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전각 (관련어 금석학) 篆刻나무·돌·금옥 등에 전자로 인장을 제작하는 예술. 내용 즉 전각은 일종의 인장을 제작하는 예술이다. 그 방법에 따라 일명 치인(治印)·철필(鐵筆)·철서(鐵書)·각인(刻印)·각도장(刻圖章) 등으로 부르고 있다. 시간의 흐름과 공간의 다름에 따라 문자의 함축된 힘은 사람의 여러 가지 풍모를 움직이게 하고 있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서예
-
-
금석문 金石文화풍을 연구하고, 그 시대를 밝혀 인문 발달의 연원을 캐며, 역사의 자료로 사용하여 미술 · 공예 · 사상 등 여러 방면의 학술적 탐구를 진행하는 것을 ‘금석학(金石學)’이라 한다. 이는 중국에서 일어난 것이며, 우리 나라에서 이 학문에 눈을 돌리게 된 것은 연대가 그다지 오래지 않다. 문헌으로 전하는 것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서예
-
김정희 조선 말기의 실학자·서화가개요 북학파(北學派)의 한 사람으로, 조선의 실학(實學)과 청의 학풍을 융화시켜 경학·금석학·불교학 등 다방면에 걸친 학문 체계를 수립했다. 서예에도 능하여 추사체를 창안했으며, 그림에서는 문기(文氣)를 중시하는 문인화풍을 강조하여 조선 말기 화단에 큰 영향을 미쳤다. 본관은 경주. 자는 원춘(元春), 호는...
- 출생 :
- 1786(정조 10), 충남 예산
- 사망 :
- 1856(철종 7)
- 국적 :
- 조선, 한국
- 종교 :
- 유교(성리학)
- 본관 :
- 경주(慶州)
- 호 :
- 추사(秋史), 완당(阮堂), 예당(禮堂), 시암(詩庵), 노과(老果), 농장인(農丈人), 천축고선생(天竺古先生)
-
실학 정신을 예술로 승화시킨 대가, 김정희 김원춘(金元春), 金正喜우리나라 역사상 예명(藝名)을 남긴 이는 많지만 추사 김정희만큼 입에 많이 오르내리는 이는 드물다. 그는 19세기를 대표하는 실학자이자 예술가로, 금석학과 경학, 시, 서, 화, 한묵(翰墨, 문한과 필묵이라는 뜻으로, 글을 짓거나 쓰는 것), 역사 등 문화, 예술, 사상계 전반에 걸쳐 새로운 지평을 연 인물이다. 추사...
- 출생 :
- 1786년 06월 03일
- 사망 :
- 1856년 10월 10일
- 대표작 :
- 〈세한도〉, 〈모질도〉, 〈부작란도〉, 〈추란도〉, 〈불이선란도〉, 《실사구시설》 등
- 시기 :
- 조선 후기
-
완당전집 阮堂全集10에 시 240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진흥이비고 眞興二碑攷>는 <예당금석과안록 禮堂金石過眼錄>이라는 별책으로 나온 바 있는, 우리 나라 금석학 연구에 있어 최초의 논설이다. <실사구시설 實事求是說>은 실학 사상의 지도 이념으로서 사상성을 보여주는 논설이다. 김정희는 약관 24세에 북경(北京...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김정희(金正喜)
- 창작/발표시기 :
- 1867년(간행), 1868년(간행), 1934년(간행)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0권 5책
- 간행/발행 :
- 남상길, 민규호, 김익환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
김정희 추사(秋史), 金正喜阮元) 같은 이름난 유학자와 접할 수가 있었다. 이 시기의 연경 학계는 고증학의 수준이 최고조에 이르렀었다. 종래 경학(經學)의 보조 학문으로 존재하였던 금석학(金石學)·사학·문자학·음운학·천산학(天算學)·지리학 등의 학문이 모두 독립적인 진전을 보이고 있었다. 그 가운데서도 금석학은 문자학과 서도사...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