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박승필 朴承弼, PARK Seung-pil
    일제 강점기 조선인 영화제작자로, 일본인 제작자 사이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한국 영화의 초기 유산을 지켜온 영화인이다. 실제로 그는 단성사를 운영하면서 영화 외에 연극, 구극 분야에서 한국 문화 보존자의 역할을 담당했다.|생애와 이력 박승필 PARK Seung-pil 朴承弼(1875~1932) 일제 강점기 조선인 영...
    출생 :
    1875년 서울
    사망 :
    1932년
    데뷔 :
    1919년 〈고종인산실경(高宗因山實景)〉(제작)
  • 박승필 朴承弼
    일제강점기 「장화홍련전」 등의 작품에 관여한 영화인. 영화제작자.|생애 및 활동사항 서울에서 출생하여 한학을 수학하였고, 신교육은 별로 받지 못하였다. 구미의 신문화가 쏟아져 들어오던 1900년대 초에 이 나라의 전통예능을 공연, 보존하기 위하여 1904년 광무대(光武臺)를 설립,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스...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영화
  • 박승필 朴承弼
    영화제작자·흥행사.|초창기 연극인 신극과 영화흥행의 대표적 장소였던 광무대와 단성사의 운영자로서 한국영화의 창시자라고 할 정도로 한국영화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일찍부터 신문화에 관심을 가져 연극·영화 흥행에 관여했다. 1908년에는 광무대의 운영권을 인수, 창극을 비롯한 전통 한국 연희를 공...
    출생 :
    1875(?)
    사망 :
    1932. 1. 4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영화
  • 박승필
    인물 정보 박승필(朴承弼, 1875년 ~ 1932년)은 일제강점기의 영화 제작자이다. 한국영화의 요람기에 활약했던 흥행사(興行師)로서 김도산(金陶山)이 감독한 《의리적 구토》를 비롯하여 여러 편의 연쇄극 영화를 기획·제작했고, 광무대와 단성사 등 경성 북촌 일대의 흥행극장을 경영하는 한편, 나운규 등 민족영화인에...
    도서 위키백과
  • 흥행사 박승필, “여러분이시여, 기쁜 소식이 왔습니다!”
    사설공연장이 등장하고 전통연희를 주요 프로그램으로 보여주며 공연장이 각광을 받는 단계에서 연예계에 단연 두각을 나타낸 인물이 있었다. 바로 박승필(朴承弼)이라는 흥행사였다. 협률사 이후 광무대 · 단성사 · 연흥사 · 장안사가 등장하고, 초기에는 모두 전통연희만 했다가 차츰 연흥사 · 장안사가 사라지고...
  • 김도산 김진학, 金陶山
    운영하던 김도산은 1919년 7월 4일부터 8일까지 5일 동안 신파인정극 〈의리적(義理的) 구토(仇討)〉(9장)를 우미관에서 공연하였는데, 이 연극을 눈여겨 본 박승필에 의해 발탁되기에 이르렀다. 김도산은 단성사 무대에서 연속적으로 성공을 거둔 후 박승필에게 신파극 〈의리적(義理的) 구토(仇討)〉 혹은 〈의리적...
    출생 :
    1891년(고종 28년) 서울 충무로 초동
    본명 :
    김영근
    데뷔 :
    1919년 7월 4일부터 8일까지 5일 동안 신파인정극 〈의리적(義理的) 구토(仇討)〉(9장)를 우미관에서 공연
  • 광무대 光武臺
    개화 물결에 휩쓸려 사라져가던 우리의 판소리와 창극을 보호하기 위해 1908년 9월 6일 박승필이 한성전기회사로부터 인수한 극장으로 이전부터 판소리와 영화를 상영했던 곳이다. 1912년에 박승필이 만들었다는 설도 있다. 광무대라는 이름은 1907년 6월부터 붙게 된 것으로, 그 전신은 1898년 미국인 콜브란(Collbran...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단성사 團成社
    이 합자해서 시작했으며 처음에는 자선 공연을 주로 했는데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1908년 10월 문을 닫았다가 곧 다시 개관해 각종 연희를 공연했다. 1914년에는 박승필에 의해 영화 상설관으로 개수되었다. 이 극장이 한국 영화에 중요한 이정표를 마련한 것은 1919년 신극좌의 김도산에게 자금을 제공하여 〈의리적...
    도서 영화사전 | 태그 영화
  • 단성사 대륙극장, 團成社
    1911년 최우석(崔禹錫) · 장기형(張機衡) · 박기영(朴基英) 등 3인 공동경영으로 전환되었다. 1910년대 중반에는 광무대(光武臺) 경영자 박승필(朴承弼)이 인수하였다. 박승필에게 넘어가기 전 주로 판소리 · 창극 등 전통연희를 위한 공연장이었고, 가끔 활동사진도 상영하였다. 박승필은 광무대를 전통연희를 위한...
    시대 :
    근대/개항기 , 근대/일제강점기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영화
  • 전통연희를 고집한 광무대, 끝내 문을 닫다
    기반을 가지고 출발했다. 한편 광무대는 단성사가 개축 후 재개관하기 석 달 전에 개관 10주년을 맞았다. 「매일신보」 기사에는 10주년을 맞이한 광무대와 박승필의 상반신 사진이 함께 실려 있는데, 소제목에는 ‘기념일이 9월 6일’이라고 밝혀져 있다. 경성 황금유원 안에서 조선 구연극으로써 다년 흥행하여오는...
  • 기록영화 記錄映畵
    최초의 영화는 1919년에 만들어진 「의리적구투(義理的仇鬪)」에 삽입된 옥외 장면의 활극(活劇)을 꼽는다. 이 영화는 단성사(團成社) 사주(社主)인 박승필(朴承弼)이 신극좌(新劇座)의 감독 김도산(金陶山)을 시켜 일본에서 흔히 하듯 신파극(新派劇) 연쇄극(連鎖劇: 한 무대에서 實演과 영화를 섞어 줄거리를 이끌어...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영화
  • 광무대 동대문활동사진소, 光武臺
    당시 상연된 활동사진은 대단한 인기를 끌었으며, 광무대가 1900년대 초에 활동사진의 본거지가 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 1908년(융희 2) 9월 6일에 박승필(朴承弼)이 전기철도회사로부터 광무대를 임대하게 되면서 광무대가 연희극장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박승필은 다른 극장들이 영화와 신파극을 공연하던 것...
    시대 :
    근대/개항기, 근대/일제강점기
    설립 :
    1898년
    성격 :
    전통연희전문극장
    유형 :
    단체
    해체 :
    1930년 5월 2일
    설립자 :
    박승필
    분야 :
    예술·체육/연극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박승필
장화홍련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