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한국의 전통악기 중 죽부(竹部)에 속하는 공명악기.
저 또는 젓대라고도 하며 한자로 적(笛)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악기를 가로로 비껴들고 한쪽 끝부분에 있는 취구에 입술을 대고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가로로 부는 대표적인 악기이다.
대금은 〈삼국사기〉에 중금(中笒)·소금(小笒)과 함께 신라 삼죽이라 하여 그 어휘가 처음 보이며, 우리나라에 들어온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중앙아시아나 중국 대륙에서 사용되던 것이 고구려에 전해지고 다시 신라에 받아들여져 정착된 듯하다.
재료로는 해묵은 황죽이나 쌍골죽(雙骨竹)이 쓰인다. 쌍골죽은 마디 사이가 짧고 살이 두껍고 단단하여 호흡으로 인한 습기에 잘 견디며, 맑고 여문 소리를 내기 때문에 황죽보다 즐겨 쓴다. 음역은 2옥타브 반 정도에 이른다. 음색은 저취(低吹)에서는 폭넓고 부드러운 소리, 평취에서는 맑은 소리, 역취(力吹)에서는 꿋꿋한 느낌의 장쾌한 소리 등을 지니고 있으며 그 변화가 다양하여 독주악기로 애용된다.
대금의 종류에는 정악대금과 이보다 장2도 정도 높은 소리를 내는 산조대금(시나위대금)이 있다. 2가지 모두 합주곡을 연주하기 전 여러 악기들의 조율기준으로 사용되는데 이 관습은 고려시대에도 있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