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기수 金琪洙하였다. 1964년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종묘제례악의 예능보유자, 1971년 중요무형문화재 처용무의 예능보유자로 각각 지정되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개천부(開天賦)」 · 「송광복(頌光復)」 · 「하원춘(賀元春)」 등이 있다. 그밖에 국립국악원에서 발행한 오선보 및 정간보로 된 한국전통음악 악보...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창작국악작품 창작음악작품, 創作國樂作品이것이 1970년대부터 국립국악원에 의해 '창작국악'이라는 용어로 일반화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최초의 창작국악작품은 국악창작의 개척자로 일컬어지는 김기수의 「황화만년지곡」(1939년)이다. 이 곡은 국립국악원의 전신인 이왕직아악부가 일본 기원 26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계획한 신곡공모...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방산집 方山集詩鈔)』라 하였는데, 후에 저자의 산문 두 편과 누락된 한시를 함께 엮어 『방산집』이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서지사항 3권 1책. 목활자본. 내용 권두에 김기수·김윤식(金允植, 1835~1922)·조병항(曺秉恒)의 서문과 본문의 작품 목록이 수록되어 있고, 권말에 동생인 안정원(安鼎遠)의 발문이 수록되어 있다. 권...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상사별곡 고상사별곡, 相思別曲이 작품의 문학사적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들 상사류의 가사는 조선 전기의 사대부 가사 가운데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라 할 수 있는 <사미인곡 思美人曲> 계열의 가사를 계승한 것이다. 그러나 후자에 있어서 남녀간의 연정은 신하(여성화자)가 임금(임)을 흠모하는 충정의 우의(寓意)라는 점에서, 주자...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사모곡 思母曲악보로 정착된 <사모곡>은 <목주가>와는 달리 완전히 고려 속요로 전환한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또 <사모곡>은 1970년대에 들어 기존의 고악보를 근거...창작 동기를 가지고 편곡한 곡명을 일컫기도 하는데, 1976년에 김기수(金琪洙)에 의하여 중창 형식으로 재현된 바 있으며, 1977년에는 작곡가 이성천(李成...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고려 가요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서사시집 西槎詩集와 김기수(金綺秀)의 발문이 있다. 계명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이 책에는 시 200여 편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 말기의 격변과 기울어져가는 국운에 대한 한탄과 울분이 시 전편에 서려 있다. 「기성(箕城)」·「연광정(練光亭)」·「출칠성문(出七星門)」은 당시 평양의 실상을 날카로운 시인의 안목으로 조명한 시로서...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신석우
- 성격 :
- 시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계명대학교 도서관
-
한양가 漢陽歌1955년에 김기수가 수정, 가필하여 간행한 석판본이 있다. 지은 연대는 분명하지 않으나 1910년의 경술국치를 통탄한 것으로 보아 일제시대에 지은 것이라 볼 수 있다.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1,482행의 장편가사이며, 대체로 각 행들이 4음보격을 잘 준수하고 있어 파격이 적다. 내용은 이른바 왕조 한양...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호직(金浩直)
- 성격 :
- 장편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