첫 개항지로서 일제의 조선 침략에 교두...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31운동
    31운동 국권 피탈 3,107일 만에 1919년 31일 독립만세를 외치다! 올해는 1919년 31일 『우리는 이에 우리 조선이 독립국임과 조선인은 자유민임을 선언한다』라고 『선언서』를 선포한 지 106주년이 되는 해이다. 19세기 후반 국제사회는 산업자본주의를 바탕으로 한 제국주의 시대였다. 한국은 내정 개혁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55건

3・1운동
3·1운동
3·1운동
3. 1운동 시위자 압송
3·1 운동(三一運動)
3·1 운동(三一運動)
3・1운동 격문(경남 통영)
경남 통영 3・1운동 격문
3・1운동 시위자 압송 모습
3・1운동 당시 살던 곳
만주 용정 3・1운동시위
만주 용정 3・1운동시위
제암리3·1운동순국유적
옥천 3・1운동 보도기사(『매일신보』 1919. 3. 30)
양양 3・1운동 공판 보도(『매일신보』 1919. 5. 3)
군산 3. 1운동 보도기사(『매일신보』 1919. 3. 8)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