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기 종류83건
현재 페이지
1
/
총 페이지
10
항목
-
-
관악기를 위한 교향곡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Symphonies of Wind Instruments신고전주의를 예고하며 〈관악기를 위한 교향곡〉의 직전 작품인 〈풀치넬라〉에서 스트라빈스키의 본격적인 신고전주의를 준비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그리고 이 작품은 스트라빈스키의 신고전주의와 연결시킬 수 있는 최초의 작품으로 간주한다. 이는 1924년 라뮈즈에게 보낸 편지에서도 이미 밝히고 있다. 그러나...
- 시대 :
- 20세기 이후
- 분류 :
- 20세기 음악>기악곡
- 제작시기 :
- 1920년, 1947년(개정)
- 작곡가 :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882~1971)
- 초연 :
- 1921년 6월 10일 런던, 퀸즈 홀, 쿠세비츠키 지휘
- 출판 :
- 1926년(피아노 편곡판), 1952년
- 편성 :
- 플루트 3, 오보에 2, 잉글리시 호른, B ♭조 클라리넷 3, 바순 3(제3은 콘트라바순과 겸함), F조 호른 4, B ♭조 트럼펫 3, 트롬본 3, 튜바(1947년 개정판)
-
피아노와 관악기를 위한 협주곡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Concerto for Piano and Wind Instruments협주곡’이라고 이름 붙이지는 않았으나 실제로 피아노 협주곡에 해당하는 악곡이 두 개가 있는데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카프리치오〉와 〈피아노와 관악기를 위한 협주곡〉 이 그 두 곡인데, 〈피아노와 관악기를 위한 협주곡〉은 유일한 현악기로 편성된 콘트라베이스와 팀파니와 관악기만으로 이루어진 편성을...
- 시대 :
- 20세기 이후
- 분류 :
- 20세기 음악>기악곡
- 제작시기 :
- 1923~1924년, 1950년(수정판)
- 작곡가 :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882~1971)
- 초연 :
- 1924년 5월 22일 파리 오페라 극장
- 출판 :
- 1924년(원판, 2대의 피아노를 위한 편곡판), 1950년(개정판)
- 편성 :
- 피아노(독주), 플루트 3(피콜로 1포함), 오보에 3(잉글리시 호른 1포함), A조 클라리넷 2, 바순 2(제2는 콘트라바순과 겸함), F조 호른 4, 트럼펫 4,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콘트라베이스
-
관악기를 위한 세레나데 안토닌 드보르자크, Serenade for Wind Instruments Op.44모차르트의 정신으로 되돌아가기 드보르자크의 〈관악기를 위한 세레나데〉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비슷한 편성의 모차르트의 대곡, 〈관악기를 위한 ‘그랑 파르티타’〉를 떠올리게 한다. 이러한 관악 앙상블은 모차르트 시대의 ‘실용음악’이나 다름없었다. 이런 편성은 대개 특정 행사나 귀족들의 연회를 위한 음악...
- 시대 :
- 낭만
- 분류 :
- 낭만주의 음악>실내악>기타
- 제작시기 :
- 1878년
- 작곡가 :
- 안토닌 드보르자크(Antonín Dvořák, 1841~1904)
- 특징 :
- 하모니 음악(가정음악)
- 초연 :
- 1878년 11월 17일, 프라하
- 출판 :
- 1879년, 베를린
- 헌정 :
- 루이스 엘러트
- 구성 :
- 4악장
- 편성 :
- 오보에 2, 클라리넷 2, 바순 2, 콘트라바순, 호른 3, 첼로, 더블베이스
-
플루트, 색소폰, 트럼펫과 같은 관악기는 어떻게 소리를 내는가?관악기는 관 안에 들어 있는 공기가 진동한다. 그러므로 연주자는 공기가 진동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음료수 병의 입구를 불어 소리를 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바람을 불면 공기의 일부가 병 안으로 들어간다. 증가된 공기의 압력이 병 바닥에 의해 반사되어 병 입구로 돌아온다. 이 과정이 되풀이되면 병의 깊이에 따라...
-
-
-
-
사람의 목소리는 관악기가 내는 소리와 어떻게 비슷한가?사람의 목소리는 성대가 진동하여 나온다. 성대는 비교적 낮은 진동수인 125Hz로 진동한다. 성대의 진동은 목구멍과 입안에 있는 공기를 진동시킨다. 입의 크기와 모양 그리고 혀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소리의 진동수나, 배음의 상대적인 세기를 바꿀 수 있다. 스스로 실험해보기 바란다. 같은 음으로 다섯 개의 모음...
-
피리 필률연원 피리는 후량을 건국한 여광(呂光)에 의해 384년 구자국이 함락된 후 중원에 유입된 구자의 관악기로, 아시아 전 지역으로 퍼져나간 서역의 겹서악기이다. 슬픈 음색을 가지고 있어 “悲篥”이라고도 하였는데, 수와 당나라의 음악지에서는 ‘비리’ 혹은 ‘피리’라고 부르던 서역의 악기명을 음차하여 ‘篳篥...
- 유형 :
- 물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