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삼균주의 三均主義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조소앙이 독립운동의 기본방략 및 미래 조국건설의 지침으로 삼기 위하여 체계화한 민족주의적 정치사상. 내용 ‘개인과 개인,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 간에 균등생활을 실시하려는 주의’이다. 완전균등을 대전제로 하면서 이의 실현을 위해 정치적·경제적·교육적 균등을 주장하고 있다....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근대사
-
-
-
조소앙 경중, 趙素昻안으로는 국민 각개의 균등생활을 확보하며 밖으로는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의 평등을 실현하고 나아가 세계일가의 진로 향함”이라는 당의를 통해 삼균주의(三均主義)에 의거한 독립운동 이념을 제시하였다. 1930년 4월 「한국의 현상 및 혁명 추세」를 탈고하여 1929년 광주학생혁명이 일어나기까지의 혁명 역사를...
- 출생 :
- 1887년 4월 10일, 경기 교하(交河)
- 사망 :
- 1958년 9월 10일
- 본관 :
- 함안(咸安)
- 주요활동 :
- 1913년 동제사 가입, 1917년 「대동단결의 선언」 참여,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만국사회당 대회 참가, 1927년 민족유일당운동 참여, 1930년 한국독립당 창당, 삼균주의 강령 기초, 1935년 민족혁명당 참여, 한국독립당 재건, 1940년 통합 한국독립당창당, 1941년 대한민국 건국강령 기초, 1940년대 임시정부 외무부장
- 포상훈격 :
- 1989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동제사, 대한독립의군부,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민족혁명당, 한국독립당
-
조소앙 경중(敬仲), 趙素昻하였다. 1930년 이동녕(李東寧) · 이시영(李始榮) · 김구(金九) · 안창호(安昌浩) 등과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을 창당하였다. 독자적 이념체계인 삼균주의(三均主義)에 입각한 정강 · 정책의 ‘태극기 민족혁명론’을 제창하였는데, 삼균주의는 정치 · 경제 · 교육의 균등을 골자로 한다. 한국독립당의 대외선전...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사회당 社會黨내용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에서 이탈한 조소앙(趙素昻)은 삼균주의청년동맹(三均主義靑年同盟)을 중심으로 삼균주의에 입각하여 정치·경제·교육의 균등을 이상으로 하고 복지국가를 지향한다는 정강을 내세워 1948년 12월 1일 사회당을 창당하였다. 결당선언에서 “무산계급독재도, 자본주의 특권계급의 사이비적...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48년 12월 1일
- 성격 :
- 정당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50년 6월
- 설립자 :
- 조소앙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
한국국민당 韓國國民黨反戰)을 주장하던 일본 민중과의 연합도 원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사상 면에서는 국수주의적이며 보수적인 경향을 띠고 있었다. 그러나 당의 정치강령인 삼균주의(三均主義)와 토지국유화정책 등의 주장은 현대화된 민주주의와 사회주의의 색채를 띠고 있었다. 이 당은 창당 과정에서부터 중국 국민당과 밀접한 관계를...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