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너도바람꽃류 너도바람꽃류 너도바람꽃, winter aconite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에 속하는 약 7종의 다년생 초본. ‘newyear’s gift’라고도 한다. 산지 북사면의 해발 600m에 서식하며, 개체가 적어 드물게 발견된다. 크기는 15cm 정도이다. 꽃말은 ‘사랑의 괴로움’, ‘사랑의 비밀’이다. 개요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속씨식물. 학...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서식지 :
- 북사면의 해발 600m에서 드물게 발견
- 크기 :
- 약 15cm
- 학명 :
- Eranthis stellata (Maxim.)
- 꽃말 :
- 사랑의 괴로움, 사랑의 비밀
-
너도바람꽃 White snowdrop분포지역 중국, 러시아 / 한국(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도)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15cm이다. 잎 근생엽은 길이 5-10cm의 긴 엽병이 있으며 3개로 깊게 갈라지며 측열편은 다시 2개씩 깊게 갈라지고 각 열편은 우상으로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선형이고 총포조각은 대가 없으...
- 분류 :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너도바람꽃속
- 꽃색 :
- 백색
- 학명 :
- Eranthis stellata Maxim.
- 개화기 :
- 3월, 4월
-
너도바람꽃 절분초나만 바람꽃인 줄 알았더니 바람꽃도 제비꽃 못지않게 종류가 많다. 바람꽃은 바람을 좋아하는 높은 지대에서 자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인데, 여러 바람꽃 중에서 너도바람꽃은 아주 이른 봄에 핀다. 아직 녹지 않은 눈 속에서 줄기가 삐죽 나오기도 하니 정말 강인한 생명력을 지닌 식물임을 알 수가 있다. 그래서 옛...
- 분류 :
- 미나리아재비과
- 서식지 :
- 산지의 반그늘
- 꽃색 :
- 흰색
- 크기 :
- 키는 약 15㎝ 정도
- 학명 :
- Eranthis stellata Maxim.
- 용도 :
- 관상용
- 분포지역 :
- 우리나라 북부와 지리산, 덕유산 등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결실기 :
- 6~7월경
-
모데미풀 Megaleranthis saniculifolia발견한 식물인데, ‘모데미풀’의 이름에 대해서는 이 마을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학명의 ‘megaleranthis’는 크다는 뜻의 ‘megas’와 너도바람꽃속의 학명인 ‘eranthis’가 합쳐진 말인데, 이는 모데미풀이 큰 너도바람꽃속과 닮았다고 해서 그런 것이다. 형태 키는 40cm에 이르며, 뿌리에서 여러 개...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원산지 :
- 아시아 (북한,대한민국)
- 서식지 :
- 깊은 산 습지 또는 능선 근처
- 크기 :
- 약 20cm ~ 40cm
- 학명 :
-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 꽃말 :
- 아쉬움, 슬픈 추억
-
바람꽃류 바람꽃류 바람꽃, anemone설악산에는 바람꽃과 홀아비바람꽃이 자라고 있다. 이 밖에 미나리아재비과에는 속하지만 바람꽃속은 아닌 식물에 '바람꽃'이란 이름이 붙은 종류가 많다. 너도바람꽃과 나도바람꽃, 만주바람꽃, 매화바람꽃 등이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너도바람꽃은 경기도 북부에서, 매화바람꽃은 북한의 관모봉에서, 나도바람꽃은...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바람꽃속
- 원산지 :
- 유럽, 북아메리카, 아시아
- 서식지 :
- 높은 산간지역
- 크기 :
- 약 15cm ~ 30cm
- 학명 :
- Anemone narcissiflora L.
-
-
식물에 붙은 어미 명칭 이야기단어를 붙여 이름을 지은 참나리, 참바위취, 참개별꽃 등이 있고, 원래는 다른 가족인데 비슷하게 생긴데서, “너도” 또는 “나도” 라는 단어를 붙여 너도바람꽃, 나도바람꽃 너도밤나무 등으로 이름을 지었습니다. 개망초, 개여뀌, 새머루 등은 기존 식물보다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르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입니다...
