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과학기술진흥법 科學技術振興法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종합적인 기본정책과 계획을 수립하고 그 시행을 위한 체제의 확립과 재정조치의 강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법. 내용 1967년 1월 16일 제정된 이래 여러차례에 걸친 부분개정이 있었다. 19개 조문으로 구성된 이 법률은, 과학기술부장관은 장기경제개발계획의 일환으로 과학기술진흥 장기종합계...
- 시대 :
- 현대
- 성격 :
- 법제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67년 1월 16일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외환관리의 부실로 인하여 1997년 IMF의 금융구제를 받게 되며 연구투자는 감소했다. 과학기술진흥체제 1967년 과학기술진흥법이 제정되었고, 동시에 정부조직 내에 과학기술처가 신설되었다. 또한 과학 연구의 주체가 된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1967)가 설립된 데 이어 1971년에는 과학인력 양성을 위한 한국과학원...
-
한국과학창의재단 KOFAC, 韓國科學創意財團기술문고의 보급과 발전을 시작으로, 1983년부터 제1회 전국청소년 과학탐구대회를 실시, 모형항공기 경진대회를 시범 개최했다. 1990년대에는 과학기술진흥법에 의거, 과학기술 국민이해 전담기관으로 지정되었다. 1996년에는 재단법인 과학문화재단으로 출범하게 되었다. 기술과 미디어의 발전을 바 탕으로 2000년대...
- 설립 :
- 1967년 12월 21일
- 소재지 :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602, 5~14층
- 사이트 :
- https://www.kofac.re.kr
-
과학기술기본법 科學技術基本法위하여 종합적인 시책을 세우고 추진하여야 하고, 지방자치단체는 국가의 시책과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방과학기술진흥시책을 세우고 추진하여야 하며, 과학기술인은 경제와 사회의 발전을 위하여 과학기술의 역할이 매우 크다는 점을 인식하고 자신의 능력과 창의력을 발휘하여 이 법의 기본이념을 구현하고 과학...
- 성격 :
- 법률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2001년 1월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과학기술정책 科學技術政策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은 아니었다. 이어 1967년에는 과학기술정책에 관한 최초의 종합적인 법률에 해당하는 「과학기술진흥법」이 제정되고 과학기술정책을 전담하는 부처인 과학기술처가 기술관리국과 1959년 설립된 원자력원을 모태로 하여 발족됨으로써 과학기술 행정 체제의 구축이 일단락되었다. 1960...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과학 科學처음으로 『과학기술백서』를 내놓았다. 1964년에는 경제 및 과학분야의 주요정책을 대통령에게 건의하는 헌법상의 자문기관 경제과학심의회의가 설치되었다. 1966년 「과학기술진흥법」이 국회를 통과했다. 1967년 4월에는 진통 끝에 이 법을 바탕으로 각 부처에 분산되어 있던 행정기구와 연구기관을 승격, 통합해...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기초연구 진흥, 제3장 기술개발 지원, 제4장 기술료 및 참여제한 등 전문 21조와 부칙으로 이루어져 있다. 1989년 12월 30일 법률 제4196호에 의해 '기초과학연구진흥법'으로 제정되었다가 2011년 3월 9일 법률 제10445호로 내용이 전부 개정되며 법률명도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로 바뀌었다. 총...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KAST, 韓國科學技術翰林院2005년 기초과학연구진흥법 11조(한국과학기술한림원의 설립)에 한림원의 법적지위가 명기되었다. 기능과 역할 과학기술한림원은 과학과 기술계 석학으로 회원을 구성하여 각 부문별 전문성을 활용함으로써 국가 과학 기술의 진흥창달에 기여하는 것을 기본 기능으로 한다. 권위 있는 학술기구로서 과학기술의 기반을...
- 위치 :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7-1번지
- 설립 :
- 1994년 11월
- 성격 :
- 학술단체
- 유형 :
- 단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