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도리

다른 표기 언어

요약 도리는 모양에 따라서 굴도리와 납도리로, 놓이는 위치에 따라 깔도리·들도리·빼도리·종도리·중도리·처마도리·툇도리 등으로 구별한다.
굴도리는 둥근 단면을 가진 도리로서 전각에 많이 쓴다. 납도리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도리로서 기둥 위에 놓고 그 위에 서까래를 놓는다. 깔도리는 기둥·벽 위에 놓아 지붕보를 받는 도리이고, 들도리는 서까래의 일종인 들연이 얹히는 도리이다. 빼도리는 도리의 바깥머리를 밖으로 길게 내밀게 한 것이며, 종도리는 가구재의 최상부의 부재로 용마루 받침재로 쓰이는 것이다. 중도리는 동자기둥 또는 'ㅅ'자보 위에 처마도리와 평행하게 배치해 서까래나 지붕널 등을 받는 도리이다. 처마도리는 변두리 벽이나 변두리 기둥 위에 건너대어 서까래를 받는 도리이며, 툇도리는 물림간에 얹히는 짧은 도리이다.

그 위에는 서까래가 얹히게 된다.

가구 명칭도

한옥 가구의 구조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역학상의 역할은 보와 같다. 양식구조에서는 처마도리·깔도리가 동시에 사용되고 절충식 구조와 한식 구조에서는 처마도리가 깔도리를 겸한다. 기둥의 윗부분을 연결하고 지붕보 및 서까래를 받치는 것이므로 연속보로 취급되며 휨모멘트를 받게 된다. 모양에 따라서 굴도리와 납도리로 구별하고 놓이는 위치에 따라 깔도리·들도리·빼도리·종도리·중도리·처마도리·툇도리 등으로 구별한다.

굴도리는 둥근 단면을 가진 도리로서 큰 집이나 전각(殿閣)에 많이 쓴다. 납도리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모나게 된 도리로서 기둥 위에 놓고 그 위에 서까래를 놓는다. 각도리 또는 민도리, 평도리라고도 한다.

깔도리는 기둥 또는 벽 위에 놓아 지붕보를 받는 도리이고, 들도리는 들연(서까래의 일종)이 얹히는 도리이다. 빼도리는 도리의 바깥머리를 밖으로 길게 내밀게 한 도리로서 박공지붕의 박공벽 밖으로 내민 처마도리를 가리키기도 한다. 종도리는 가구재(架構材)의 최상부의 부재로 용마루 받침재로 쓰이는 도리이고 중도리는 동자기둥 또는 'ㅅ'자보 위에 처마도리와 평행하게 배치해 서까래 또는 지붕널 등을 받는 도리이다. 처마도리는 변두리 벽이나 변두리 기둥 위에 건너대어 서까래를 받는 도리로서 깔도리 위에 지붕틀을 걸치고 지붕틀의 평보 위에 깔도리와 같은 방향으로 걸친 가로재를 가리키는데 양식 구조에 많이 쓰인다. 툇도리는 물림간에 얹히는 짧은 도리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건축양식

건축양식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도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