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중이 벽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건물의 뼈대 혹은 뼈대구조에 의해 지탱되는 구조.|따라서 이 구조의 중요한 요소는 골조의 강도이다. 목재뼈대나 반목조건물은 중세 유럽에서는 흔했으며, 이때에는 뼈대를 진흙벽과 벽돌로 채운다. 현대에 들어서 가벼운 목재 골조구조에 나무 외장재를 사용한 경골구조 주택...
골구조법과 마천루의 발달로 이어지는 획기적인 진전으로, 그는 1848년 뉴욕 시에 자신의 5층짜리 공장 건물을 지을 때 이 방법을 처음 사용했다(→ 골조식건물). 그밖의 발명으로는 영국 정부가 썼던 우표 제판법과 오랫동안 면방적에서 사용되었던 고리형 플라이휠, 고무절단기, 유리압착기, 심해측량기, 천공기 등이...
그 기초에는 땅속 깊이 파묻어놓은 강철이나 콘크리트 말뚝으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대부분 구조체는 나무·강철·콘크리트의 3가지로 만들어진다(→ 골조식건물). 나무 구조체는 가볍고 값이 싸고 간편하며, 수직과 수평의 들보와 샛기둥을 열을 지어서 맞물려 구성한다. 강철 구조체인 경우는 수직재료인 지주와...
영국의 산업혁명은 철골구조 건물을 등장시키면서 새로운 유형과 구조법을 가져왔다(→ 골조식건물). 1770~72년 도드는 리버풀에 주철기둥을 사용한 세인트앤 교회를 건설했으며, 그후 J. 와트와 M. 볼턴은 맨체스터의 목면공장에 주철제 기둥과 주철제 보를 사용했다. 이 시기의 많은 건축가들은 고전양식에 철골구조...
남쪽 절반 내부는 철골구조임). 루트가 디자인한 머내드녹 빌딩의 외부는 놀랄 만한 단순성과 순박한 아름다움 때문에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그는 시카고 국제박람회 때 건축부문 간부로 활동하다가 폐렴으로 사망했다. 생전에는 시카고에서 일어났던 새로운 건축운동의 철학에 관해 많은 논문을 썼다(→ 골조식건물...
시카고 계획안을 설계했다. 동료인 존 웰번 루트와 함께 철골구조를 강조한 시카고 상업건축의 선구자로 꼽히나, 훗날 규범적 절충주의에 빠져들었다(→ 골조식건물, 도시계획, 시카고파). 9세 때 가족을 따라 시카고로 이주했다. 고등학교를 마치고 카터-드레이크-와이트라는 시카고의 설계사무소에서 견습생활을 하던...
확립했다. 이는 윌리엄 르 배런 제니의 가정보험회사 사옥(1884~85, 시카고)에서 처음 채택되었던 금속 기둥 사용 방식을 능가하는 중요한 발전이었다(→ 골조식건물). 홀러버드는 뉴욕 주의 웨스트포인트에 있는 미국육군사관학교에 입학했으나 2년 뒤(1875)에 자퇴하고 시카고로 이사했다. 그는 제니의 사무실에서...
내력벽 구조인 오디토리움 빌딩과 달리 시카고에서 1883~85년 윌리엄 르 배런 제니가 발전시킨 개념에 따라 철골 구조로 되어 있다(골조식건물). 제니를 비롯한 여러 건축가들은 고층건물의 높이를 눈에 띄게 표현할 수 없었으며 때때로 부적절한 역사적 복고양식을 쓰기도 했다. 설리번은 이러한 문제점을 잘 다루어...
출입문·창·지붕이 보통 벽의 일부이기 때문에 이 체계의 원형은 주랑이나 골조식 구조에서 볼 수 있다. 상인방은 변형되거나 파괴되지 않으면서 자신의 부하...응집력에 의존하므로 인장력이 특히 약하다. 이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벽돌건물에서는 한 물체로 된(단일 슬래브) 석재 또는 목재를 쓰거나 보다 강한 물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