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우 杞憂본 뜻 기(杞)나라의 어떤 사람이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질까봐 걱정을 하다가 급기야는 식음을 전폐하고 드러누웠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기나라는 춘추시대에 주나라 무왕(武王)이 망한 하(夏)나라 왕실의 제사를 받들라고 하나라 왕족에게 분봉해준 나라로, 하남성 기현에 있었다. 바뀐 뜻 지나친 걱정이나 쓸데없...
-
연기우 민우, 延基羽본관은 곡산(谷山), 초명은 민우(敏宇)이고, 기우(起羽) ・ 기호(基浩) ・ 봉렬(奉烈) 등의 이명이 있다. 상주목사를 지낸 연비(延庇)의 13세 손으로 전해진다. 출생년은 미상이며, 출생지와 신분에 대해서는 이설이 있다. 삭녕(朔寧)에서 출생하여 강화진위대에서 부교(副校, 현 중사)를 지냈다는 설과 경기 적성(積城)...
- 사망 :
- 1911년
- 관련 사건 :
- 십삼도창의군 서울진공작전
- 본관 :
- 곡산
- 주요활동 :
- 1907년 군대해산을 계기로 거의, 경기 북부지방을 거점으로 경기 ・ 강원 ・ 황해 3도 접경지에서 항일전 수행, 1908년 1월 십삼도창의군 서울 진공작전 참가
- 포상훈격 :
-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 관련 인물/단체 :
- 강화분견대, 십삼도창의대진소
-
기우 杞憂본 뜻 기(杞)나라의 어떤 사람이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질까봐 걱정을 하다가 급기야는 식음을 전폐하고 드러누웠다는 얘기에서 유래한다. 바뀐 뜻 지나친 걱정이나 쓸데없는 걱정을 가리키는 말이다. 보기글 ㆍ그 사람이 약속을 지키지 않을 거라는 생각은 기우에 불과해. ㆍ러시아가 남하해서 한반도를 손아귀에 넣...
- 유형 :
- 한자어
-
기우목동가 騎牛牧童歌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세조 때 사람으로 짐작될 뿐이다. 이에 창작연대도 세조 연간으로 추측된다. ≪적멸시중론≫은 적멸·해탈의 경지를 산문으로, <기우목동가>는 산문내용을 운문으로 읊은 것이다. <기우목동가>는 송나라 곽암사원(廓庵師遠)이 지은 <십우도송 十牛圖頌>(자기의 본심을 소에 비유하여 그...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지은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초기
- 성격 :
- 경기체가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기우도량 祈雨道場정종 7) 5월과 1048년 8월, 1083년(순종 1) 10월, 1085년 5월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가운데 1085년 5월에는 건덕전(乾德殿)에서 7일간에 걸쳐서 개최되었다. 기우도량은 가뭄이 있으면 수시로 열었지만, 한 번 열어서 효험이 없으면 의식절차를 바꾸어서 신중도량 또는 소재도량 등으로 행하기도 하였다. 이 도량은 한...
- 시대 :
- 고려
- 성격 :
- 종교의례, 불교의식
- 유형 :
- 의식행사
- 장소 :
- 법운사, 흥국사, 보제사, 건덕전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최초의 피란 소설, 최척전13) 윤 2월에 조위한(趙緯韓, 1567~1649)이 임진왜란을 소재로 하여 창작한 한문 애정 전기 소설이요, 우리나라 최초의 피란 소설로서 〈기우록(奇遇錄)〉이라고도 한다. ‘기우록’이란 ‘기이한 만남의 기록’이라는 뜻이다. 작자는 이 소설의 창작 동기를 작중 주인공 최척이 자신의 기구한 운명 이야기를 기록해...
-
기우집 騎牛集내용 3권 1책. 목판본. 후손인 지운(之運)이 편집하고, 1872년(고종 9) 후손 동우(東佑)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허전(許傳)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강난형(姜蘭馨)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고려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20수, 소 2편, 권2·3은 부록으로 녹 4편, 표...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이행(李行)
- 창작/발표시기 :
- 1872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권 1책
- 간행/발행 :
- 이지운, 이동우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고려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
천문학 우주 실험실, 달이 차고 기우는 이유실험방법 준비물 큰 손전등, 배구공 1. 방안을 어둡게 한 다음 한 손에 배구공을 들고 선다. 2. 방의 한쪽 구석에 손전등을 켜놓고 공을 비춘다. 3. 그림과 같이 손전등과 공, 그리고 자신의 얼굴이 이루는 각도를 0도에서부터 약 30도 간격으로 180도까지 바꾸어 본다. 4. 손전등의 빛에 공이 밝게 보이는 부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