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과학기술진흥 科學技術振興法
    과학기술을 발전시키려는 목적으로 국가가 제정한 제도의 하나.|1967년 1월 16일에 제정된 이 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이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종합적 기본정책과 계획을 수립하고, 그 시행을 위한 체제의 확립과 재정 조치의 강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산업의 발전과 국민생활의 안전향상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과학기술진흥 科學技術振興法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종합적인 기본정책과 계획을 수립하고 그 시행을 위한 체제의 확립과 재정조치의 강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내용 1967년 1월 16일 제정된 이래 여러차례에 걸친 부분개정이 있었다. 19개 조문으로 구성된 이 법률은, 과학기술부장관은 장기경제개발계획의 일환으로 과학기술진흥 장기종합계...
    시대 :
    현대
    성격 :
    법제
    유형 :
    제도
    시행일 :
    1967년 1월 16일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외환관리의 부실로 인하여 1997년 IMF의 금융구제를 받게 되며 연구투자는 감소했다. 과학기술진흥체제 1967년 과학기술진흥이 제정되었고, 동시에 정부조직 내에 과학기술처가 신설되었다. 또한 과학 연구의 주체가 된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1967)가 설립된 데 이어 1971년에는 과학인력 양성을 위한 한국과학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 과학 일반
  • 한국과학창의재단 KOFAC, 韓國科學創意財團
    기술문고의 보급과 발전을 시작으로, 1983년부터 제1회 전국청소년 과학탐구대회를 실시, 모형항공기 경진대회를 시범 개최했다. 1990년대에는 과학기술진흥에 의거, 과학기술 국민이해 전담기관으로 지정되었다. 1996년에는 재단법인 과학문화재단으로 출범하게 되었다. 기술과 미디어의 발전을 바 탕으로 2000년대...
    설립 :
    1967년 12월 21일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602, 5~14층
    사이트 :
    https://www.kofac.re.kr
  • 과학기술기본 科學技術基本法
    위하여 종합적인 시책을 세우고 추진하여야 하고, 지방자치단체는 국가의 시책과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방과학기술진흥시책을 세우고 추진하여야 하며, 과학기술인은 경제와 사회의 발전을 위하여 과학기술의 역할이 매우 크다는 점을 인식하고 자신의 능력과 창의력을 발휘하여 이 의 기본이념을 구현하고 과학...
    성격 :
    법률
    유형 :
    제도
    시행일 :
    2001년 1월
    분야 :
    과학/과학기술
  • 과학기술정책 科學技術政策
    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은 아니었다. 이어 1967년에는 과학기술정책에 관한 최초의 종합적인 법률에 해당하는 「과학기술진흥」이 제정되고 과학기술정책을 전담하는 부처인 과학기술처가 기술관리국과 1959년 설립된 원자력원을 모태로 하여 발족됨으로써 과학기술 행정 체제의 구축이 일단락되었다. 1960...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과학기술정책 科學技術政策, science-technology p..
    1960년대 중반에 들어오면서 과학기술개발에 대한 체계화된 정책을 요구하게 되었다. 1967년 과학기술진흥의 제정 이후 기술개발촉진·기술용역진흥·국가기술자격법·특정연구기관육성 등 각종 법령의 정비로 과학기술연구개발 활동에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민간연구기관의 법적·재정적 정책지원이 가능해졌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과학 일반
  • 과학 科學
    처음으로 『과학기술백서』를 내놓았다. 1964년에는 경제 및 과학분야의 주요정책을 대통령에게 건의하는 헌법상의 자문기관 경제과학심의회의가 설치되었다. 1966년 「과학기술진흥」이 국회를 통과했다. 1967년 4월에는 진통 끝에 이 을 바탕으로 각 부처에 분산되어 있던 행정기구와 연구기관을 승격, 통합해...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기초연구진흥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기초연구 진흥, 제3장 기술개발 지원, 제4장 기술료 및 참여제한 등 전문 21조와 부칙으로 이루어져 있다. 1989년 12월 30일 법률 제4196호에 의해 '기초과학연구진흥'으로 제정되었다가 2011년 3월 9일 법률 제10445호로 내용이 전부 개정되며 법률명도 '기초연구진흥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로 바뀌었다. 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한국과학창의재단
    거친 사업 1967년 12월: 한국과학기술후원회 설립(민법 제32조) 1972년 1월: 재단법인 한국과학기술진흥재단으로 개편 1992년 6월: 과학기술국민이해전담기관으로 지정(과학기술진흥) 1996년 3월: 재단법인 한국과학문화재단으로 확대 개편 1997년 4월: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특별 제19조에 의거 설립근거 명시...
    도서 위키백과
  • 종합과학기술심의회 綜合科學技術審議會
    되자 과학기술정책의 종합성 확보와 유기적인 협조체제의 구축 및 부처간 역할 분담 등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1991년 11월 개정공포된 과학기술진흥에 의거해 종합과학기술심의회에 전문가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위원의 수를 17명에서 21명으로 늘리는 한편 예산과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부의장제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KAST, 韓國科學技術翰林院
    2005년 기초과학연구진흥 11조(한국과학기술한림원의 설립)에 한림원의 법적지위가 명기되었다. 기능과 역할 과학기술한림원은 과학과 기술계 석학으로 회원을 구성하여 각 부문별 전문성을 활용함으로써 국가 과학 기술진흥창달에 기여하는 것을 기본 기능으로 한다. 권위 있는 학술기구로서 과학기술의 기반을...
    위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7-1번지
    설립 :
    1994년 11월
    성격 :
    학술단체
    유형 :
    단체
    분야 :
    과학/과학기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