-
모데미풀 Megaleranthis극축길이는 36-40㎛, 적도면지름은 30-34㎛ 발아구는 3 공구형 표면무늬는 유선상. 어원 지리산의 모뎀골에서 처음 발견되어 모데미풀이라고 명명하였다.속명은 Eranthis(너도바람꽃속)보다 크다는 뜻. 용도 원예 및 조경용 : 꽃과 식물체가 아름다워 조경용으로 개발할 가치가 있다. 특기사항 한국특산식물 참고문헌
- 분류 :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 서식지 :
- 깊은 계곡의 습지와 능선
- 학명 :
-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 분포지역 :
- 한국(일부 지역)
- 근연식물 :
- 금매화
-
유사성에서 비롯된 식물 이름도국수나무, 나도냉이, 나도바람꽃, 나도송이풀, 나도양지꽃, 나도옥잠화 : 원래는 완전히 다른 분류에 속하지만 비슷하게 생긴 데서 유래 ㆍ 너도고랭이, 너도바람꽃, 너도골무꽃 : '나도'와 마찬가지로 다른 분류인데 비슷하게 생긴 데서 유래 ㆍ 뱀고사리, 뱀무, 뱀딸기 : 뱀과 관련이 있거나, '개'와 마찬가지로...
-
국화바람꽃 Many-petal anemone비늘줄기 높이의 2~3배의 깊이로 심는다. 개화기에서 초여름까지 칼륨 성분이 많은 비료를 집중적으로 주고 화학 비료를 1주일에 2회씩 주는 것이 좋다. (너도바람꽃과 같다.) 용도 • 根莖(근경)을 九節菖蒲(구절창포)라 하며 약용한다. ①小滿(소만) 전후에 뿌리를 캐어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 다음 잔뿌리를...
- 분류 :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바람꽃속
- 꽃색 :
- 파란색, 백색, 자주색
- 학명 :
- Anemone pseudoaltaica H. Hara
- 개화기 :
- 5월, 4월
-
나도바람꽃 향수꽃종류가 아주 많아졌다. 대부분 눈이 채 녹기도 전인 이른 봄에 연둣빛 줄기를 키워내는 부지런한 봄꽃이지만 정작 대표종인 바람꽃은 여름에 꽃을 피운다. 너도바람꽃도 비교적 늦봄에 꽃이 핀다. 주로 산지에서 자라기 때문이다. 햇볕이 잘 들어오지 않는 음습한 곳이면서도 땅이 비옥한 곳에서 잘 자란다. 키는 20~30...
- 분류 :
- 미나리아재비과
- 서식지 :
- 햇볕이 잘 들어오지 않는 음습한 곳이면서도 땅이 비옥한 곳
- 꽃색 :
- 하얀색
- 크기 :
- 키는 약 20~30㎝ 정도
- 학명 :
- Enemion raddeanum Regel
- 분포지역 :
- 우리나라 북부지방과 일본, 만주, 우수리 강 등지
- 결실기 :
- 6~7월경
-
바람꽃 조선바람꽃흰색 꽃이 핀다. • 나도바람꽃 : 5~6월에 흰색 꽃이 피는데, 줄기 끝에 길이 3㎝의 작은 꽃자루들이 우산 모양으로 달리고, 그 끝에 1송이씩 달린다. • 너도바람꽃 : 꽃잎은 2개로 갈라진 노란색 꿀샘으로 되어 있다. • 갈래바람꽃 : 7~8월에 흰색 꽃이 피는데, 꽃대의 길이는 3~7㎝이고 꽃받침조각은 5개이며, 넓은...
- 분류 :
- 미나리아재비과
- 서식지 :
- 주변습도가 높으며 유기질 함량이 많은 반그늘
- 꽃색 :
- 흰색
- 크기 :
- 키는 약 20~40㎝ 정도
- 학명 :
- Anemone narcissiflora L.
- 용도 :
- 관상용
- 분포지역 :
- 우리나라 중부 이북, 중국, 시베리아, 유럽, 일본, 북아메리카 등지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개화기 :
- 7~8월
- 결실기 :
- 9~10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