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도산 김진학, 金陶山
    일제강점기 영화감독인 김도산의 본명은 영근(永根)으로, 1891년(고종 28년) 서울 충무로 초동에서 출생하였고, 상동(尙洞) 예배당 내에 있던 상동학교를 졸업하였다. 1917년 신극좌를 조직하고 독자적으로 연극(신파극) 극단을 운영하였다. 신극좌를 운영하던 김도산은 1919년 7월 4일부터 8일까지 5일 동안 신파인정극...
    출생 :
    1891년(고종 28년) 서울 충무로 초동
    본명 :
    김영근
    데뷔 :
    1919년 7월 4일부터 8일까지 5일 동안 신파인정극 〈의리적(義理的) 구토(仇討)〉(9장)를 우미관에서 공연
  • 김도산 영근(永根), 金陶山
    일제강점기 「의리적 구투」, 「시우정」, 「형사고심」 등의 작품에 관여한 영화인. 연극인.|내용 본명은 영근(永根). 서울 충무로 초동에서 태어나 상동(尙洞) 예배당 안에 있던 상동학교를 나왔으며, 일찍이 연극에 뜻을 두어 신극운동의 선구자인 이인직(李人稙) 밑에서 신극에 참여하였다. 이인직의 원각사(圓覺...
    시대 :
    근대
    출생 :
    1891년
    사망 :
    1922년
    유형 :
    인물
    직업 :
    영화인, 연극인
    대표작 :
    의적(義賊)
    성별 :
    분야 :
    예술·체육/영화
  • 김도산 金陶山
    인물 정보 김도산(金陶山, 1891년~1921년 7월 26일)은 일제 강점기 시대의 연극인으로 본명은 김진학(金鎭學)이며 아명(兒名)은 김영근(金英根)으로 서울 출신이다.백과사전 인용깨진 링크 한국 최초의 영화로 여겨지는 연쇄극 《의리적 구토》의 극본 및 연출을 하였다.서적 인용 상동학교(尙洞學校)를 졸업하고 신극 ...
    도서 위키백과
  • 연쇄극 連鎖劇, kino drama
    마지막에 악당을 때려눕히는 것 따위이다. 인물들은 무대 위에서 서로 쫓고 쫓기지만 배경은 스크린에 영사되는 화면이다. 1919년 10월 27일 단성사에서 김도산의 신극좌가 공연한 〈의리적 구투〉(義理的 仇鬪)가 조선인이 제작한 최초의 연쇄극이었으나 이 형식 자체는 일본에서 유래된 것이었다. 〈의리적 구투〉의...
    도서 영화사전 | 태그 영화
  • 신극좌 新劇座
    1916년 신파극단 예성좌가 해산된 뒤 배우 김도산이 중심이 되어 발족되었다. 경상도 대구에 사는 정인기가 재정적 후원을 맡았고 이경환·변기종·나효진·이원규·한철순 등이 참여했다. 서울 단성사에서 〈의기남아 意氣男兒〉를 공연한 뒤 지방순회 공연을 주로 했다. 1919년에는 연쇄극 〈의리적 구투 義理的仇鬪...
  • 박승필 朴承弼, PARK Seung-pil
    펼치기도 했다. 1918년에는 단성사를 인수하여 운영하면서, 10 여 년 간 흥행분야에서 독점적인 위상을 확보하였다. 작품 세계 박승필은 신극좌 대표였던 김도산으로 하여금 조선 최초의 연쇄극 〈의리적 구토〉(義理的 仇討, 일명 〈의리적 구투〉(義理的 仇鬪))를 만들도록 후원했고, 1919년 10월 27일 단성사에서 이...
    출생 :
    1875년 서울
    사망 :
    1932년
    데뷔 :
    1919년 〈고종인산실경(高宗因山實景)〉(제작)
  • 의리적구투 義理的仇鬪
    상영하는 극)이다. 당시 일본에서 성행하던 연쇄극의 영향을 받아 단성사(團成社)의 주인이던 박승필(朴承弼)이 제작하고, 신극좌(新劇座)를 이끌던 김도산이 각본·감독·주연한 이 연쇄극은 1919년 10월 27일 우리나라 최초의 기록영화인 「경성전시(京城全市)의 경(景)」과 함께 단성사에서 개봉되어 흥행적으로 대단...
    시대 :
    근대
    저작자 :
    김도산
    창작/발표시기 :
    1919년
    성격 :
    영화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영화
    소장/전승 :
    박승필(朴承弼)
  • 신극좌 新劇座
    개설 1916년에 신파극단 예성좌(藝星座)가 해산되자, 1917년 혁신단(革新團)의 단원이었던 배우 김도산(金陶山: 본명 金永根)을 대표로, 이경환(李敬煥)·변기종(卞基鍾)·서재원(徐在元)·이원규(李元圭)·윤혁(尹赫)·홍연현(洪延鉉)·김소진(金少珍)·나효진·김영덕·한철순 등 혁신단 단원과 예성좌 단원이 모여...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설립 :
    1917년
    성격 :
    연극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22년
    설립자 :
    김도산
    분야 :
    예술·체육/연극
  • 박승필 朴承弼
    가져 연극·영화 흥행에 관여했다. 1908년에는 광무대의 운영권을 인수, 창극을 비롯한 전통 한국 연희를 공연했다. 1914년부터는 단성사의 운영을 맡아 김도산의 신극좌(新劇座), 임성구의 혁신단(革新團) 등이 공연하는 신파극을 주로 공연했다. 그러나 신파극은 소재빈곤과 영화의 대중적 인기상승에 따라 인기를...
    출생 :
    1875(?)
    사망 :
    1932. 1. 4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영화
  • 이애리수 이음전(李音全), 李愛利水
    생애 및 활동사항 1911년 개성에서 태어나, 9세 때인 1919년 김도산이 이끄는 신극좌의 배우로 데뷔했다. 본명은 이음전(李音全)이다. 그의 외삼촌이 취성좌, 조선연극사 등에서 활동한 희극배우 전경희이고, 외할머니는 개성에서 숙박업을 하며 극단의 편의를 봐주던 ‘전씨 부인’이었다. 김도산도 그의 외가 쪽 사람...
    시대 :
    현대
    출생 :
    1911년
    사망 :
    2009년 3월 31일
    유형 :
    인물
    직업 :
    배우, 가수
    대표작 :
    「황성의 적」, 「고요한 장안」, 「 에라 좋구나」
    성별 :
    분야 :
    예술·체육/연극
  • 극영화 劇映畵
    스릴러영화 · 액션영화 · 전쟁영화 등 영화의 모든 형태를 포용하는 포괄적인 영화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우리 나라 영화의 기점으로 이야기되는 김도산(金陶山) 각본 · 감독의 <의리적구투 義理的仇鬪>(1919년)는 극적 성격을 띠는 영화라고 할 수 있으나, 영화와 연극을 연결해서 만든 연쇄극(한 무대에서 實演...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영화
  • 이애리수 李愛利秀, Lee Alice
    개성에서 숙박업을 하며 극단의 편의를 보아주던 ‘전씨부인’이었다. 또한 임성구 혁신단의 창단 단원이자 신극좌를 이끌며 한국 신파연극계를 선도했던 김도산이 외가 쪽으로 아는 사람이었다. 그녀는 9살 때(1919년) 김도산의 무대에서 데뷔했다. 하지만 그녀가 무대 연기에 전념한 것은 아니다. 그녀는 무대에 데뷔...
    출생 :
    1911년 개성
    사망 :
    2009년 3월 31일
    본명 :
    이보전(李普全)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