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둥의 종류
    상부의 하중을 지탱하는 공간형성의 기본 부재의 다양한 종류.|원형기둥 입면의 조형에 따라 배흘림·민흘림·원통형기둥으로 세분된다. 배흘림기둥은 원형기둥 중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것으로 소위 엔타시스(Entasis) 기둥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원형기둥의 몸을 배불린 형식으로 시각적인 착시에 의해 기둥 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기둥
    건물에 안정감을 부여하며, 상징적으로는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건축물의 가장 기본적인 구조물이다. 한국의 기둥은 움집터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목조물의 기둥은 고려시대 이후 것만 현존하므로 그 이전의 기둥에 관한 고찰은 고분이나 석굴·석탑·부도 등에 표현된 의장적인 목적이 강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건축방법
    광범위하며 창조적이 되었다. 구조물에서 하중과 지지의 관계를 가장 간단하게 나타내 주는 것이 가구식 구조이다. 이 구조는 각종 형태의 2개의 수직기둥 위에 수평으로 얹혀진 제3의 부재(인방, 보나 대들보, 서까래)를 떠받치고 있다. 인방은 변형되거나 부서지지 않으면서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기둥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선인장 仙人掌, Cactus
    것을 연상하게 됩니다. 많은 선인장류는 물이 거의 없는 사막에 살지만, 어떤 종류는 높은 산악이나 아주 추운 곳에서 견디는 종류도 있습니다. • 나뭇잎선인장...이름입니다. 제주도에서 자생하기도 하며 약용으로 백년초를 재배합니다. • 기둥선인장 : 잎의 흔적이 있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 잎이 없습니다. 모양이...
  • 배흘림기둥
    내용 배흘림은 민흘림과 함께 흘림기둥의종류이다. 기둥의 입면 형태에 따른 것으로 흘림이 없는 기둥은 상하 직경이 같다. 흘림없는 기둥은 살림집이나 부속채 등 작은 건물에 사용하고 규모가 크거나 궁궐 및 사찰과 같은 권위건축에서는 보통 흘림기둥을 사용한다. 기둥 상부직경보다 하부직경을 크게 하여 사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기압계 氣壓計, barometer
    고도를 측정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 기압계에는 수은 기압계와 아네로이드(aneroid) 기압계의 2종류가 있다. 수은 기압계에 있어 수은 기둥의 높이는 기압에 따르므로 수은 기둥의 높이를 정확히 측정하면 기압을 구할 수 있다. 이때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흔히 주변온도나 그 지역의 중력값에 대해 보정을 해주기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계
  • 엇각기둥 Antiprism, 反角柱
    고른 엇각기둥의 집합 종류 고른 다면체 면 n각형 2개, 삼각형 2n개 모서리 4n 꼭짓점 2n 콘웨이 다면체 표기법 An 꼭짓점 배치 3.3.3.n 슐레플리 기호 s{2,2n}sr{2,n}{ } ⊗ {n} 콕서터 다이어그램 CDDCDD 대칭군 Dnd, [2+,2n], (2*n), 4n차 회전군 Dn, [2,n]+, (22n), 2n차 쌍대다면체 엇각쌍뿔 특성 볼록, 점추이 반정...
    도서 위키백과
  • 고딕건축, 아미앵 고딕의 절정과 한계
    대응 기둥이 바닥에서 시작하는 것과 주두에서 시작하는 것의 두 종류만 쓰였다. 아미앵에서는 트리포리엄에서 시작하는 세 번째 종류를 새로 더했다. 이것이 표준형으로 대응 기둥과 구조 체계 사이에 3단계에 걸친 위계성이 완성되었다. 대응 기둥 가운데 중앙의 것이 가장 위계가 높기 때문에 이에 맞게 바닥에서부터...
  • 도리
    된다. 역학상의 역할은 보와 같다. 양식구조에서는 처마도리·깔도리가 동시에 사용되고 절충식 구조와 한식 구조에서는 처마도리가 깔도리를 겸한다. 기둥의 윗부분을 연결하고 지붕보 및 서까래를 받치는 것이므로 연속보로 취급되며 휨모멘트를 받게 된다. 모양에 따라서 굴도리와 납도리로 구별하고 놓이는 위치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주두 柱頭, capital
    고전주의 건축양식에서 주두는 기둥의 양식을 가장 쉽게 구별할 수 있게 해주는 부재이다. 흔히 주두는 2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그 하나는 기둥의 꼭대기에 위치하는 관판(冠板)이라 불리는 정사각형의 블록(block)이고, 다른 하나는 기둥 위의 보와 평행하게 설치된 빌릿(billet)이라 불리는 직사각형의 블록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토템 기둥 totem pole
    종류는 크게 7가지로 나뉜다. 집의 소유자가 바뀔 때 전소유자를 기념하고 현소유자를 밝히기 위해 세워놓은 기념용·문장용(紋章用) 기둥과 무덤 표시 기둥(묘석), 지붕을 받쳐주는 건물 기둥, 사람이 들어갈 수 있도록 구멍이 나 있는 출입용 기둥, 해변가 토지의 소유자를 알리기 위해 바닷가에 세워놓은 환영 기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디플로도쿠스 두 개의 기둥, Diplodocus
    견고하며 앞다리 길이가 뒷다리보다 약간 짧기 때문에 목을 어깨 높이 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올릴 수 없어서 강이나 호수에서 서식하는 키가 크지 않은 식물들을 먹이로 삼았다는 학계의 의견이 많습니다. 예전에 세이스모사우루스로 알려졌던 공룡도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디플로도쿠스과의 한 종류로 밝혀졌습니다...
    분류 :
    용각류, 용각형아목
    연대 :
    후기 쥐라기(1억 5400만 년 전~1억 5000만 년 전)
    크기 :
    33m
    무게 :
    0~16톤
    학명 :
    디플로도쿠스( Diplodocus)
    분포지역 :
    미국 콜로라도주, 유타주, 몬타나주, 와이오밍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