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관직보유 Tenure of Office Act
    미국사에서 남북전쟁 이후 대통령이 상원의 동의없이 공무원을 해임할 수 없게 한 (1867. 3. 2).|은 앤드루 존슨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도 불구하고 전후 재건의 주도권을 대통령에게서 빼앗기 위해 투쟁을 벌인 의회 내 공화당 급진파들에 의해서 통과되었다. 패전지역인 남부에 대한 존슨의 유화조치에 격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존슨 대통령이 탄핵된 이유는 무엇인가?
    움직임을 주시하기 시작했다. 그동안 의회는 재건 정책을 지도했다. 당시 남부 쪽은 그랜트 장군의 군 행정부의 통제를 따르고 있었다. 1867년, 의회는 관직 보유을 통과시켜 의회의 동의 없이는 장관을 해임할 수 없게 했다. 게다가 당시 의회에서는 이미 대통령의 탄핵이 거론되고 있었다. 그해 가을, 존슨이 대다수...
  • 어린이
    급제와 관직 등용에 달려 있었으므로 남아에 대한 교육열은 대단하였다. 당시의 교육은 기본적으로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교육에 목적이 있었으므로, 교육의 핵심은 한문 독해력을 키우기 위한 문자교육이었다. 이러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자격에는 계층적인 제한이 있었다. 문자교육을 시작하는 시기는 정해진 일반적인...
    유형 :
    개념
    분야 :
    교육
  • 천거제 薦擧制
    천거제를 폭넓게 시행했다. 관리인사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순자법·고과·이전거관과 같은 관리의 평가와 승진규정이 마련되어 있었지만, 발령대기 상태인...민심수습용이나 풍속장려책에 머물 수도 있다. 또 대신층이 관료천거권을 어떻게 보유하느냐, 대간이나 전랑과 같이 관료천거권을 보유관직을 어떤 집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존슨 Andrew Johnson
    못하게 하는 '공직임기'을 제안 당일 의회에서 통과시키자 그후 이를 둘러싼 정치적 갈등으로 그는 그의 정적들의 손에 놀아난 꼴이 되고 말았다(관직보유). 존슨은 무모하게 육군장관 에드윈 M. 스탠턴(그의 내각에서 급진주의자들과 제휴한 사람)을 해임하여 이 법안의 합헌성을 법정에서 가려보고자 했다. 이에...
    출생 :
    1808. 12. 29,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롤리
    사망 :
    1875. 7. 31, 테네시 카터스테이션 근처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통령
  • 공화당 급진파 共和黨急進派, Radical Republican
    온건세력들을 모두 결집시켰으며 전국을 돌며 대대적인 유세를 벌였으나 실패했고 급진파가 큰 승리를 거뒀다. 이들은 대통령의 공무원 해임권을 제한하는 관직보유(官職保有法 Tenure of Office Act)을 통과시킴으로써 존슨에 대한 불만을 나타냈다. 존슨이 이 을 어기며 육군장관을 해임하자 하원은 대통령 탄핵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스탠턴 Edwin M(cMasters) Stanton
    수 없게 된 존슨 대통령은 마침내 그를 해임하려고 했지만, 완고한 스탠턴은 의회의 공화당 급진파들이 1867년에 대통령의 거부권을 물리치고 통과시킨 관직보유을 내세우며 자신의 공직은 보호받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물러나기를 거부했다. 존슨이 스탠턴의 해임을 고집하자 그에게 동조하지 않는 하원은 대통령...
    출생 :
    1814. 12. 19, 미국 오하이오 스튜번빌
    사망 :
    1869. 12. 24, 워싱턴 D. C.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산관 散官
    때까지 보유한 관품을 그대로 가지고 다시 산관이 되며, 음서·부세·형벌 등에서 일정한 특권을 보장받았다. 그런데 관직은 그 수가 제한되어 있어 규정대로 관원을 모두 진급시키거나 포상으로 수여할 수가 없었다. 이때문에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근무처가 없는 관직인 산직을 두어 운영했다. 고려시대에는 동정직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문산계 文散階
    실직은 종3품 행섭대부경(行攝大府卿)으로 표기하였는데, 관직 앞에 수를 붙여야 하는 행수에 맞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고려시대에 행수을 사용하기는...실직 앞에 행이나 수를 붙였다고 이해하거나, 산직과 실직을 동시에 보유한 경우에 두 직을 구분하기 위하여 실직 앞에 행이나 수를 붙였다고 이해하는 견해...
    시대 :
    고려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솔론의 개혁
    말을 보유하고 기병 복무에 필요한 무장을 스스로 갖출 수 있는 정도의 재산을 소유한 상위 1, 2계층에게는 고위 관직에 나갈 수 있는 자격이 주어졌다. 3등급에 속한 시민들은 중무장보병으로 복무하였고 최하층인 4등급은 해군의 노잡이로 복무하였다. 이들 3, 4계층에게는 하위 관직과 민회에 출석, 투표할 권리만이...
  • 동로마 제국의 관직과 칭호 Byzantine bureaucracy and a..
    새로운 관직과 칭호들로 통합해 나갔다. 콤네누스 왕조와 그 다음의 팔라이올로구스조는 기본적으로 귀족 가문들과의 제한된 통혼으로 토지 소유 귀족을 엄중히...로스조 체계에서, 수 세기를 지나 결국에 고위 계급마저 자리를 잃고 다른 사람들은 그들의 위치를 차지하면서 고관 명칭과 존엄 칭호가 분류되던 옛 구별
    도서 위키백과
  • 무록관 無祿官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설치목적은 비용절감에 있었다. 당시 산직만을 보유한 사람이나 관료예비군은 계속 증가 하고 실직은 모자라는 상태였으므로...의정부·사헌부·사간원에 공문을 보내 심사했다.〈 경국대전〉에서 관료의 고과을 정비하면서 ,무록관은 고과에서 2중(中)을 받은 자를 임명하는 관직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