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3·1운동 三一運動3·1운동은 1919년 3월 1일을 기해 일어난 거족적인 독립만세운동이다. 전국적인 범위에서 각계각층을 망라하여 전개된 3·1운동은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켜 한국민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였고, 중국 상하이에서의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으로 이어졌다. 이민족에 대한 끈질기고 강렬한 독립투쟁정신을 고취하였을 뿐 아...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
3 · 1운동 일제 탄압에 대항한 한민족의 독립운동1919년 3월, 일제의 폭압적인 무단 통치에 항거해 전국에서 태극기를 앞세우고 만세 시위를 벌였다. 만세 시위는 만주와 연해주, 미주 등지로 급속히 확산돼 해외 한인들도 이에 동참했다. 그야말로 범민족 항일 독립운동이었다. 일제는 무자비한 탄압으로 3·1운동을 진압했으나, 이로써 표출된 다양한 계층의 독립 의...
- 시대 :
- 1919년
-
3·1운동기사 원문 각지 소요(騷擾) 사건 경성을 위시하여 각 지방 소동 황평양서에는 폭행이 심하다 지난 3월 1일 오후부터 경성을 위시하여 서북 각 지방의 도회에서 조선 독립의 선언서를 발포하고 시위운동을 개시한 소요 사건에 대하여 당국에 도달한 정보가 대개 아래와 같은데 그 선언서에 이름을 기록한 자는 33명으로, ...
- 간행/발행 :
- 매일신보(1919년 03월 07일, 1919년 04월 01일)
-
-
-
3·1운동 기미독립운동1919년 일제 식민 지배에 저항하며 일어난 대규모 민족 만세운동 •배경: 도쿄 유학생들의 2·8 독립선언 발표, 미국 윌슨 대통령의 민족자결주의 제창 •과정 : 1919년 3월 1일 탑골공원에서 민족대표 33인의 이름으로 독립선언서를 발표하고 전국과 외국으로 독립만세운동이 퍼져나감 •결과 : 일본의 통치방식을 문화...
-
3·1 민족독립항쟁 3·1운동1918년(무오년) 11월, 만주지역의 독립군들은 ‘일제 침략자를 무력으로 몰아내고,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국임’을 선포하는 〈대한독립선언서〉를 발표하였다. 이는 일제에 항거한 최초의 독립선언으로 강력한 무장투쟁을 선언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무오년 독립선언을 이어 1919년 2월 8일에는 최팔용을 중...
- 시대 :
- 1919년
-
6 · 10만세운동 (관련어 3·1운동) 이념과 종교를 넘어 연대를 모색한 독립운동..1926년 6월 10일 조선의 마지막 국왕인 순종의 인산일을 기해 학생들이 서울 도심의 연도에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치고 태극기를 살포하며 시위를 일으켰다. 삼엄한 경계를 펼치던 일제는 학생들이 주도한 만세운동에 허를 찔린 채 현장에서 수많은 학생들을 체포하고 시위를 탄압했다. 6·10만세운동은 3·1운동 당시 전...
- 시대 :
- 1926년
-
3·1 운동 三·一 運動1919년 3월 11일부터 4월 하순까지 부산 일대에서 일어난 독립 만세 운동. [개설] 부산 3·1 운동은 전국으로 퍼져나가던 3·1 운동의 소식을 접하고, 부산 시민들과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3월 11일부터 4월 하순까지 부산 각지에서 일어난 항일 독립 운동이다. [역사적 배경] 첫 개항지로서 일제의 조선 침략에 교두...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3・1운동3・1운동 국권 피탈 3,107일 만에 1919년 3월 1일 독립만세를 외치다! 올해는 1919년 3월 1일 『우리는 이에 우리 조선이 독립국임과 조선인은 자유민임을 선언한다』라고 『선언서』를 선포한 지 106주년이 되는 해이다. 19세기 후반 국제사회는 산업자본주의를 바탕으로 한 제국주의 시대였다. 한국은 내정 개혁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