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삼균주의 三均主義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조소앙이 독립운동의 기본방략 및 미래 조국건설의 지침으로 삼기 위하여 체계화한 민족주의적 정치사상.|내용 ‘개인과 개인,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 간에 균등생활을 실시하려는 주의’이다. 완전균등을 대전제로 하면서 이의 실현을 위해 정치적·경제적·교육적 균등을 주장하고 있다....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근대사
  • 삼균주의 三均主義
    삼균주의는 독립운동가 조소앙(趙素昻, 1887~1958)이 독립운동의 기본방략 및 조국건설의 지침으로 삼기 위하여 체계화한 민족주의적 정치사상이다. 한마디로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 통해 개인과 개인의 균등생활을 실현하고 이를 토대로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의 균등생활을 이루며, 나아가 세계일가를 추구한...
  • 삼균주의 三均主義
    상해 임시정부의 외무부장이자 한국독립당의 이론가였던 그는 한국 민족해방운동 내부의 좌·우익사상을 지양, 종합하여 독립운동의 기본 방략 및 미래 조국 건설의 지침으로 삼기 위하여 균권, 균산, 균학으로 표현되는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 기반으로 하여 개인간에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민족 및 국가 간의 균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선거
  • 삼균주의 Three Principles of the Equality
    내셔널리즘 정치노선이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법에 포함된 기초 이념이었다. 조소앙이 제창한 정치사회사상으로 중국 기독교 정치가 쑨원(孫文)의 삼민주의(三民主義)와 일본 유학시절 번역한 '천부인권론'의 기독교 '만민평등사상'에 영향을 받아 제창되었다.“이 삼균주의 안에는 “만민평등사상”이 깊이 녹아져 있...
    도서 위키백과
  • 조소앙 조용은, 趙素昻
    개요 중국에 망명해 독립운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독립운동노선이자 광복 후의 새로운 국가건설 방략을 제시한 삼균주의(三均主義)를 정립했다. 본관은 함안(咸安). 본명은 용은(鏞殷). 자는 경중(敬仲), 호는 소앙(素昻). 초년 아버지는 정규(禎奎)이며, 어머니는 박필양(朴必陽)이다. 1904년 성균관을 수료하고 7...
    출생 :
    1887(고종 24), 경기 파주
    사망 :
    1958. 9. 10
    국적 :
    한국
    자 :
    경중(敬仲)
    호 :
    소앙(嘯卬, 蘇卬, 素卬, 素昻)
  • 조소앙 경중, 趙素昻
    안으로는 국민 각개의 균등생활을 확보하며 밖으로는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의 평등을 실현하고 나아가 세계일가의 진로 향함”이라는 당의를 통해 삼균주의(三均主義)에 의거한 독립운동 이념을 제시하였다. 1930년 4월 「한국의 현상 및 혁명 추세」를 탈고하여 1929년 광주학생혁명이 일어나기까지의 혁명 역사를...
    출생 :
    1887년 4월 10일, 경기 교하(交河)
    사망 :
    1958년 9월 10일
    본관 :
    함안(咸安)
    주요활동 :
    1913년 동제사 가입, 1917년 「대동단결의 선언」 참여,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만국사회당 대회 참가, 1927년 민족유일당운동 참여, 1930년 한국독립당 창당, 삼균주의 강령 기초, 1935년 민족혁명당 참여, 한국독립당 재건, 1940년 통합 한국독립당창당, 1941년 대한민국 건국강령 기초, 1940년대 임시정부 외무부장
    포상훈격 :
    1989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동제사, 대한독립의군부,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민족혁명당, 한국독립당
  • 조소앙 경중(敬仲), 趙素昻
    하였다. 1930년 이동녕(李東寧) · 이시영(李始榮) · 김구(金九) · 안창호(安昌浩) 등과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을 창당하였다. 독자적 이념체계인 삼균주의(三均主義)에 입각한 정강 · 정책의 ‘태극기 민족혁명론’을 제창하였는데, 삼균주의는 정치 · 경제 · 교육의 균등을 골자로 한다. 한국독립당의 대외선전...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사회당 社會黨
    내용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에서 이탈한 조소앙(趙素昻)은 삼균주의청년동맹(三均主義靑年同盟)을 중심으로 삼균주의에 입각하여 정치·경제·교육의 균등을 이상으로 하고 복지국가를 지향한다는 정강을 내세워 1948년 12월 1일 사회당을 창당하였다. 결당선언에서 “무산계급독재도, 자본주의 특권계급의 사이비적...
    시대 :
    현대
    설립 :
    1948년 12월 1일
    성격 :
    정당
    유형 :
    단체
    해체 :
    1950년 6월
    설립자 :
    조소앙
    분야 :
    정치·법제/정치
  • 한국국민당 韓國國民黨
    실제적으로 주도·지휘하고 있던 안공근이 중국국민당으로부터 매달 수천 원씩의 보조를 받아 이중의 일부를 당무 경비로 보조하기도 했다. 한국국민당은 삼균주의(三均主義)에 입각한 민주공화국의 건설을 당의 기본이념으로 했으며, 당강(黨綱)에서 ① 국가주권광복의 혁명적 의식을 국민에게 고취·환기하여 민족적...
  • 한국독립당 韓國獨立黨
    趙琬九)·김철(金澈)·안창호(安昌浩)·이시영(李始榮)·조소앙(趙素昻)이 선임되었다. 이동녕·안창호·이유필·조완구·김두봉·안공근(安恭根) 등이 삼균주의에 입각하여 ① 국내민족에 대하여 혁명의식을 환기하고 혁명역량을 집중한다, ② 엄밀한 조직하에서 민족적 반항과 무력적 파괴를 적극 진행한다, ③ 세계...
  • 한국국민당 韓國國民黨
    反戰)을 주장하던 일본 민중과의 연합도 원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사상 면에서는 국수주의적이며 보수적인 경향을 띠고 있었다. 그러나 당의 정치강령인 삼균주의(三均主義)와 토지국유화정책 등의 주장은 현대화된 민주주의와 사회주의의 색채를 띠고 있었다. 이 당은 창당 과정에서부터 중국 국민당과 밀접한 관계를...
    시대 :
    근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여준 呂準
    중학(儉成中學)을 설립해 교장으로 인재 양성에 진력했다. 1930년 1월에 상하이[上海]로 가서 김구·이동녕·안창호·지청천 등과 함께 한국독립당을 재결성해 삼균주의(三均主義)를 표방하는 항일투쟁을 했다. 1931년 만주사변이 발발했을 때 후퇴하는 중국군에게 심한 매를 맞고 장백산록(長白山麓)에 요양하던 중...
    출생 :
    1862, 경기 용인
    사망 :
    1932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독립기념관 경내에 세워진 조소앙 선생 어록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