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구려 부흥운동 고구려부흥전쟁, 高句麗 復興運動고구려부흥운동(高句麗復興運動)은 668년 평양성 함락 이후 고구려 부흥을 위한 유민의 제반 활동이다. 668년 9월 평양성이 함락되었지만, 당나라에 불만을 품고 저항한 유민도 나타났다. 검모잠과 안승은 한성을 중심으로 왕국의 재건을 추구하였다. 두만강과 송화강 유역 그리고 요동 지역의 고구려 주요 거점에서도 ...
- 시대 :
- 고대/삼국/고구려,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사건/사회운동
- 분야 :
- 역사/고대사
-
고구려 부흥 운동6월 고구려 대형 검모잠이 당나라 한성(지금의 황해도 재령)에서 왕족 안승을 왕으로 추대하고 고구려 부흥 운동을 시작했다. 이때 당나라는 백제와 고구려 옛 땅을 독차지하고 신라마저 지배하려 들었기 때문에 신라는 고구려 부흥군과 힘을 합쳐 당나라와 싸웠다. 10월에는 말갈과 연합한 당나라군을 대파하기도 했다....
- 시대 :
- 670년
- 국가/대륙 :
- 한국
-
고구려 부흥전쟁과 유민의 이동668년 9월 고구려를 멸망시킨 당나라는 고구려의 부흥을 막기 위해 왕족과 귀족 등 고구려 상층부 약 20만 명을 당나라로 끌고 갔다. 당나라는 영토 지배보다는 당나라와 견줄 만한 세력을 제거하기 위해 고구려의 핵심세력을 철저히 파괴했다. 하지만 왕이 항복하고, 당나라가 억압한다고 해서 고구려인들이 완전히 항...
- 시대 :
- 668년~698년
-
삼국통일 (관련어 고구려 부흥운동) 三國統一삼국통일은 7세기 중엽 신라가 백제·고구려를 멸하고 통일정부를 수립한 일이다. 고구려·백제·신라 3국은 국가 체제를 정비한 후 세력 확장을 꾀하는 과정에서 서로 충돌하게 되었다. 고구려의 남진정책과 백제의 북진정책이 대립했고, 후발국 신라는 그 틈새에서 한강 유역을 차지하여 중국과의 교통로를 확보하려 ...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고대사
-
보장왕, 고구려 부흥 운동 주도그러나 보장왕은 당나라의 의도와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였다. 보장왕은 요동 땅에서 고구려인과 말갈인을 끌어모아 고구려 부흥 운동을 일으키려고 했던 것이다. 고구려 왕족 안승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 부흥군은 671년 안시성에서 당나라군에게 패한 뒤 잦아들었다. 그런데 보장왕 때문에 고구려 부흥 운동의 불씨가...
- 시대 :
- 677년
- 국가/대륙 :
- 한국
-
Goguryeo revival movements 고구려 부흥운동, 高句丽遗民复兴高句丽的运动The Goguryeo revival movements were started in 668, upon the fall of Pyeongyang Fortress to the Silla-Tang alliance. After 668, several different revival movements were initiated throughout the former territories of Goguryeo and some even in Tang territory. A new theory among Korean historians st...출처 영어 위키백과
-
발해부흥운동 渤海復興運動한어계(夫餘韓語系)’의 후손인 한국어와도 친연관계에 있다는 주장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한편, 발해에 대한 후대의 계승의식을 보면, 발해 유민들이 세운 부흥운동 국가들이 ‘후발해’, ‘대발해’ 등의 명칭을 사용한다거나 고구려에서 발해로 이어지는 영역상의 공통점을 언급하는 것으로 볼 때 일정한 계승의식...
- 시대 :
- 고대/남북국/발해
- 발생 :
- 929년(후발해), 935년, 936년, 937년, 970년(정안국 건국 추정), , 1029년(흥요국), 1115년(고욕의 부흥운동), 1116년(대발해국)
- 성격 :
- 부흥운동
- 유형 :
- 사건
- 종결 :
- 1003년(후발해), 1030년(흥요국), 1115년(고욕의 부흥운동), 1116년(대발해국)
- 분야 :
- 역사/고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대연림, 고영창, 고욕
-
백제 부흥운동 百濟 復興運動복신을 살해하였다. 백제부흥운동의 주역인 복신이 죽고 나당연합군이 부흥운동의 본거지인 주류성을 공격하자, 왕자 풍은 고구려로 도망가고 일본 구원군은...9월에 걸쳐 일어났던 백제부흥운동은 실패로 끝났다. 백제부흥운동의 실패 원인은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는 부흥운동군 내부의 다툼으로 인한 세력...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고대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