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자연법 自然法없다고 한다. 따라서, 자연법은 실정법보다 고차원적인 이성적인 법으로서 이 법에 반하는 실정법은 법의 효력을 가지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전통적...존재방식과 연원 및 성질을 논하는 데 있어서 같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대 이후로 해석상의 다른 학설이 나왔고 근세자연법학파 간에도 여러 가지로 나누어...
- 시대 :
- 현대
- 성격 :
- 법, 규범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
-
기독교와 정치 질서 그리고 평화, 아우구스티누스 Aurelius Augustinus평화의 관건이 있다는 데에서 세속 국가에 대한 기독교의 역할과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고대로부터 내려온 철학적 과제였던 보편적 진리의 존재에 대한 논쟁이...것이 그의 근본 논지로서, 이를 통해 그는 세상에 이미 존재하고 있던 자연법의 연원이 신법, 곧 영원법임을 제시한다. 또한 이를 통해, 절대적이고 보편...
- 출생 :
- 354년
- 사망 :
- 430년
- 대표작 :
- 《고백록( Confessiones)》, 《성 어거스틴의 고백록》, 《하나님의 도성》
-
고대 비극의 사회과학적 성찰, 소포클레스 Sophocles하던 고대 그리스의 비극 작가들에게는 강한 성격의 인물들보다는 유연성을 지니고 세계의 균형을 유지해가는 합창단의 존재가 더 필요했다. 인간의 이성이 만들어놓은 조화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데 합창단은 결정적인 기능을 했다(이반 1994, 17~18쪽). 비극의 형식이 정착될수록 비극은 초기의 서정시와 신에 대한...
- 출생 :
- 기원전 497/496년
- 사망 :
- 기원전 406년
- 대표작 :
- 《소포클레스 비극 전집》
-
보편적 공동체의 등장과 정치사상의 변화이들은 고대 유물론을 대표하는 철학자들이다. 일반적인 유물론에 따르면 모든 현상은 단순한 질료와 질료의 운동으로 환원될 수 있다. 에피쿠로스학파의 유물론은 특히 기원전 5세기에 데모크리토스(Demokritos)에 의해 발전한 원자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데모크리토스에 따르면 만물은 크기와 모양, 운동의 속성을...
-
고대 정치철학과 근대 정치철학의 가교, 키케로 Marcus Tullius Cicero미쳤다. 키케로 정치철학의 독창성을 둘러싸고 논란이 있긴 하지만, 키케로가 ‘로마인 플라톤(a Roman Plato)’으로서 정치철학의 핵심 개념인 재산, 자유, 자연법, 공화주의, 혼합정 등에 새롭게 로마적인 속성을 부여함으로써 고대 정치철학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고 있고, 나아가 그의 사후 15~16세기가 지난 후 전개...
- 출생 :
- 기원전 106년
- 사망 :
- 기원전 43년
- 대표작 :
- 《수사학—말하기의 규칙과 체계》, 《국가론》, 《법률론》, 《키케로의 최고선악론》, 《노년에 관하여·우정에 관하여》, 《키케로의 의무론—그의 아들에게 보낸 편지》
-
중세 정치사상 중세 정치사상의 빛과 그늘철저히 낯선 이야기들로 가득한 기독교와 함께 시작되었다. 기독교 사상은 고대 로마 사상과는 너무나 다른 사고 체계였다. 고대 로마인들은 인간 이성이 지향하는 로고스와 자연법의 세계를 강조하지 않았고, 내세의 구원에 특별한 가치를 부여하지도 않았다. 그들은 구원을 향한 역사의 흔들림 없는 흐름 속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