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기수의 작품
    국악인이자 작곡가, 교육자 김기수가 지은 곡.|〈황화만년지곡〉(1939)을 비롯하여 관현합주곡 〈정백혼 精白魂〉, 관악4중주곡 〈명단풍 明旦風〉, 관악합주곡 〈송광복 頌光復〉, 가악 〈개천부 開天賦〉, 합악곡 〈하원춘 賀元春〉(1952), 관악합주곡〈새동산〉(1969)·〈마파람〉(1969)·〈허튼가락 새가락〉(1971...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김기수 대마루, 金璂洙
    호는 대마루[竹軒]. 김영제와 전주이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일찍이 이연상이 음악적 소질을 인정했을 정도로 재능이 뛰어났다. 예술을 하는 사람을 천시하던 시대였기에 경성농업학교에 입학하였다. 그러나 입학금이 없어 진학을 포기하던 중 이왕직아악부에서 국비로 학생을 모집한다고 하여 15세에 국악의 길에...
    출생 :
    서울, 1917. 11. 12
    사망 :
    1986. 10. 21,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김기수 金琪洙
    하였다. 1964년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종묘제례악의 예능보유자, 1971년 중요무형문화재 처용무의 예능보유자로 각각 지정되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개천부(開天賦)」 · 「송광복(頌光復)」 · 「하원춘(賀元春)」 등이 있다. 그밖에 국립국악원에서 발행한 오선보 및 정간보로 된 한국전통음악 악보...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국악관현악 國樂管絃樂
    관현악 모습을 띤다. 따라서 국악관현악이라는 명칭은 전통음악이 아닌 최근에 작곡되는 창작국악의 한 형태에서 찾을 수 있다. 창작국악의 효시인 김기수의 작품을 보면 자신의 곡에 오선보를 처음 도입하고 서양음악 기호(셈여림표·빠르기표)를 사용하고, 집박(執拍) 대신 지휘개념을 썼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국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창작국악작품 창작음악작품, 創作國樂作品
    이것이 1970년대부터 국립국악원에 의해 '창작국악'이라는 용어로 일반화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최초의 창작국악작품은 국악창작의 개척자로 일컬어지는 김기수의 「황화만년지곡」(1939년)이다. 이 곡은 국립국악원의 전신인 이왕직아악부가 일본 기원 26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계획한 신곡공모...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김기수 (국악인)
    예술원 회원도 지냈다. 독주곡·관현악곡·무용음악·의식음악 등 수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많은 전통 음악 악보를 채보했다. 또한 많은 교재와 국악입문서를...개량 사업에도 심혈을 기울였다.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음악가/정악의 명인/김기수, 《글로벌 세계 대백과》 성악곡 《황화만년지곡(皇化萬年之曲)》 등 친일...
    도서 위키백과
  • 창작국악 創作國樂
    국악사양성소에서 배출된 음악가들이 창작활동에 많은 기여를 했다. 특히 김기수는 이왕직아악부 출신으로 〈산마루〉·〈고향소〉 등을 창작했으며 8·15해방...등 많은 협주곡을 작곡했다. 1960년대에는 국립국악원 주최의 '신국악작품 공모'를 통해 창작국악 활동이 이루어졌다. 김용진·이성천·조재선·박일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방산집 方山集
    詩鈔)』라 하였는데, 후에 저자의 산문 두 편과 누락된 한시를 함께 엮어 『방산집』이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서지사항 3권 1책. 목활자본. 내용 권두에 김기수·김윤식(金允植, 1835~1922)·조병항(曺秉恒)의 서문과 본문의 작품 목록이 수록되어 있고, 권말에 동생인 안정원(安鼎遠)의 발문이 수록되어 있다. 권...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상사별곡 고상사별곡, 相思別曲
    작품의 문학사적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들 상사류의 가사는 조선 전기의 사대부 가사 가운데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라 할 수 있는 <사미인곡 思美人曲> 계열의 가사를 계승한 것이다. 그러나 후자에 있어서 남녀간의 연정은 신하(여성화자)가 임금(임)을 흠모하는 충정의 우의(寓意)라는 점에서, 주자...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사모곡 思母曲
    악보로 정착된 <사모곡>은 <목주가>와는 달리 완전히 고려 속요로 전환한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또 <사모곡>은 1970년대에 들어 기존의 고악보를 근거...창작 동기를 가지고 편곡한 곡명을 일컫기도 하는데, 1976년에 김기수(金琪洙)에 의하여 중창 형식으로 재현된 바 있으며, 1977년에는 작곡가 이성천(李成...
    시대 :
    고려
    저작자 :
    미상
    성격 :
    고려 가요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서사시집 西槎詩集
    김기수(金綺秀)의 발문이 있다. 계명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이 책에는 시 200여 편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 말기의 격변과 기울어져가는 국운에 대한 한탄과 울분이 시 전편에 서려 있다. 「기성(箕城)」·「연광정(練光亭)」·「출칠성문(出七星門)」은 당시 평양의 실상을 날카로운 시인의 안목으로 조명한 시로서...
    시대 :
    근대
    저작자 :
    신석우
    성격 :
    시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계명대학교 도서관
  • 한양가 漢陽歌
    1955년에 김기수가 수정, 가필하여 간행한 석판본이 있다. 지은 연대는 분명하지 않으나 1910년의 경술국치를 통탄한 것으로 보아 일제시대에 지은 것이라 볼 수 있다.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1,482행의 장편가사이며, 대체로 각 행들이 4음보격을 잘 준수하고 있어 파격이 적다. 내용은 이른바 왕조 한양...
    시대 :
    조선
    저작자 :
    김호직(金浩直)
    성격 :
    장편가사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