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단성민란 丹城民亂
    1862년(철종 13) 경상도 단성현에서 일어난 민란.|역사적 배경 직접적인 원인은 환곡(還穀)의 폐해에 있었다. 단성현은 호수가 수천에 불과한 소읍인데도 환곡의 총수가 10만 3000여섬에 달하였다. 그 가운데 아전들이 포흠한 환곡[吏逋]이 5만 2392섬에 이르렀다. 그러나 역대 현감들은 이에 대한 폐단 구제책은 강구...
    시대 :
    조선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단성민란 丹城民亂
    1862년(철종 13) 경상도 단성현에서 일어난 농민봉기.|임술년 삼남지방에서 잇달아 발생한 농민봉기의 효시였다. 단성은 작은 읍인데도 1850년대에 이르러 환곡이 10만 석까지 늘어나서 그 이자조차 갚기 어려울 정도로 환곡의 폐단이 컸다. 1861년 겨울 감영에서는 이무미 3,000석을 분급하고는 매석당 4냥 4전씩 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민란 民亂
    이른다. 민란은 고종 연간에도 계속되어 마침내는 1894년 전국적인 농민전쟁을 발전하여 중앙봉건권력의 타도를 외치기에 이르렀다. 임술민란(壬戌民亂) 즉 1862년 농민항쟁의 배경으로는 먼저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토지에서의 극심한 농민층 분해와 그와 맞물린 국가의 지방 통치 체제에 의한 부세수탈로 인해 농민...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진주농민항쟁 농민항쟁의 불씨가 타오르다
    지면서 백성들의 부담은 가중되었다. 그리하여 곳곳에서 간간이 이에 대한 저항들이 나타나더니, 철종 13년(1862) 2월 4일 진주 인근지역 단성에서 불씨가 타오르기 시작하였다. 단성에서 시작된 농민항쟁은 이후 진주로 확대되었던 것이었다. 진주는 경상우도의 핵심지로서, 거창·함양·안의·합천·단성·초계 등이...
  • 진주민란 晉州民亂
    1862년에 단성에 이어 2번째로 발생했는데, 본격적으로 전개된 후 여타 지역의 농민봉기를 선도했다. 진주에서는 농민층 내의 소유와 경영을 둘러싼 계층분화가 극심했고, 많은 농민들이 빈궁에 허덕이고 있었다. 즉 소유분화가 심하여 1846년(헌종 12) 진주 나동리의 경우 약 6%의 토지소유자가 44%의 농지를 소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진주민란 晉州民亂
    이웃 단성(丹城) 주민의 봉기에 자극된 그들은 언방(諺榜 : 한글로 된 방문) · 회문(回文) · 통문(通文) 등을 지어 발표하면서 마침내 2월 18일 이른 아침에 행동을 개시하였다. 그들은 먼저 서쪽에 있는 수곡(水谷) 장터를 휩쓸고 이어 덕산(德山) 장터로 몰려가서 철시(撤市)를 강행하였다. 여기에서 위세를 떨치게...
    시대 :
    조선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임술농민봉기
    세금 제도의 문란 및 지배 계층의 횡포가 자행되었다. 피지배 농민 계층의 생활고는 가중되었고, 불만은 누적되었다. 1862년 3월 4일(음력 2월 4일)의 단성민란을 시작으로, 3월 14일(음력 2월 14일)의 진주민란으로 폭발한 농민들의 분노는 3개월 이상 삼남(경상도·전라도·충청도)과 중부·북부 지방 일부(광주·함흥...
    도서 위키백과
  • 단계선생일기 端磎先生日記
    1858년 · 1859년 때의 일기는 빠져 있어 실제로는 53년간의 53책이 전한다. 또한, 여기에는 김인섭의 아버지 김영(金欞)이 쓴 1850년의 경술일기와 단성민란의 주모자로 전라남도 영광군 임자도 유배시절에 쓴 「간정록(艱貞錄)」이 함께 보관되어 있다. 일기는 대부분 시헌력(時憲曆)의 해당 날짜 위에 덮어썼으나...
    시대 :
    근대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근대사
  • 김인섭 성부(聖夫), 金麟燮
    상산(商山). 자는 성부(聖夫), 호는 단계(端磎). 아버지는 해기옹(海寄翁) 김영(金欞)이며, 어머니는 함양박씨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62년(철종 13)에 일어난 단성민란(丹城民亂)의 지도자이다. 1846년(헌종 12)에 문과에 병과로 급제, 같은 해 12월 승문원권지부정자에 임명되었다. 다음 해 장녕전별검(長寧殿別檢...
    시대 :
    근대
    출생 :
    1827년(순조 27)
    사망 :
    1903년
    경력 :
    장녕전별검, 사간원정언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단계문집, 단계일기, 언행유편, 이동자변, 기아초선, 관동일록, 유산록, 대암잡지, 두류만록, 회암출처편록, 일월행도기, 춘추대강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상산(商山: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
  • 단계집 端溪集
    암말을 요구한 청나라 사신을 목 베고 명나라의 유민들과 협력해 청나라를 멸망시키자고 주장하였다. 「상금부원정장(上禁府原情狀)」은 1862년(철종 13) 단성민란(丹城民亂)으로 인해 아버지 김령(金欞)과 자신이 의금부에 구속되어 심리(審理)를 받기 전에 올린 글이다. 관속들의 포흠(逋欠: 관물을 사사로이 소비함...
    시대 :
    조선
    저작자 :
    김인섭
    창작/발표시기 :
    1966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8권 10책
    간행/발행 :
    김천수, 성재기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동아대학교 도서관, 전남대학교 도서관, 국민대학교 도서관
  • 정한순 鄭翰淳
    생애 및 활동사항 조선 철종 때 일어난 함평민란의 주동자이다. 1862년 2월 경상도 단성·진주에서 시작된 민란이 4월에는 전라도지역으로 확산되었다. 함평현감 권명규(權命奎)는 3만금의 저채(邸債: 京邸吏에게 진 빚)를 갚기 위하여 현민들의 세미(稅米)와 환곡(還穀)에서 부당하게 9,000석을 더 거둬들였다. 이에 그...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862년(철종 13)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함평민란
    직업 :
    주모자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삼정책 응지삼정소, 三政策
    뿐만 아니라 이후 재정·부세 개혁의 방향을 일정하게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변천과 현황 1862년(철종 13) 경상도 단성과 진주에서 시작된 민란은 삼남 전역으로 번져나갔다. 왕조 정부는 민란의 원인을 전정(田政)·군정(軍政)·환정(還政)의 삼정에 문제가 있다고 파악하고 이에 대한 수습책을...
    시대 :
    조선후기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