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주두

다른 표기 언어 capital , 柱頭

요약 건축에서 엔타블레이처(수평부재) 또는 아치를 지지하는 원기둥·각기둥·안타·붙임기둥(pilaster). 이외 여러 형태의 기둥들의 맨 윗부분에 얹히는 부재(部材)(칼럼).

주두

ⓒ Юкатан/wikipedia | CC BY-SA 3.0

고전주의 건축양식에서 주두는 기둥의 양식을 가장 쉽게 구별할 수 있게 해주는 부재이다.

흔히 주두는 2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그 하나는 기둥의 꼭대기에 위치하는 관판(冠板)이라 불리는 정사각형의 블록(block)이고, 다른 하나는 기둥 위의 보와 평행하게 설치된 빌릿(billet)이라 불리는 직사각형의 블록이다.

이것들의 끝은 옆으로 퍼지는 형태로 만들었는데 여기에 쇠시리를 덧붙이고 꽃·동물형상·추상형상 등으로 장식하여 정교하게 만들었다. 최초의 관판 주두는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에서 발견되었고, 석재로 된 단순한 형태를 가진 주두의 2가지 종류가 이집트의 사카라(Ṣaqqārah) 지방에 있는 피라미드에서 발견되었다(BC 2890경~2686경). 그들 중 하나는 말안장 모양으로 생겼는데, 그것은 구부러진 갈대 혹은 잎을 연상시킨다. 그리고 거꾸로 된 종 형태의 것은 파피루스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훗날 이집트 건축가들은 사람 모양의 주두와 단순한 관판 주두뿐만 아니라 야자와 연꽃 무늬와 같은 형태에서 본뜬 주두를 이용했다. 나선형 주두는 BC 870년 이전에 아나톨리아와 메소포타미아의 히타이트 건축에서 전해졌다. 매우 정교한 주두는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왕조 때 처음 만들어졌다(계단식 피라미드, 이집트 미술).

주두의 양식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3가지 형식이 그리스에서 고안되었다.

도리스 양식의 주두는 이카이너스(echinus)라 불리는 달걀을 잘라 놓은 듯한 둥근 모양과, 그 위에 얹혀진 정4각형 관판으로 구성된다. 이카이너스 아래에서는 여러 개의 용마루 모양의 좁은 쇠시리가 기둥과 주두를 연결시켜주고 있다. 서아시아의 나선형 주두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이오니아 양식의 주두는 관판과 이카이너스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된 1쌍의 소용돌이형 장식을 가지고 있다. 코린트 양식 주두는 기본적으로 관판이 거꾸로 된 종 모양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데, 이 부분은 양식화한 아칸서스 잎 장식으로 둘러싸여 있다.

로마인들은 변형된 도리스 양식인 토스카나 양식과, 이오니아 양식의 소용돌이형 장식과 코린트 양식의 종 모양을 결합한 혼합식을 발전시켰다(복합 오더). 이슬람교 미학의 추상적인 경향에 따라 이슬람 양식 주두는 작은 쇠시리의 반복과 소형 아치를 주로 한 추상적인 형태를 사용했다.

까치발 장식 주두와 연꽃봉우리 형태로 장식된 종 모양 주두의 일부는 인도·중국·일본에서 자주 사용되었다(이슬람 건축).

중세 유럽에서 주두의 설계는 로마 형식에 근본을 두고 있다. 입방형 또는 방원형 주두는 위는 정4각형이고 바닥은 둥근 형태로서, 아치의 경사진 부분과 그들을 지지하는 둥근 기둥 사이에 위치했다. 기괴한 동물, 새, 여러 가지 비유적인 장식 소재는 로마네스크 시대 주두의 특징이다.

고딕 양식 시대 초기에는 특히 프랑스와 잉글랜드에서, 단순히 양식화한 잎, 크로켓(crocket:고딕 건축 양식에서 첨탑의 각도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진 선을 장식하기 위해 돌출된 입장식 조각 부분), 기하학적 쇠시리를 선호해서 이색적 모양의 주두는 사라지는 경향을 띄었다. 중세 후반에는 높은 아치형 천장까지 곧바로 이어진 군집된 원기둥과 각기둥을 강조함에 따라, 주두의 중요성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건축양식

건축양식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주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