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6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종삼 ‘나의 직장은 시’『십이음계』 한 늙고 추레한 노인이 가난한 산동네의 구멍가게에 들어온다. 무허가 집들이 들어찬 산 8번지의 한 구멍가게다. 그 동네에는 개백정도 살고, 상처한 복덕방 영감도 살고, 막노동꾼도 살고, 술집 나가는 아가씨도 산다. 과자 부스러기, 라면, 소주, 일용 잡화 몇 가지로 겨우 구색을 갖춘 콧구멍만한 가게...
- 출생 :
- 1921년
- 사망 :
- 1984년
-
김종삼 金宗三해방 이후 『시인학교』, 『북치는 소년』,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등을 저술한 시인. 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은 안산(安山)이며 황해도 은율 출신이다. 평양의 광성보통학교(光成普通學校)를 졸업한 뒤 1934년에 중학교에 입학했으나, 중단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도요시마상업학교를 졸업, 당시 영화인과 접촉...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21년
- 사망 :
- 1984년
- 경력 :
- 국방부 정훈국 상임연출자, 현대시학상 수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시인
- 대표작 :
- 십이음계, 시인학교, 북치는 소년,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본관 :
- 안산(安山)
-
김종삼 金鍾三전라북도 임실군(任實郡) 강진면(江津面) 학석리(鶴石里) 내동(內洞)에서 태어났다. 판결문에 따르면 1880년에 출생한 것으로 보인다. 고향에서 농업에 종사하며 살았다. 1907년 대한제국군대 해산 이후 의병전쟁이 확대되자 정성련(鄭聖連) 의병부대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정성련은 임실군 강진면 출신의 의병장으로,...
- 출생 :
- 1880년, 전라북도 임실(任實)
- 사망 :
- 1909년 12월 24일
- 관련 사건 :
- 후기의병
- 주요활동 :
- 1909년 정성련 의병부대에서 군자금 모집
- 포상훈격 :
- 2018년 건국훈장 애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정성련 의병부대
-
김종삼 金鍾三1883년 7월 26일 충청남도 홍성군(洪城郡) 금마면(金馬面) 덕정리(德井里)에서 출생하였다. 1919년 홍성 지역에서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가 붙잡혀 고초를 겪었다. 1919년 3월 전국에서 일어난 만세시위 소식을 접한 홍성군 금마면 가산리(佳山里)에 사는 민영갑(閔泳甲)은 이재만(李載萬) ・ 김재홍(金在洪) ・ 최중삼(...
- 출생 :
- 1888년 7월 26일, 충청남도 홍성(洪城)
- 사망 :
- 1952년 8월 30일
- 관련 사건 :
- 홍성군 금마면 만세운동
- 주요활동 :
- 1919년 4월 2일 홍성군 금마면 만세시위 참여
- 포상훈격 :
- 2005년 대통령표창
-
전봉건 全鳳健부조리를 고발하고, 평화에 대한 갈망을 노래하면서 리프레인(refrain, 후렴)의 사용으로 음악성을 추구하였다. 초기 시로 분류되는 1950년대의 작품은 김종삼(金宗三)·김광림(金光林)과 함께 낸 연대 시집 『전쟁과 음악과 희망과』(1957)와 첫 개인 시집 『사랑을 위한 되풀이』(1959)에 수록되어 있다. 1960...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28년
- 사망 :
- 1988년
- 경력 :
-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시인
- 대표작 :
- 원, 사월, 축도, 사랑을 위한 되풀이, 시를 찾아서, 춘향연가, 꽃소라, 모래와 산소, 속의 바다, 피리, 꿈속의 뼈, 북의 고향, 돌, 6·25, 새들에게, 전봉건시선, 트럼펫과 천사, 아지랭이 그리고 아픔, 기다리기, 플루트와 갈매기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현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