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금석학 金石學, epigraphy
    금석문은 고대의 역사사건, 사라져버린 문화·언어·문자 체계를 알려주는 유일한 현존기록이다. 방사성 탄소 연대측정, 층서 분석, 서체나 문체에 의한 고문서 분석방법을 통해 얻은 금석문의 제작연대는 역사적 사건 편년의 열쇠가 된다. 고대 메소포타미아 금석문은 최초의 수메르 사회부터 후기 아시리아와 바빌로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문 , 역사 일반
  • 금석학 Epigraphy, 碑文研究
    금석학(金石學, Epigraphy), 비문학(碑文學), 금석문학은 비석에 쓰여진 글인 금석문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자소를 식별하고, 그 의미를 명확히 하고, 날짜와 문화적 맥락에 따라 그 용도를 분류하고, 글과 작가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는 학문이다. 금석학에서 특히 중요시되는 것은 문서로서의 금문의 역사적 중요성과 ...
    도서 위키백과
  • 전각 (관련어 금석학) 篆刻
    나무·돌·금옥 등에 전자로 인장을 제작하는 예술.|내용 즉 전각은 일종의 인장을 제작하는 예술이다. 그 방법에 따라 일명 치인(治印)·철필(鐵筆)·철서(鐵書)·각인(刻印)·각도장(刻圖章) 등으로 부르고 있다. 시간의 흐름과 공간의 다름에 따라 문자의 함축된 힘은 사람의 여러 가지 풍모를 움직이게 하고 있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서예
  • 한국의 금석학
    개요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 이전부터 금석학이 발달했으리라 추정되지만 자료로 볼 수 있는 것은 〈삼국사기〉·〈삼국유사〉에 삼국시대의 금석문을 이용한 것이 최초이다. 그외에 〈조당집〉이나 〈해동고승전〉에도 관련 비문을 이용한 흔적이 보인다. 우리나라에서 금석문이 이용된 시기는 크게 3시기로 나뉜다...
    도서 다음백과
  • 금석문 金石文
    화풍을 연구하고, 그 시대를 밝혀 인문 발달의 연원을 캐며, 역사의 자료로 사용하여 미술 · 공예 · 사상 등 여러 방면의 학술적 탐구를 진행하는 것을 ‘금석학(金石學)’이라 한다. 이는 중국에서 일어난 것이며, 우리 나라에서 이 학문에 눈을 돌리게 된 것은 연대가 그다지 오래지 않다. 문헌으로 전하는 것은...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서예
  • 김정희 조선 말기의 실학자·서화가
    개요 북학파(北學派)의 한 사람으로, 조선의 실학(實學)과 청의 학풍을 융화시켜 경학·금석학·불교학 등 다방면에 걸친 학문 체계를 수립했다. 서예에도 능하여 추사체를 창안했으며, 그림에서는 문기(文氣)를 중시하는 문인화풍을 강조하여 조선 말기 화단에 큰 영향을 미쳤다. 본관은 경주. 자는 원춘(元春), 호는...
    출생 :
    1786(정조 10), 충남 예산
    사망 :
    1856(철종 7)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성리학)
    본관 :
    경주(慶州)
    호 :
    추사(秋史), 완당(阮堂), 예당(禮堂), 시암(詩庵), 노과(老果), 농장인(農丈人), 천축고선생(天竺古先生)
  • 실학 정신을 예술로 승화시킨 대가, 김정희 김원춘(金元春), 金正喜
    우리나라 역사상 예명(藝名)을 남긴 이는 많지만 추사 김정희만큼 입에 많이 오르내리는 이는 드물다. 그는 19세기를 대표하는 실학자이자 예술가로, 금석학과 경학, 시, 서, 화, 한묵(翰墨, 문한과 필묵이라는 뜻으로, 글을 짓거나 쓰는 것), 역사 등 문화, 예술, 사상계 전반에 걸쳐 새로운 지평을 연 인물이다. 추사...
    출생 :
    1786년 06월 03일
    사망 :
    1856년 10월 10일
    대표작 :
    〈세한도〉, 〈모질도〉, 〈부작란도〉, 〈추란도〉, 〈불이선란도〉, 《실사구시설》 등
    시기 :
    조선 후기
  • 완당전집 阮堂全集
    10에 시 240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진흥이비고 眞興二碑攷>는 <예당금석과안록 禮堂金石過眼錄>이라는 별책으로 나온 바 있는, 우리 나라 금석학 연구에 있어 최초의 논설이다. <실사구시설 實事求是說>은 실학 사상의 지도 이념으로서 사상성을 보여주는 논설이다. 김정희는 약관 24세에 북경(北京...
    시대 :
    근대
    저작자 :
    김정희(金正喜)
    창작/발표시기 :
    1867년(간행), 1868년(간행), 1934년(간행)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0권 5책
    간행/발행 :
    남상길, 민규호, 김익환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 조인영 趙寅永
    인식했으며, 국내 정치운영 문제에서는 이이(李珥)와 송준길(宋浚吉)을 모범으로 제시했다. 1816년 성절사(聖節使)의 일행으로 청나라에 갔을 때 청나라의 금석학 대가인 유연정(劉燕庭)에게 우리나라 금석학 자료를 주어 연구하게 했고, 귀국한 후에도 김정희(金正喜)가 발견한 북한산의 진흥왕순수비(眞興王巡狩碑)의...
    출생 :
    1782(정조 6)
    사망 :
    1850(철종 1)
    국적 :
    조선, 한국
  • 고증학 考證學
    영향을 끼쳤다. 정약용(丁若鏞)·안정복(安鼎福)·유득공(柳得恭)·한치윤(韓致奫)·이긍익(李肯翊)·김정희(金正喜) 등이 그 영향을 받아 역사·지리·금석학 등 여러 분야의 성과를 내놓았다. 특히 김정희는 청나라 고증학의 대가인 옹방강(翁方綱)·완원(阮元) 등과 직접 교류하면서 그 영향을 받아 금석학에 일가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문
  • 대동금석서 大東金石書
    금석문의 보완을 위해서도 필요한 자료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금석문 탁본을 수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목록을 작성하여 첩마다 수록한 것은 우리나라 금석학의 기초를 마련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후 김정희의 〈금석과안록 金石過眼錄〉, 오경석(吳慶錫)의 〈삼한금석록 三韓金石錄〉 등도 이를 기초로 하여 금석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김정희 추사(秋史), 金正喜
    阮元) 같은 이름난 유학자와 접할 수가 있었다. 이 시기의 연경 학계는 고증학의 수준이 최고조에 이르렀었다. 종래 경학(經學)의 보조 학문으로 존재하였던 금석학(金石學)·사학·문자학·음운학·천산학(天算學)·지리학 등의 학문이 모두 독립적인 진전을 보이고 있었다. 그 가운데서도 금석학은 문자학과 서도사...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예술·체육/회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해동금석영기(海東金石零記)
용두사지철당간의 명문
해동금석문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