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88년 7월 26일, 충청남도 홍성(洪城) |
---|---|
사망 | 1952년 8월 30일 |
관련 사건 | 홍성군 금마면 만세운동 |
주요활동 | 1919년 4월 2일 홍성군 금마면 만세시위 참여 |
포상훈격 | 2005년 대통령표창 |
1883년 7월 26일 충청남도 홍성군(洪城郡) 금마면(金馬面) 덕정리(德井里)에서 출생하였다. 1919년 홍성 지역에서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가 붙잡혀 고초를 겪었다.
1919년 3월 전국에서 일어난 만세시위 소식을 접한 홍성군 금마면 가산리(佳山里)에 사는 민영갑(閔泳甲)은 이재만(李載萬) ・ 김재홍(金在洪) ・ 최중삼(崔仲三) ・ 조재학(趙載學) ・ 조한원(趙漢元)과 뜻을 모아 만세시위를 계획하였다. 거사일은 같은 동네 사는 이원교(李元交)의 집에 설치된 임시 연극공연장에서 주민을 대상으로 연극 공연이 있는 4월 1일로 잡았다. 당일 이원교에 집에 집결한 주도자들은 오후 8시 경 연극을 관람하러 온 관객들 앞에서 독립만세를 선창하였다. 이에 관람객들이 호응하며 만세시위가 시작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경찰이 출동하여 시위대를 해산시켰다.
민영갑과 이재만은 다음날인 4월 2일 홍성시장에서 다시 만세운동을 일으켰는데, 이날 시위에 참여하였다가 일제 경찰에 붙잡혔다.
1919년 4월 14일 홍성경찰서에서 보안법 위반으로 태(笞) 90도(度)를 받았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5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도면회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범죄인명부」, 금마면
-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자료집』 5, 1972
-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제3권, 1971
- ・ 김진호, 「홍성지역의 3・1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23집,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4
출처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인명사전으로> 3.1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하여 그동안 축적된 연구기반 위에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사전적으로 종합, 정리하기 ..펼쳐보기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김종삼 –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독립기념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