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자연법 自然法내지 이성을 전제로 하여 존재하는 법으로서, 자연법 규범의 절대성을 인정하는 자연법 사상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자연법론은 전통적 자연법론과 근세적 자연법론의 두 가지로 대별된다. 전통적 자연법론은 고대의 그리스철학에서 시작되어 플라톤(Platon)과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스토아학파를 거쳐 스콜라...
- 시대 :
- 현대
- 성격 :
- 법, 규범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기본적 인권의 형성과정타인에게 양도할 수 없는 고유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천부인권(天賦人權) 사상이 정립된 것은 18세기말의 시민혁명 이후의 일이었지만, 이와 같은 근대 자연법론의 모태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헬레니즘 시대의 스토아학파, 중세의 토머스주의 등 전통적인 자연법 사상이었다. 그로티우스·홉스·로크...
-
황산덕 석우(石隅), 黃山德번역하였으며, 1949년부터 1989년까지 수많은 논문과 단문들을 발표하였다. 1991년 10월에는 그가 남긴 글들을 모아 『법과 사회와 국가』라는 유고집이 출간되었다. 그의 법사상은 서양의 법철학을 동양적 불교사상으로 소화하여 법실증주의와 자연법론을 극복한 법도구론(法道具論)을 정립하려는 데 있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17년
- 사망 :
- 1989년
- 경력 :
- 한국법철학회 회장, 한국형사법학회 회장, 법무부장관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법학자, 행정가
- 대표작 :
- 법철학, 법학입문, 자화상, 막스 베버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